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fe.daum.net/jth5782/JrZn/146 고령에 달 뜨거든
<울금>
울금 설명에서는, 다시 같은 식물로 설명을 하고 있네요.
터메릭 [薑黃, 姜黃, 鬱金(울금), Turmeric]
강황의 뿌리 부분을 건조한 다음 빻아 만든 노란색 향신료로 강황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향신료로 이용하는 것은 뿌리 줄기 부분으로 터메릭이라고 부른다. 껍질을 벗긴 뿌리를 삶아 건조하여 빻으면 노란색 분말이 되는데, 이것이 카레를 비롯한 여러 요리의 향신료 및 착색용으로 쓰인다. 독특한 흙냄새가 나기 때문에 향신료보다는 착색용으로 주로 쓰인다.
고대로부터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는 향신료뿐만 아니라 의복의 염료나 의학적인 치료제로 사용했다. 유럽에는 중동을 거쳐 전해졌다. 터메릭이란 이름은 아랍어의 'kurkum'에서 유래되었는데 이것은 '사프란'을 뜻하는 말이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터메릭이 '동양의 사프란'으로 알려져 있다.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인도, 중동, 북아프리카의 요리 중에서도 카레나 쌀을 이용할 때에는 빠져서는 안 되는 향신료 중 하나로 향과 색을 내는데 쓰이고 있다. 세계 각지에서 요리의 향과 색을 더하는 것 외에 섬유, 양, 피혁 등의 염색에도 이용되고 있다. 또 우스터 소스의 맛을 더하거나 피카릴리라는 고추절임의 양념으로도 쓰인다. 요리의 마지막에 넣어야 쓴 맛이 나지 않는다.
위장이 좋지 않을 때나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고, 혈행을 개선하고 생리불순을 치료한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간장질환, 자궁근종, 황달을 치료하는 생약으로 쓰인다. 소화기관과 호흡기를 강하게 자극하고 항염작용과 살균작용이 있다. 습포약으로 타박상이나 염좌에 쓰거나 백선 등의 피부병 치료에도 쓰인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터메릭수를 오데코롱이나 화장수로도 이용하고 있다. 터메릭은 직접 가루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분말로 판다. 색은 변하지 않지만 향이 쉽게 사라지기 때문에 소량씩 구입하여 밀폐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원산지는 열대아시아와 인도차이나반도이고, 주산지는 인도, 스리랑카, 자바, 중국, 페루 등이다.
ㅇ 복용방법....
- 울금차 : 울금의 껍질을 벗겨 잘 게 썬 후 꿀이나 설탕을 적당히 타서 끓여 마신다.
- 울금주 : 울금의 껍질을 벗겨 소주와 설탕을 혼합하여 3개월 이상 숙성 후 마시면 좋다.
(소주 1.0리터 : 울금 500~600g : 설탕 25~30g)
- 식수로 음용 : 울금의 껍질을 벗겨 잘 게 썰어 물에 넣고 끓인 후 식수대용으로 마시면 좋다
(물 1.8리터 : 울금 30~40g) 분말로 복용시 티스푼으로 아침 저녁으로 식후 복용하고
모든 음식에 첨가해서 식용하셔도 좋다. 카레음식 만들때 사용하면 더욱 좋다.
ㅇ 울금의 효능
- 위장 - 위산분비 조절, 위염,건위,위궤양
- 간장 - 담즙분비 촉진,간애독기능 향상, 황달,담낭결석,간장질환,담관염,간염,비알콜성지방간
- 자궁 - 생리불순,월경통,자궁근종,산후복통,우월경
- 심장 - 동맥경화,혈행활성,관상동맥 반괴형,성감소, 강심작용,고혈
- 기타 - 항산화작용- 노화예방, 향염, 항균작용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과 관련된 유행가를 조정현님이 해설 (0) | 2012.07.01 |
---|---|
元曲、불우한 이들의 통곡≫ (윤현숙 지음, 천지인 (0) | 2012.06.28 |
2012 한국목판 특별전 서울서예박물관 무료 (0) | 2012.06.27 |
흥선대원군, 며느리 명성황후한테 한글편지" (0) | 2012.06.27 |
서울 세시 한시,진경환 옮김,보고사 | 2003.11.30 ,페이지 수 664 (0) | 201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