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17 10:03
|
|
노비 정초부, 시인(詩人)이 되다 |
▣방송 : 2011. 11. 17 (목) 22:00~22:50 (KBS 1TV)
▣진행 : 한상권 아나운서
▣연출 : 이승하 PD
▣글, 구성 : 고은희 작가
------------------------------------------------------------------------
조선시대 노비의 시집이 발굴되다! |
■ 김홍도의 그림에 실린 노비의 시(詩) |
| |
▲ <송수관화첩>에 수록되어 있는 또 다른 ‘도강도’ |
▲ 동호범주(東湖泛舟) |
한 척의 나룻배가 강을 건너는 모습을 묘사한 김홍도의 <도강도>. 그림의 상단에는 김홍도가 영감을 받았다는 시가 쓰여 있다. 서정적이고 회화적인 필치로 쓰인 시, ‘동호범주(東湖泛舟)’. 그런데 최근 이 시와 동일한 작품이 실린 시집, <초부유고(樵夫遺稿)>가 발굴됐다. 조선 후기 천재 화원의 마음을 움직인 시인은 초부(樵夫). 그는 다름 아닌 ‘나무꾼’이었다! |
■ 노비 시인, 양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다! |
| |
▲ 정초부의 시가 실려 있는 <병세집> |
▲ 월계협에 살던 정초부는 |
|
■ 노비가 어떻게 한시를 짓게 됐을까? |
| |
▲ 화성행궁 낙남헌에서 열린 한시백일장. | |
|
‘주인이 기특하게 여겨 글을 읽게 했다.’ - <삼명시화> |
| |
▲ 여춘영이 정초부를 기리며 쓴 제문 | |
|
■ “시인의 남은 생애는 늙은 나무꾼 신세” |
- 정초부의 시 중 - 정초부를 기리며 주인 여춘영이 지은 제문 중 |
,,,,,,,,,,,,,,,,,,,,,,,,,,,,,,,,,,,,,,,,,,
KBS1 '역사스페셜' 밤 10시
최근 한 대학도서관에서 조선시대 필사본 시집이 발견됐다. 정약용을 비롯해 당대 지식인들의 저작을 모은 이 시집 속에는 별책으로 된 또 하나의 시집 '초부유고(樵夫遺稿)'가 들어 있었다. 나무할 초(樵), 지아비 부(夫), '초부'는 나무꾼이란 뜻으로, 조선시대 최하층 천민인 노비(奴婢) 정초부의 시집이었다.
KBS 1TV '역사스페셜'은 17일 밤 10시 '노비 정초부, 시인(詩人)이 되다'를 방송한다.

그의 시는 김홍도의 그림에서도 발견됐다. 시의 제목은 '동호범주'로 '초부유고'에 실린 것과 동일하다. 김홍도는 이 시에 영감을 받아, '도강도(渡江圖·나룻배가 강을 건너는 그림)'를 그렸다. 조선시대 후기 시인들의 작품을 모은 '병세집'에는 정초부의 시가 열한 수나 실려 있다. 기록에 따르면 정초부는 '동원아집(東園雅集)'과 같은 양반의 모임에 초대됐었다. 그에게 감명받은 양반들은 그가 살던 양근(현재의 경기도 양평) 월계협으로 직접 찾아가기도 했다.
정초부의 시가 실린 시선집은 발견된 것만 10여권에 이른다. 그렇다면 천민인 그가 어떻게 한자로 시를 지을 수 있었을까. 제작진은 그의 재능을 알아본 주인이 아들 여춘영의 글공부에 함께하도록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여춘영의 문집 '헌적집'에는 정초부에 관한 시, 함께 지은 시, 그리고 정초부의 죽음을 애도하는 제문까지 실려 있다.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ebright75&logNo=123211104
,,,,,,,,,,,,,,,,,,,,,,,,,,,,,,
![]() |
고려대도서관 소장 필사본 '초부유고' |
안대회 교수, '樵夫遺稿' 찾아내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그동안 이름만 전해지던 조선 정조시대 노비 정초부(鄭樵夫.1714∼1789)의 한시집 초부유고(樵夫遺稿)가 발굴됐다.
성균관대 한문학과 안대회 교수는 최근 발간된 계간지 '역사비평' 2011년 봄호(통권 94호)에 기고한 글에서 다른 문헌을 통해 그 이름만 알려진 초부유고가 고려대도서관에 필사본 형태로 소장 중이며 여기에 한시 90수 정도가 실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초부유고는 정초부를 포함해 정약용ㆍ박제가ㆍ이학규 등 4명의 시를 골라 묶은 필사본 시집 다산시령(茶山詩零) 안에 포함돼 있었다.
안 교수는 "노비였다가 양인이 된 홍세태(洪世泰.1653∼1725)를 비롯해 조선시대에 노비 시인이라 일컬을 만한 작가가 더러 보이지만 신분이 노비임이 확연한 이가 남긴 시가 이처럼 많이 담긴 한시집은 사실상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발굴된 그의 한시는 "서정적이고 조금은 우수에 찬 느낌을 준다"고 안 교수는 소개했다.
정초부는 글자 그대로는 정씨라는 성씨의 나무꾼이라는 뜻이지만 그의 실제 이름과 어느 집 노비였는 지 등은 명확하지 않았다.
하지만 안 교수는 그와 같은 시대를 살다간 여춘영(呂春永.1734∼1812)이라는 사람의 문집으로 오직 규장각에만 1종이 확인된 헌적집(軒適集)을 함께 찾아내 이에서 정초부 관련 기록을 발굴, 그의 생몰연도를 확인하는 한편, 주인이 여춘영이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여춘영은 조선후기 명문가 집안 중 하나인 함양 여씨다.
헌적집에는 1789년 정초부가 76세로 사망하자 여춘영이 그를 추억하며 지은 만시(輓詩) 12수가 담겨있다.
그 중 한 시에서 여춘영은 "어릴 때는 스승, 어른이 되어서는 친구로 지내며, 시에서는 오로지 내 초부뿐이었지"(少師而壯友, 於詩惟我樵)라고 정초부를 추억하기도 했다.
여춘영은 그를 묻고 돌아오는 길에 다음과 같은 시를 짓기도 했다.
"저승에서도 나무하는가?(黃려<土+廬>亦樵否) / 낙엽은 빈 물가에 쏟아진다(霜葉雨空汀) / 삼한 땅에 명문가 많으니(三韓多氏族) / 내세에는 그런 집에 나시오(來世托寧馨)"
정초부가 나무하는 노비였음은 그 자신의 시에서도 확인된다.
"시인의 남은 생애는 늙은 나무꾼신세(翰墨餘生老採樵) / 지게 위에 쏟아지는 가을빛 쓸쓸하여라(滿肩秋色動蕭蕭) / 동풍이 장안 대로로 이 몸을 떠다밀어(東風吹送長安路) / 새벽녘에 걸어가네 동대문 제이교를(曉踏靑門第二橋)"
정초부는 실제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번에 발굴된 초부유고에는 "정초부는 이름이 이재(彛載)다. 여씨가 노비문권(노비증서)을 불사르니 갈대울(지명)에 거주했다"는 구절이 보인다고 안 교수는 덧붙였다.
정초부는 나무를 하는 노비로 어린 시절 낮에는 나무를 하고 밤에는 주인집 자제들이 배우는 글을 어깨너머로 배웠으며, 이를 주인이 기특하게 여겨 한자를 가르친 것으로 전해진다.
![]() |
여춘영의 문집 '헌적집' 중 정초부 제문 |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루 안데스산맥을 넘으며.... 설산(페루 마지막편) (0) | 2011.11.19 |
---|---|
서울 야경 100경 (0) | 2011.11.19 |
夜坐聞鴻(야좌문홍) - 안축(安軸) (0) | 2011.11.18 |
[스크랩] BBC다큐/Wild Aferica / 제1부 Mountain (1편 ~ 4편) (0) | 2011.11.18 |
[스크랩] 갈라파고스 의 바다속의 세계 (0) | 201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