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09/15 14:22
http://blog.naver.com/naugee2/70093900433
첫번째 전통 행사 포스팅은 고양 선공감 김 감역 상여, 회다지 소리가 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번 행주문화제에서 기대되는 전통행사 공연으로 뽑히고 있는
전통행사입니다.
상여회다지 소리에 대해 잠시 알아볼까요?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에서 대대로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잇는 김녕 김씨 문중의 소중한 상여 장례 소리 입니다. 총 40여명이 메어야 하는 대형 상여를 앞세우고 많은 깃발과 만장이 함께 행렬을 이룹니다. 상여가 앞으로 나가면서 다양한 상여 소리가 불리어 지고 묘소에 도착한 후에 불리는 회다지는 소리도 특이합니다. 고양지역의 대표적인 상례절차를 간직하고 잇는 김 감역 상여 회다지 소리는 그 특이함과 독특함. 원형보존의 고유성 등이 인정되어 고양시 향토문화재로 58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출처 - 정동일 고양시 문화재 전문의원
선공감 김감역 고양상여소리(이하 고양상여소리)는 2월14일 독일 비스바덴 카니발에서 공식 발표되기도 하였습니다.
고양상여소리는 고양시의 적극적인 후원과 고양문화원(원장, 한학수)의 기획ㆍ연출에 의한 해외문화교류사업의 첫 국외 발표사례가 되었습니다.
이는 고양시 송포지역의 김녕김씨 문중의 선대조인 김성권의 장례의식을 재현한 지역 향토문화유산으로서 고양시의 대표적인 상여소리입니다. 조선 시대에 선공감 감역이라는 벼슬을 역임한 김녕김씨 선조인 김성권씨가 돌아가시어 당시 만장기가 250여 개에 이르렀고 운구행렬이 5리에 달할 정도로 죽음이 죽음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많은 조문객의 슬픔 및 축복 속에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조선시대 상례문화의 진수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독일 비스바덴 카니발은 독일 남쪽에 위치한 인구 27만 도시인 비스바덴에서 내려오는 151년 전통의 카니발입니다. 14일에 10개 국가에서 274개 예술단체가 이 축제에 참여해 5시간동안 시민들에게 다양하고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했습니다. 특히 고양상여소리는 274개 예술 공연 단체 중에서 118번째로 참여하여 3단 크기의 상여와 구구절절한 소리꾼의 소리, 화려한 의상과 태극기, 고양시 로고, 문화원로고 등을 포함한 많은 만장을 앞세운 고양상여소리는 시민들로부터 많은 갈채를 받았습니다.
한학수 고양문화원장은 “ 지역의 상여소리가 세계적인 소리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고 전통문화의 창달이라는 관점에서 매우 기쁘고 앞으로 더 열심히 노력하겠다.”라고 소감을 말하였고, 김우규 선공감 김감역 고양상여소리 보존회장은 “ 40여 명의 보존회원과 50여 명의 현지 교민이 어우러져 환상적인 고양의 전통문화를 선보였고 우리의 효 사상이 녹아있는 고양소리를 교민들에게 재현함으로써 고국에 대한 향수를 달래는데 일조를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이상화 문화예술과장은 “부활절에 앞서 사순절, 사육제(카니발)를 보내는데 죽음을 삶의 끝으로 보지 않고 새로운 삶의 시작으로 바라 본 고양의 전통소리가 독일의 전통 행사 중 예술작품으로 참여해서 그 컨셉트의 품격을 높인 점이 대단하며 혼신의 힘을 다한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표한다.”라고 전하였습니다.
-출처 고양문화원
정말 자랑스러운 우리 향토 문화입니다~
그럼 지난 행주문화제 상여소리 공연 사진을 간략히 포스팅하고
이번 전통행사 포스팅은 마치겠습니다 ^^
장례풍습인지라 절규와 슬픔이 느껴지는 모습들입니다.
요즘은 볼 수 없는 전통 장례 행사를 이렇게 볼 수 있는건 참 좋은 기회라고 생각이 됩니다.
참 아름다운 춤 사위 입니다...^^
이번 행주문화제에도 또 뵐 수 있어서 정말 방갑고 기대되는 고양 선공감 김감역 상여회다지 소리입니다.~
비스바덴 카니발에 한국 상여행렬 참가한다 비스바덴 한인회, 고양시 선공감 김감역 호상 상여소리 보존회 등 동...


비스바덴 카니발에 한국 상여행렬 참가한다
비스바덴 한인회, 고양시 선공감 김감역 호상 상여소리 보존회 등 동포 80 여명 참가
비스바덴 카니발 퍼레이드가14일(일) 오후 1시 11분부터 시작된다. 엘재써 플라츠(Elsässer Platz)를 출발해서 시내 중심가 약 4.5 킬로미터를 돌게되는 퍼레이드에 한국팀도 대거 참여한다.
지난 한 해 동안 일어난 중요사건이나 화제거리 또는 유명 정치인들을 희화하여 꾸민 모티브차량 8대를 비롯해 테마별로 화려하게 장식을 한 차량 55대, 40필의 말과 7대 마차 그리고 35개의 단체에서 참여한 악대들과 5 천5백여 명의 사람들이 시내 중심가를 두시간여에 걸쳐 행진하며 갖가지 퍼포먼스를 벌일 예정이다.
150년 전통을 자랑하는 비스바덴 카니발이 열리면 시내는 수십 만명의 인파가 몰리면서 발디딜 틈 없을 만큼 축제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가득찬다. 특히 올해는 발렌타인 데이까지 겹쳐 많은 젊은이들과 연인들이 시내로 몰려들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차량은 12시부터 오후 5시 행사가 끝날 때까시 시내 운행이 금지된다.
비스바덴 시장을 비롯해 시의 주요인사들이 탑승한 차량과 방송차량에 이어 등장할 한국팀 참가번호는 118번. 총 240개 팀 중에서 가장 좋은 위치로 알려진 퍼레이드의 가운데 토막을 배정받았다.
이번에 참가하는 한국팀은 고양시 관계자와 고양시 일대에서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김녕김씨 상여팀 40 여명 그리고 비스바덴 한인회(회장 김명우)를 중심으로 한 마인츠, 프랑크푸르트 동포 등 모두 80 여명으로 구성되며 한국의 전통 장례문화를 선보일 예정이다.
상여를 맨 상여꾼들이 구성진 목소리로 상여소리를 외치며 앞서 나가고 뒤따르는 풍물패가 신명나는 공연을 펼친다. 그리고 만장기를 든 수 십명의 동포들이 카니발 인사 "헬라우(Helau)"를 외치며 도로변에 늘어선 시민들에게 사탕을 뿌린다. 동포들은 올해 처음으로 독일 카니발 풍습에 맞춰 한국 사탕을 준비했다.
비스바덴 교민들은 그 동안 무용가 강호정씨를 중심으로 청주 풍물팀 국악예고팀 등과 함께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카니발에 참여해 우리의 전통문화를 알려왔다. 그런데 올해는 특이하게도 한국의 장례문화를 소개한다. 이같은 사실이 독일 매스컴을 통해 보도되면서 비스바덴 시민들의 호기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번에 소개되는 상여 행렬은 "선공감 김감역 호상 상여소리"(보존회장 김우규)라는 고양시 대화리의 집성촌 김녕김씨 문중에서 전승되는 장례문화다. 조선시대 선공감(繕工監)과 중추원(中樞院) 의관직(議官職)을 역임한 김성권 선대조의 상례를 재현한 지역 전통문화로서 선공감 김감역의 며느리인 김재운 할머니(97)의 증언에 따르면 만장기의 행렬이 오리(五里)에 이르렀고 장삿날 조문객 접대 양식으로 무려 12가마의 쌀이 소요되었을 만큼 대단한 행사였다고 한다
"선공감 김감역 호상 상여소리"는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올려져 우수작으로 평가를 받았으며, KBS 국악한마당에도 방영되어 지역문화의 위상을 크게 높인 바 있다. 지금은 실제의 장례보다는 문화행사 내지는 공연작품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장년층에는 향수를 느끼게 하고 청소년들에게는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 이용된다.
비스바덴 한인회에서는 카니발 퍼레이드에 많은 동포들이 동참해 함께 만들어 가는 행사가 되기를 바라고 있다. 관심있는 분들은 김명우회장에게 연락하면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문의처 : 김명우 비스바덴한인회장 전화 0611-3729855
유로저널 프랑크푸르트 김운경
woonkk@hotmail.com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유교경전번역총서)(4)(양장) 유교문화연구소 지음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8.02.28 (0) | 2011.09.23 |
---|---|
读论语孟子法. 论语序说 (0) | 2011.09.23 |
唐诗研究集目 (0) | 2011.09.23 |
唐诗研究资料汇编 (0) | 2011.09.23 |
史跡 巡禮 (5) (0) | 2011.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