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 여곤(呂坤)이 쓴 신음어(呻吟語) 중에서 인용한
명구입니다.
대기심용천하지물 大其心容天下之物
허기심수천하지선 虛其心受天下之善
평기심론천하지사 平其心論天下之事
잠기심관천하지리 潛其心觀天下之理
정기심응천하지변 定其心應天下之變
성인지도태화이이 聖人之道太和而已
나름대로 풀어보면 이렇습니다.
그 마음을 크게 가지면 천하의 사물을 다 수용할 수 있고
그 마음을 비우면 천하의 좋음을 다 받아드릴 수 있다.
그 마음을 치우치지 않게 하면 천하의 일을 논할 수 있고
그 마음을 가라앉히면 천하의 이치를 관조할 수 있다.
대저 그 마음을 안정시키면 천하의 변화를 응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성스러운 사람의 도는 큰 조화를 이룰 뿐이다.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When You And I Were Young, Maggie(메기의 추억)/-John McDermott (0) | 2011.08.18 |
---|---|
제갈량 계자서. 諸葛亮《誡子書》 (0) | 2011.08.18 |
심장질환과 견과류의 효능 (0) | 2011.08.18 |
‘오강정(烏江亭)’ 만당(晩唐)의 시인 두목(杜牧·803∼853) (0) | 2011.08.17 |
夏日絶句(又,烏江) 李淸照, 宋. (0) | 201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