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 국가 | 중국 |
---|---|
소속 국가 부속정보 | 청(淸) |
죽은 곳 | |
죽은 때 | 1709. 11. 14. |
직업 | 문학자 |
태어난 곳 | |
태어난 때 | 1629. 10. 7 |
중국 청대(淸代)의 문학자·학자.
자는 석창(錫鬯), 호는 죽타(竹垞). 수수(秀水:지금의 저장 성[浙江省] 자싱 현[嘉興縣]) 출신이다. 어렸을 때 난이 일어나 가정형편이 곤궁했으나, 노력하여 학문을 익혔다. 1679년(康熙 18) 박학홍유과(博學鴻儒科)에 급제하여 한림원검토(翰林院檢討)에 임명되었으며 〈명사 明史〉 편찬에 참가했다. 1692년 병으로 귀향했다. 경학과 사학에 통달하고 고증에 뛰어났으며 시·사(詞)·고문에도 조예가 깊었다. 저서로는 〈경의고 經義考〉·〈일하구문 日下舊聞〉·〈폭서정집 曝書亭集〉 등이 있다. 그는 사에서 가장 뛰어나 절서사파(折西詞派)의 창시자이다. 그의 사는 고상하고 청아한 경지와 매끄럽고 맑은 음조를 추구했으나, 한편으로는 사소한 일을 묘사한 것이 많으며 간혹 영물(詠物)과 회고(懷古)의 작품에 흥망의 정감을 기탁하기도 했다. 시는 학문의 깊이와 수사에 뛰어났으며 청신하고 질박하여 왕사정(王士禎)의 작품과 함께 명성을 떨쳤다. 울분을 토로하거나 민생의 고통을 묘사한 시도 있다. 편저로 〈사종 詞綜〉·〈명시종 明詩綜〉 등이 있다.
,,,,,,,,,,,,,,,,,,,,,,,,,,,,,,,,,,,,,,,,
벼슬에 뜻이 없어 각지를 편력하면서 학문에 정진하고 또 사적(史蹟)의 고증에 힘썼던 중국 청대(淸代) 초기의 문학자 .박학하고 시(詩)에 뛰어나 왕사정(王士禎)과 함께 '남주북왕(南朱北王)'이라 일컬어지며 사(詞)는 절서사파(浙西詞派)의 창시자라 불린다. | ||||||||||||
|
![]() |
자 석창(錫鬯). 호 죽타(竹坨). 저장성[浙江省] 출생. 처음에는 벼슬에 뜻이 없어 각지를 편력하면서 학문에 정진하고 또 사적(史蹟)의 고증에 힘썼다. 1679년 박학홍사과(博學鴻詞科)에 추천되어 한림원검토(翰林院檢討)가 되고 《명사(明史)》의 편찬에 종사하였다. 얼마 후 사직하고 향리로 돌아와 여생을 자적(自適)과 저술로 보냈다. 그의 대표작 《경의고(經義考)》(30권)는 역대 경서의 연혁존망(沿革存亡)을 기록한 책이다. |
,,,,,,,,,,,,,,,,,,,,,,,,,,,,,,,,,,,,,,,,,,,,,,,,,,
사종 [詞綜]
34권. 청나라 주이존(朱彛尊:1629∼1709) 편집. 주이존의 호는 죽택(竹垞)이다. 시인으로서 남송(南宋)의 강기(姜夔) ·오문영(吳文英) ·장염(張炎) 등에게 사사하여 청나라의 절서사파(浙西詞派)의 원조가 되었다.
이 책에서는 <아정(雅正)>을 제일 중요하게 취급했으며, 소령(小令:짧은 시)은 북송 이전, 만사(慢詞:긴 시)는 남송의 것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당(唐) ·송 ·금(金) ·원(元)의 시인 500여 명의 시 2,254수를 수록하였다. 이들 시는 각각 별집(別集) 및 여러 선집에서 골랐으며, 수필 ·필기(筆記) 등에서도 뽑아 다른 책에서는 볼 수 없는 작품들이 많다. 또, 작자의 이름 ·경력 ·출신지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고증하여 잘못된 곳을 수정하였으며, 엄정하게 선정한 것이므로 시선집으로서는 가장 중요한 책 중의 하나이다.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王建《宮詞》探論 5之2. 李建崑 (0) | 2011.09.17 |
---|---|
清代詩文集彙編》目錄(4058種) (0) | 2011.09.17 |
여 름 - 바다새 .노래 (0) | 2011.09.17 |
재미나는 사진 모음 (0) | 2011.09.17 |
지난 5일 미군이 세운 '천안함 추모비' (0) | 201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