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리 나라에 야생하는 양치식물, 종자식물과 귀화식물, 그리고 널리 알려진 원예식물을 포함하여, 한반도에 나는 식물 4157가지(종․변종․품종 포함)의 원색 사진과 해설을 실었다. 구본은 한 권으로 냈으나, 이번 새로운 책에는 증가된 신종과 양치식물까지 취급한 관계로 양치식물과 나자식물, 쌍자엽식물의 이판화를「한국식물도감Ⅰ」로 묶고, 쌍자엽식물의 합판화와 단자엽식물을「한국식물도감Ⅱ」로 묶어 두 권의 책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I, II | 이영노·교학사 ![]() 도감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건 역시 사진이다. 다른 식물과 구별하기 쉬운 특징을 잡아 촬영한 사진에는 촬영 날짜와 촬영지가 적혀 있다. 따라서 책장을 넘기며 사진만 보아도 백두산이나 한라산, 설악산의 봄이나 여름 꽃 잔치에 초대된 듯하다. ,,,,,,,,,,,,,,,,,,,,,,,,,,,,,,,,,,,,,,,,,,,,,,,,,,,,,,,,,,
등록 : 2008.06.23 01:13
이영노 교수 타계이영노 전 이화여대 생물학과 교수가 22일 새벽 타계했다. 향년 88. 1920년 전북 군산에서 태어난 이 전 교수는 고 이창복 박사와 한국 식물분류학계의 양대 거목으로 꼽힌다. 전주사범시절부터 “식물관찰도를 잘 그린다”는 칭찬을 받은 것을 계기로 일찌감치 식물 연구에 입문한 그는 한라산 250여 차례, 백두산 20여 차례 등 70년 동안 우리나라 산하를 누비며 식물 연구에 몰두했다. 학명에 자신의 이름을 붙인 식물만 250여종에 이른다. 2006년 2권으로 펴낸 <새로운 한국식물도감>(교학사)에는 한반도에 서식하는 식물(4157종)에 대한 사진과 해설을 집대성해 놓았다. 서울대(생물학 학사), 미국 캔자스주립대(식물학 석사), 도쿄대(이학 박사)에서 수학했으며 65년부터 이대 교수로 재직했다. 한국식물연구원 원장, 식물분류학회 회장, 이대 자연사박물관 관장과 생활과학연구원 원장 등을 지냈다. 유족으로는 부인 장정원씨와 원세(사업), 관세(에너지관리공단 실장), 현세(전 대구시향 상임지휘자)씨 3남이 있다. 발인 24일 오전 8시 삼성서울병원. (02)3410-6915. 양치식물 이상의 고등식물로 조직 속에 관다발이 있는 식물인 관다발식물(관속식물) 가운데 한반도에 나는 것은 몇 종류나 될까? 식물학계에서는 대략 4000여종으로 보고 있다. 우리 땅에 나는 이 4000여종의 관다발식물을 거의 모두 사진으로 볼 수 있는 대형 식물도감 〈한국식물도감〉(전 2권)이 교학사에서 새로 나왔다.〈한국식물도감〉은 원로 식물학자인 이영노 한국식물연구원 원장이 70여년에 걸쳐 모은 자료를 정리한 역작이다. 한반도에 나는 식물 4157종을 사진과 해설로 다루고 있어 두 권 합쳐 1864쪽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다. 책 값은 각권 15만원. 사진은 지은이가 직접 찍은 것을 주로 쓰고, 일부 사진들은 관련 전문가들의 것으로 보충했는데, 북한 지역 식물들은 주로 중국쪽 백두산과 중국 동북 지방에서 찍은 사진으로 수록했다고 한다. |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송오십주년기념진경시대회화대전,13일부터 27일까지 성북동 간송미술관에서 (0) | 2012.05.11 |
---|---|
석전대제 (0) | 2012.05.10 |
한국의 나무 저자와 함께 하는 나무 답사기행. (0) | 2012.05.04 |
한국의 나무,김진석 , 김태영 지음 ,돌베개 | 2011.12.19 ,판형 A5 | 페이지 수 688 | (0) | 2012.05.04 |
하버드대·MIT 무료 온라인 강의 시작… 美 대학 등록금 인하 이끄나 (0) | 2012.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