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唐)의 시인이자 화가로서 자연을 소재로 한 서정시에 뛰어나 ‘시불(詩佛)’이라고 불리며, 수묵(水墨) 산수화에도 뛰어나 남종문인화의 창시자로 평가를 받는다.
별칭
자 마힐(摩詰)
국적
중국 당나라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중국 산시성[山西省]
주요저서
《왕우승집》
주요작품
《창주도(滄州圖)》,《망천도(輞川圖)》
본문
중국 당(唐)의 시인이자 화가로서 자(字)는 마힐(摩詰)이고 분주(汾州, 지금의 山西省汾陽) 출신이다. 상서우승(尙書右丞)의 벼슬을 역임하여 왕우승(王右丞)이라고도 불린다. 그가 태어난 해와 죽은 해는 《구당서(舊唐書)》와 《신당서(新唐書)》에 각기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구당서(舊唐書)》에는 699년에 태어나 759년에 죽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신당서(新唐書)》에는 701년에 태어나 761년에 죽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사마(司馬) 벼슬을 하던 왕처렴(王處廉)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그의 어머니는 독실한 불교도였다. 때문에 왕유는 어려서부터 불교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그의 이름인 유(維)와 자(字)인 마힐(摩詰)도 《유마경(維摩経)》에 나오는 거사(居士) ‘유마힐(維摩詰)’의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우인 진(縉)과 함께 어려서부터 시(詩)와 서(書), 음곡(音曲) 등에 뛰어난 재주를 나타냈다. 9살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15살에는 당(唐)의 수도였던 장안(長安, 지금의 西安)으로 유학을 가서 황실(皇室)에까지 이름을 떨쳤다. 현종(玄宗, 재위 712∼756) 때인 721년(開元 9년)에 진사(進士)에 급제(及第)하여 태악승(太樂丞)이 되었다. 한때 제주(濟州, 지금의 山東省荏平縣)의 사창참군(司倉參軍)으로 좌천되었다가 관직을 떠나기도 하였으나, 734년(開元 22년) 우습유(右拾遺)로 발탁되어 다시 중앙의 관직으로 복귀한 뒤 감찰어사(監察御史), 좌보궐(左補闕), 고부낭중(庫部郞中) 등을 역임하였다. 어머니 최씨(崔氏)가 죽은 뒤 상(喪)을 치르기 위해 관직에서 잠시 물러나기도 했지만, 현종(玄宗) 말기에는 이부낭중(吏部郎中)과 급사중(給事中) 등의 요직(要職)을 역임하였다.
755년 안사의 난이 일어나고, 756년 장안(長安)이 점령되자 왕유(王維)는 반란군에 사로잡혀 뤄양[洛陽]으로 끌려갔다. 이 곳에서 그는 벼슬을 받았지만 이를 탐탁지 않게 여기고 남전(藍田, 陝西省長安 동남의 縣)의 중난산[終南山] 기슭에 세운 망천장(輞川莊)에 머물며 시(詩)로서 자신의 마음을 나타냈다. 758년 현종(玄宗)의 뒤를 이은 숙종(肅宗, 재위 756~762)이 반란군을 물리치고 장안(長安)과 뤄양[洛陽]을 탈환한 뒤에 그는 안녹산(安祿山)에게 벼슬을 받은 일로 문책을 받았지만 사정이 인정되어 사면(赦免)을 받았다. 그리고 태자중윤(太子中允)으로 등용된 뒤, 태자중서자(太子中庶子), 중서사인(中書舎人), 급사중(給事中)을 거쳐 상서우승(尙書右丞)이 되었다.
이처럼 왕유(王維)는 당(唐) 문화가 가장 화려하게 번성했던 시기에 고위 관직을 역임했을 뿐 아니라,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화가, 음악가로서 다방면에 모두 이름을 떨쳤다. 시인으로서 그는 시선(詩仙)이라고 불리는 이백(李白, 701~762), 시성(詩聖)이라고 불리는 두보(杜甫, 712~770)와 함께 중국의 서정시 형식을 완성한 3대 시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그의 시에는 불교의 영향이 많이 나타나있어 '시불(詩佛)’이라고도 불린다. 그는 그림에도 뛰어나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의 개조(開祖)로 여겨지고 있다. 송(宋, 960∼1279) 때의 소식(蘇軾, 1036~1101)은 그의 시와 그림을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다(詩中有畵畵中有詩)”라고 평하였다.
왕유(王維)의 시는 전기와 후기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전기의 시들이 도회지의 삶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 비해 후기의 시들은 전원 생활과 자연의 정취들을 나타내는 작품들이 주를 이룬다. 그 가운데 자연의 청아한 정취를 소재로 한 후기의 작품들이 특히 높은 예술적 성취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는데, 만년(晩年)에 남전(藍田)의 망천장(輞川莊)에 은거하면서 지은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자연을 소재(素材)로 한 오언(五言) 율시(律詩)와 절구(絶句)에 뛰어난 성취를 보여 육조(六朝) 시대부터 내려온 자연시(自然詩)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동진(東晋, 317∼419) 도연명(陶淵明, 365~427)의 전원시(田園詩)와 송(宋, 420∼478) 사령운(謝靈運, 385~433)의 산수시(山水詩)의 영향을 받아 회화(繪畫)의 기법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나타내는 자연시(自然詩)를 크게 발달시켰다. 당(唐) 시대의 자연시(自然詩) 전통을 대표하는 인물을 ‘왕맹위유(王孟韋柳)’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왕유(王維)와 위응물(韋應物, 737~804), 맹호연(孟浩然, 689~740), 유종원(柳宗元, 773~819)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 가운데에서도 왕유는 자연시(自然詩)를 대표하는 중심 인물로 평가를 받는다. 그의 시는 《왕우승집(王右丞集)》으로 전해진다.
한편 그는 정건(鄭虔), 오도자(呉道子) 등과 함께 중국 남종화(南宗畵)의 개조(開祖)로 여겨지고 있으며, 전문적인 화가가 아니라 시인이나 문인들이 그리는 문인화(文人畵)의 발달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인물이나 꽃, 대나무, 산수(山水)의 정경 등 다양한 소재를 그림으로 나타냈는데, 특히 수묵(水墨) 산수화(山水畵)로 이름을 떨쳤다. 당시에는 장안(長安)에 있는 건축물에 그린 ‘장벽산수화(牆壁山水畵)’나 《창주도(滄州圖)》, 《망천도(輞川圖)》 등이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오늘날에 확실한 진본(眞本)들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그의 작품들이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쳐 구도나 표현들을 모방한 사본(寫本)들이 다양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들 사본(寫本)들과 기록들에 근거해 어느 정도 그 작품들의 구도와 내용들이 확인되고 있다.
그림을 직업으로 하지 않는 선비나 사대부들이 여흥으로 자신들의 심중을 표현하여 그린 그림을 일컫는 말로서 달리 사인지화(士人之畵) 혹은 사대부화(士大夫畵)· 문인지화(文人之畵)로 불리다가 문인화가 되었다. 이들 사대부의 그림은 중국 북송시대부터 유래되었으며 서화나 서예, 인물화, 묵죽화, 말그림 등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걸쳐있으며 전문 화공이 그린 그림과는 기교면에서나 분명한 차이가 난다. 따라서 화공들의 그림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 명말(明末)의 대표적 문인인 동기창(董其昌)이 그의 《화지(畵旨)》에서 제시한 중국 문인화가의 계보를 통해 남북종화(南北宗畵) 이론이 성립되었고, 그 으뜸에 당(唐)나라 때 시인이며 그림에도 능했던 왕유(王維)를 꼽았다. 그후 동원(董源)·거연(巨然)·이성(李成)·범관(范寬)·이공린(李公麟)·왕선(王詵) 등을 열거하고, 다시 원말(元末)의 대가로 황공망(黃公望)·왕몽(王蒙)·예찬(倪瓚)·오진(吳鎭)과 명나라의 문징명(文徵明)·심주(沈周) 등을 문인화가로 들고 있다.
문인화는 처음에 특정한 양식을 갖지 않았으나 ‘원말 4대가’의 출현으로 수묵산수화 양식의 전형이 완성되었다. 이를 남종화(南宗畵) 또는 남화(南畵)라고 하며, 비로소 문인화 특유의 양식이 정착하였다. 수묵산수화 다음으로는 문인들의 행동양식이나 의식과 잘 어울리는 사군자(四君子)가 유행하였다.
북송시대의 문인화 경향은 고려시대 유입되어 이제현(李齊賢) · 김부식(金富軾) 등의 작품이 있으며, 조선시대의 사대부들도 많은 그림을 남겼다. 대표적으로 조선전기의 강희안(姜希顔)을 들 수 있다. 그는 많은 그림을 그렸지만 화가로 이름이 남는 것을 꺼려 자손들에게 자신의 그림을 소각하도록 할 정도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가 문인화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남종화가 본격적으로 수용되고 유행하였던 시기는 17세기 이후부터이다. 즉 강세황(姜世晃) · 이인상(李麟祥) · 심사정(沈師正) 등의 남종문인화가 대표적인 인물이며, 문인화의 화풍을 절정에 올린 인물은 김정희(金正喜)이다.
중국에서 어느 때부터 회화가 그려지게 되었는가를 알아보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현재 발견된 유물에서 본다면, 창사[長沙]고분에서 출토된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비단에 그려진 무녀도(巫女圖)를 최고(最古)의 것으로 보며, 이는 BC 400년부터 BC 200년 사이의 것으로 추정한다. 전한(前漢)시대에 들어서면서, 묘실의 벽돌에 새긴 인물이나 동물 ·귀신의 흔적이 있다. 이것은 일종의 선묘(線描)로서 회화적 요소가 짙은 것이다. 후한(後漢)이 되면서, 무량사(武梁祠) 분묘의 석실에 있는 화상석(畵像石)이 회화로서 한층 발전하였고 신화 전설을 주제로 한 그 유품은 조형적인 박력을 갖추었다. 회화뿐만 아니라 다른 미술 분야에서도 한대(漢代)는 중국미술의 원형이 형성된 시대라 할 수 있다.
삼국시대(三國時代)에는 전문적 직업으로서 화공이 나타나고, 육조(六朝)시대가 되면서 지식인의 교양의 하나로서 회화가 유행하며, 그 화풍 등이 쟁론(爭論)되기에 이른다.
한대의 분묘 석실의 전각도(塼刻圖)는 벽화의 소박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불교가 성행하자 이것이 다시 석굴사원의 벽화로 되어 수(隋) ·당(唐) 시대로 계승된다.
당대(唐代)에는 뛰어난 화가가 많이 나타나며, 초기에는 염립본(閻立本)과 위지을승(尉遲乙僧) 등이 있고, 중기에는 오도현(吳道玄)이 있으며, 주된 사원의 벽화는 모두 그의 손으로 된 것이라 하며, 후세에까지 동양화의 상징이라 일컬어진다.
이 밖에 말그림의 명수 한간(韓幹), 시인이며 또한 산수화에 능한 왕유(王維) 및 이사훈(李思訓)이 있다. 송대(宋代)에는 역대의 천자가 화원(畵院)을 설치하여 회화의 제작 ·감상 ·수집이 성행하였다. 전대로부터 계승된 사실주의를 더욱 추구하려는 경향이 화원을 지배하고, 이것을 원체화(院體畵)라 불렀다.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원체화의 권위주의에 반항하여 사실보다도 정신의 고양을 이상으로 하는 재야(在野)의 활동도 활발하였고, 전자는 전문화가, 후자는 문인화가라 일컫는 지식인의 여기(餘技)로서 행하여져서 송대 회화는 크게 둘로 나뉜다.
원체화는 북송(北宋)의 곽희(郭熙), 남송(南宋)의 이당(李唐) ·마원(馬遠) ·하규(夏珪) 등이 산수화에 능하였고, 양해(梁楷)는 산수 ·인물에 뛰어났으며, 화조화(花鳥畵)에는 이안충(李安忠) ·이적(李迪)이 유명하다.
문인화(文人畵)에서는 북송의 동원(董源) ·거연(巨然) ·이공린(李公麟) ·미불(米芾) 등이 대표적인 화가이다. 수묵화(水墨畵)는 당대에 이미 그려졌는데, 남송의 문인 ·승려들 사이에 성행하였으며, 특히 선종(禪宗)의 영향을 받아 크게 발전하였다.
원말(元末)의 사대가(四大家) 황공망(黃公望) ·오진(吳鎭) ·예찬(倪讚) ·왕몽(王蒙)은 먹에 오채(五彩)를 더한 것 같은 정취를 나타냈다 한다.
이러한 부드러운 필치를 자유롭게 구사한 그림을 남종화(南宗畵)라 하고, 원체화의 흐름을 가지는 대상을 정확히 묘사하는 딱딱한 느낌의 그림을 북종화(北宗畵)라 일컫는다. 원대(元代)에 해체된 화원은 명대(明代)에 부활하여 화조화에서는 여기(呂紀), 산수화에서는 대진(戴進)을 시조로 하는 절파(浙派)가 화계의 주류를 이룬다. 이 밖에 명대의 대표적 화가에는 인물화의 구영(仇英), 남종화 융성의 중심을 이룬 심주(沈周) ·문징명(文徵明) ·동기창(董其昌)이 있다.
청대(淸代)에는 남종화가 주류를 차지하고 왕시민(王時敏) ·왕감(王鑑) ·왕휘(王翬) ·왕원기(王原祁) ·오역(吳歷) ·운수평(煇壽平) 등 사왕오운(四王吳煇)을 비롯하여, 도제(道濟:石濤) ·팔대산인(八大山人) 등 개성이 강한 화가가 활약하였다.
청대 중기에는 양주팔괴(揚州八怪)라 일컬어지는 문인화가가 배출되어, 아무 것에도 구속되지 않고, 서로 자유로운 입장을 취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전통을 근대에 이어받은 자오지첸[趙之謙] ·우창숴[吳昌碩] 등은 근대화가로서 중국 회화사에 이채로운 존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