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5 이름:노승석 2001/9/14(금)
|
한문 번역법
첫째 實詞와 虛詞를 구분한다.여기서 실사란 문장 안에서 뜻을 가지고 있으면서 의미상 중요한 구실을 하는 단어를 말하고, 허사란 이러한 실사를 이어주는 매개 역할을 하는 단어로서 문맥에 따라 해석을 할 경우가 있고 굳이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 허사에 의해서 문장의 의미가 다른 상황으로 전환 되는 예도 있다.
둘째 품사의 변화가 다양하기 때문에 같은 글자라도 문장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해석하는 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산문체보다는 시문에서 그러한 현상이 뚜렷하다. 예로 詩句에서 동사가 없이 명사구로만 되어 있을 경우에는 한정성을 가지고 있는 명사나 목적어의 명사를 수식하는 상황성을 가지고 있는 형용사를 동사로 취하여 해석한다.
셋째 문법의 한계성을 극복해야 한다. 문장구조가 문법적으로는 성립이 되지만 해석이 되지 않거나 해석을 해도 문맥에 맞지 않고 언어가 성립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에는 字句사이에 숨어 있는 매개적인 의미나 그 단어를 부연 설명할 수 있는 상황적인 의미를 찾아 단어의 의미와 결부 시켜 해석 해야 한다.
넷째 지나친 직역(直譯)이나 의역(意譯)은 피해야 한다. 직역은 축자식(逐字式)위주로 해석하는 것인데, 문구의 의미를 하나 하나 새겨가기 때문에 정교한 맛은 있지만, 이 틀에만 지나치게 억매이다 보면 문장의미의 함축성이 결여 되고 국어 문법에 맞지 않는 해석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사물에 대한 단어는 직역 위주로 하고 술어적인 단어는 의역 위주로 문장 수식을 한다면 文章의 體用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의역은 본래적인 단어의 의미와 유사한 의미를 갖고 있는 단어를 유추하여 같은 의미의 범주에서 다양한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문장의 의미를 일반적이면서도 부드럽게 표현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의역 위주의 해석은 원문을 재해석한다는 점에서 필치와 기교가 절실히 요구되지만, 이러한 방법에 지나치게 치중하다 보면 본래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주관적인 견해에서 의미를 취하게 되기 때문에 문장의 美는 있다 하더라도 원문에 충실한 객관적인 의미를 살리지 못하게 될 것이다.이로써 살펴 본다면, 직역과 의역은 각각 적절하게 사용하면 해석상 문장수식에 있어서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을 것이다. 직역을 위주로 해서 얻어지는 정교함과 의역을 위주로 해서 얻어지는 문장의 아름다움을 겸용하여 조화를 이룬다면 문장해석의 妙用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정확한 訓詁와 典故를 알아야 한다. 모든 한문체 문장은 중국 고사나 문헌을 인용하여 지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알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서적을 구비해야 한다. 史書에서는 史記 漢書 後漢書 三國志 晉書 宋齊梁陳魏晉南北史 新舊唐書 五代史 宋遼金史 등이 있고 詩學에 관련된 문헌으로는 唐宋八家文 古文眞寶(시편) 唐音 三體唐詩 唐詩鼓吹 聯珠詩格 唐詩品彙 唐賢三昧集 唐詩三百首 등이 있다. 訓詁學에 관련된 문헌으로는 爾雅 方言 釋名 五經正義 文選注 經典釋文 등이 있고 운서(韻書)로는 切韻 廣韻 集韻 洪武正韻 등이 있으며, 文字學으로는 說文解字 玉篇 類篇 篇海 正字通 등이 있고 字典類로는 辭源 辭海 辭通 聯綿字典 등이 있다.고사의 출전이나 문헌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 誤譯이 될 뿐만이 아니라, 문장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없을 것이다. 정확한 번역을 하려면 무엇보다도 한문학에 대한 폭넓은 배경지식과 이를 통한 문장 응용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No, 4 이름:노승석 2001/9/14(금)
|
한문문법
한문의 형태를 파악해야 한다. 1. 수동형 : 被 見 爲 所, 爲∼所, 於 于 乎 2. 사역형 : 使 令 敎 遣 命 勸 召 戒 詔 屬 3. 부정형 : 不 弗 未 勿 無 莫 无 毋 靡 微(가정) 한정부정 : 不 + ( 唯 惟 但 徒 特 啻 獨 直 第) 이중부정 : 無不 莫不 不∼無 莫∼不 4. 가정형 : 如 若 使 苟 儻 或 假令 假設 縱 縱令 設令 縱使 就使 假如 5. 한정부사 : 唯 惟 但 只 徒 第 直 獨 한정결사 : 已 耳 而已 爾 而已矣 已矣 也矣 也已矣 6. 비교형 : 于 於 乎 愈, 莫如 莫若 無如 無若 不如 선택비교 : 與∼寧 與其∼不如 寧∼無 7. 접속형 : 與 之於 之與 而(역·순접) 則 曁 爰且 友 8. 의문형 : 安 何 惡 焉 胡 那 奈 詎 庸 奚 曷 怎麽 甚麽 何如 如何 何若 若何 奈何, 誰 疇 孰 幾何 幾 9. 반어형 : 何 奚 胡 曷 詎 乎 耶 哉 焉 邪 與 安 烏 寧 焉 惡 + 歟 也 矣 之乎 也哉 豈 幾何 何爲 胡爲 10. 도치형 : 其 是 斯 之 (빈어+도치형조사+동사) 11. 감탄형 : 嗚呼 嗟 咨 咨 吁 嗟夫 嘻 噫 喟 於乎 감탄결사 : 乎 矣 矣乎 矣夫 也哉 也夫 也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