|
![]() |
羞:부끄러울 수 수여위오(羞與爲伍)라고도 한다. 한신은 처음에는 초(楚)나라의 항우(項羽) 밑에서 말단 군관을 지내다가 인정받지 못하자 한나라 유방(劉邦)에게 귀순하였다. 한신은 대장군으로 중용되어 한나라가 초나라를 멸하고 중원을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움으로써 초왕(楚王)에 봉해졌다. 번쾌는 유방이 아직 야인으로 있을 때 개를 잡는 일을 생업으로 삼던 사람이다. 유방이 군대를 일으키자, 번쾌는 항상 유방을 수행하며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 홍문의 연회[鴻門之宴]에서 유방이 항우와 만났을 때, 항우의 모사(謀士) 범증(范增)이 유방을 죽이라는 지시를 내렸으나 번쾌가 칼을 들고 뛰어들어 이를 저지하였다. 나중에 번쾌는 무양후(舞陽侯)에 봉해졌다. 어느 날, 한신이 번쾌의 집 앞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번쾌가 나와 무릎을 꿇고 절을 하며 맞이하였다. 얼마 뒤 한신은 그의 집을 나서며 "내가 결국 번쾌와 같은 신세가 되고 말았구나(生乃與噲等爲伍)"라고 자조하였다. 이 고사는 《사기》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편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수여쾌오는 졸렬하고 속된 사람들과 동렬(同列)이 되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출처] 수여쾌오 [羞與噲伍 ] | 네이버 백과사전 ,,,,,,,,,,,,,,,,,,,,,,,,,,,,,,,,,,,,,,,,,,,,,,,,,, |
한 번 싸움에 패하여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는 일어설 수 없음을 비유한 말. |
|
![]() |
一 : 한 일 《사기(史記)》 〈고조본기(高祖本記)〉의 말이다. 진(秦)나라 2세 황제 원년(元年) 가을, 진승(陳勝) 등이 기현에서 봉기하였다. 진현에 이르러 스스로 왕위에 오르고 국호를 장초(張楚)라 하였다. 여러 군현에서는 모두 그 지방관을 죽이고 진승에 호응하였다. 패현(沛縣)의 현령도 스스로 백성을 이끌고 진승에 호응하고자 하여, 소하(蕭何)와 조참(曹參)을 불러 상의하였다. 그러자 소하와 조참은, "진나라의 관리인 현령이 반란에 가세한다면, 자칫 백성들이 믿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나라의 가혹한 정치와 부역을 피해 유방(劉邦)을 따라 성 밖으로 도망간 백성들을 불러들이십시오. 그들의 힘을 빌면 모두 복종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출처] 일패도지 [一敗塗地 ] | 네이버 백과사전 |
,,,,,,,,,,,,,,,,,,,,,,,,,,,,,,,,,,,,,,,,,,,,,,,,,,
'눈이 찢어질 듯이 부릅뜨고 노려보다'라는 뜻으로, 극도로 화가 난 모습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형가(荊軻) 등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
|
![]() |
瞋:부릅뜰 진 형가는 연(燕)나라 태자 단(丹)의 부탁으로 진(秦)나라 왕 정(政)을 암살하려 하였다. 형가가 진나라로 출발할 때, 태자 단과 형가의 친구인 고점리(高漸離) 등이 배웅하였다. 역수(易水)에서 이별하기에 앞서 형가는 고점리가 타는 축(筑)이라는 악기에 맞추어 "바람 소슬하니 역수의 물 차가운데, 장사는 한 번 가면 다시 오지 않으리(風蕭蕭兮易水寒, 壯士一去不復還)"라고 노래하였다. 형가의 노랫소리를 들은 사람들은 비장한 마음이 들어 "모두 눈을 부릅뜨고, 머리카락이 곤두설 정도였다(士皆瞋目, 髮盡上指冠)"고 한다. 이 고사는 《사기(史記)》의 〈자객열전(刺客列傳)〉편에 실려 있다. 《회남자(淮南子)》의 〈태족훈(泰族訓)〉편에도 "형가가 서쪽으로 진나라 왕을 암살하러 갈 때, 역수에서 고점리와 송의(宋意)가 형가를 위하여 축을 타고 노래를 부르니, 그 비장한 가락에 사람들은 눈이 찢어질 듯이 부릅떴고, 곤두선 머리카락은 머리에 쓴 관을 뚫었다(聞者瞋目裂眦, 髮植穿冠)"라는 구절이 있다. 또 홍문의 회에서 항우(項羽)의 참모인 범증(范增)은 유방(劉邦)의 세력이 더 커지기 전에 제거하려 하였다. 이때 유방의 부하인 번쾌가 소식을 듣고 달려와 연회가 벌어지는 막사 안으로 밀치고 들어왔다. 번쾌는 유방의 곁에 시립하여 항우를 노려보았는데, 그 모습이 "머리카락은 곤두서고 부릅뜬 눈은 찢어질 것만 같았다(頭髮上指, 目眦盡裂)"고 한다. 이 고사는 《사기》의 〈항우본기(項羽本紀)〉편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진목열자는 눈이 찢어질 듯 부릅뜬 모습을 빗대어 극도로 화가 난 상태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출처] 진목열자 [瞋目裂眦 ] | 네이버 백과사전 |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클래식 사계 19곡 모음 (여름편) (0) | 2011.06.21 |
---|---|
지상 최고의 낙원 "하와이" 섬 (0) | 2011.06.21 |
(2) 中, 각료 70% 이공계 출신…에너지 산업 육성 (0) | 2011.06.20 |
전교생 337명 `올린工大` 혁신에 MIT도 놀랐다 (0) | 2011.06.20 |
만년설 모자를 쓴 204㎞ 협곡…말 잃은 여행객들 연신 셔터만.노르웨이 피요르드 (0) | 201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