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스크랩] 草訣百韻歌 譯解 (序 文 및 차림표)

굴어당 2012. 10. 3. 22:15

 

                                                                 2009. 06. 筆者의 近影

 

 

                                                     1937년 생, 공주잉태 청주출산

                                                     1956. 청주사범학교 졸업

                                                     1970까지 초등학교 교직복무

                                                     1980까지 富農場 경영

                                                     2005까지 자영업 영위

                                                     2006이후 鳳鳴齋 蟄居 漢 詩文 獨習

 

                                    후손으로 아들 陽奎 딸 貴淑을 두었고,  妻는 潘南 朴氏,  號는 鳴知

 

                                    著書는 草訣百韻歌 譯解                                     

 

 

 

                                   삶에서의 座右銘

                                   貪 하지 말라.

                                   남에게 弊害를 끼치지 말라.

                                   살아가는 동안 더러움을 세상에 남기지 말라.

                                  이 세상이 모두가 너만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序       文

 

한자(漢字)의 초서(草書)에 대하여 고찰(考察)해 보건데, 초서(草書)는 그 발달해 온 과정(過程)의 역사적 유래(由來)나 배경(背景)을 떠나서 유독(惟獨) 한자(漢字)만이 갖고 있는 특이 현상으로서, 세계 어떤 문자도 글자 하나하나에 대한 초서체(草書體)를 갖는 문자는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초서가 한자(漢字)에서만이 유독 발달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한자(漢字)는 획수(劃數)가 많고 자(字)의 구조(構造)가 번잡(煩雜)하여 필사(筆寫)할 때에 많은 노력(勞力)이 소요(所要)되는 고로 고대(古代) 중국의 황하문명(黃河文明)이 발달하는 과정(過程)에서 문자(文字)가 통치자(統治者)의 령(令)이나 치적(治積)을 신하(臣下)와 사관(史官)들에 의하여 기록되던 마당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 속기(速記)상의 방편(方便)이 초서(草書)가 발달하게 된 연원(淵源)인 것이다. 그리고 초서(草書)가 사회 일반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일 수 있게 된 배경(背景)은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와 같은 천재(天才)들에 의하여 수려(秀麗)한 초서체(草書體)가 창작(創作)될 수 있어서, 관리(官吏)들의 속기(速記)뿐 아니라 문학(文學)과 서예(書藝) 분야에서 초서체(草書體)가 적용되어 자리 잡게 된 것으로, 일반인들도 이를 배우고 익혀 쓸 수 있게 되었음은 물론이고 이를 한층 발전시키고 널리 전파(傳播)하여 후대(後代)에게 계승(繼承)하는 문화적(文化的) 영역(領域)으로 승화(昇華)되었고 그것이 오늘에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인들은 인류문명(人類文明)이 무한정(無限定)으로 발전해 가는 격랑(激浪) 속에 살고 있어서, 지난 3천여 년에 걸친 오랜 동안 우리의 선인(先人)들이 삶속에서 초서 익히기에 필생(畢生)을 바쳤던 것을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현대를, 인쇄기술(印刷技術)의 발달이 가져온 각종 서적과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소식을 시시각각 전해 주는 문자매체(文字媒體)가 바다처럼 널려있고, 전파통신을 통한 시청각(視聽覺)적 정보화(情報化)의 발달로 전 세계가 하나의 internet으로 연결되어 일망소통(一網疏通)을 이룬 정보(情報) 홍수(洪水)의 시대라고 정의(定義)한다면, 옛 선인들이 살았던 시대 는, 자신의 의사(意思)를 전달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 고작 천생(天生)의 언어(言語)말고는 문자(文字)가 유일한 도구였던 암울(暗鬱)하기가 그지없던 시대였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문자사용을 잘 하느냐 못 하느냐의 여부가 사회적 지위(地位)가 판가름 날 수밖에 없는 문자만이 유일한 소통의 도구였던 사회에서, 옛 선인들이 漢字의 초서(草書)에 대한 집착(執着)이 클 수밖에 없었던 것은 너무나 당연한 잉과(仍果)였을 것이다.

 

돌이켜 보면 타자기와 복사기가 정부의 공용문서에 사용되기 이전에는 면사무소 군청에서 호적등본 등 민원서류의 발급은 담당 직원이 펜으로 일일이 써서 계장 과장의 확인을 받아 발급되던 것이, 타자기와 복사기가 도입 되면서 부터는 필사체로 된 서류는 모두 타자 친 서류로 바뀌었고, 접수된 민원서류는 복사기로 즉시 복사해 발급되는 정부 문서에 일대 혁신이 일어났던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는데, 지금의 IT정보화 시대는 컴퓨터와 출력기에 의해 즉각적 발급의 초특급 시대를 넘어 이젠 전국 네트워크로 인한 원격공간마저 없어진 시대가 되었으니, 참으로 격세지감이 들고도 남는다.

 

이와 같이 지금의 현대인들이 정보소통의 Hi-way를 질주해 갈 수 있는 원동력으로 컴퓨터라는

 

                                                                  -1-

 

-----------------------------------------------------

 

하드웨어 그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다고 한다면, 옛 선인들의 소통문화(疏通文化)에서는, (草書)라는 Hi-way를 달릴 수 있기 위해서, 운문(韻文)이라는 하드웨어에 비결(秘訣)이라는 소프트웨어를 담은 초결백운가를 창안해 운용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지난 누천년(累千年)에 걸쳐 수많은 묵선필재(墨選筆才)들의 탁마정진(琢磨精進)에 의하여 완성된 ‘草訣百韻歌’는, 오늘 날 우리 인류문명에서 활짝 피어난 지식정보화(知識情報化) 문화를 잉태하였던 모태(母胎)였고 씨앗이었음이 새삼스레 깨닫게 하고 있다.

 

이러함에도 우리 후인(後人)들이 이를 가벼이 하여 소중한 우리의 문화적 자산(資産)의 근원(根源)을 영영 잃고 만다면, 앞으로 우리는 우리 인류의 지식정보화문화(知識情報化文化)의 뿌리와 지주(支柱)를 과연 어디서 구하고 그것을 유산으로 남겨 후대에 물려줄 것인지 심히 우려될 일이 아닌가 한다.

 

초결백운가(草訣百韻歌), 글자 그대로 초서를 익히기 위한 비결의 백가지 운문으로 된 노랫말이다. 바꾸어 말한다면 초서(草書)를 익히기 위한 비결(秘訣)을 운문(韻文)이라는 틀에 맞추어 담아낸 것을, 운문해석(韻文解釋)이라는 창(窓)을 통하여 그것을 알아낼 수 있도록 짜여있는 것이 바로 ‘草訣百韻歌’라고 정의(定義)할 수 있는 것이다. 초결백운가를 통하여 초서(草書)를 제대로 익힌다는 것은, 초결백운가를 단순히 서체(書體)나 임사(臨寫)하는 모본(摹本)으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문화적 교재(敎材)로서 운문적(韻文的) 해석을 통하여 그에 담긴 내용을 알아내고 그 속에 담긴 선인들의 체취에서 풍기는 무한한 지혜를 배움으로서 우리들의 삶속에다 자양분으로 담아낼 수 있어야 되는 게 아닌가 한다.

 

이것은 본 역해본(譯解本)이 갖고자 하는 생각이고 역할(役割)이고자 하는 바이기도 하다.

초결백운가 본문 끝에 習觀羲獻跡 免使墨池渾 -王羲之와 王獻之의 필적을 익히고 알아 볼 수 있게 하여, 붓글씨를 배우는 이들로 하여금 혼잡스러움을 면케 하려는 데에 있다. 로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서 書聖 王羲之는 초서를 창안하기는 했지만 초결백운가를 지은 작자(作者)는 아닌 것이 분명하다. 초결백운가는 어느 한사람의 작자에 의하여 집필된 것이 아니고, 왕 서성(王 書聖)의 門徒들이 스승으로부터 배운 서체(書體)를 후락(後學)들에게 전수(傳授)하면서 초서를 터득(攄得)할 수 있는 학습요령을 한두 가지씩 창안하기 시작한 것이 후대로 이어지고 누대(累代)에 걸쳐 집성(集成)돼 오면서 완성을 본 것으로 미루어 짐작되고 있다. 필자가 이 역해(譯解) 본을 쓰면서 느낀 바로는 초결백운가는 일점일획(一點一劃)도 고칠 수 없는 완벽하게 결정(結晶)을 이룬 완성품은 아닌 것으로 보여 진다. 아직 여러 곳에서 미비점이나 모호한 자획(字劃) 등이 남아있어 향후 완성을 향한 연구가 계속 뒤따라야 하는 것이 긴요하다 하겠다. 그러한 의미로서 본 역자(譯者)는 본 역해본(譯解本)이 서예(書藝), 문예(文藝), 운문한학(韻文漢學)등 관련분야와 학계(學界)의 호수(湖水)에 던지는 하나의 돌멩이가 되기를 바라고서, 두렵고 부끄러움을 끌어안은 채 세상의 길거리에 내어 놓았음을 밝혀둔다.

 

끝으로 책을 펴낼 수 있도록 ‘草訣百韻歌’ 원문자료(原文資料) 사용을 흔쾌히 승낙 하신

自由中國 華正書局有限公司 代表 郭淑慧님의 전폭적 지원에 감사드린다.

                                                                               2009. 孟冬 淸州 興德 鳳鳴齋에서 自序

 

                                                                  -2-

 

-----------------------------------------------------

 

                                                      차       림       표

           1. 序 論 ------------------------------------------------------- 1

           2. 草訣百韻歌 譯解 ---------------------------------------------- 2

               - 草訣百韻歌 韻文解釋의 窓을 열며 -

               - 일러두기 -

   

  韻番

               韻         文

  쪽

  韻番

               韻         文

  쪽

    1

  草聖㝡爲難 龍蛇競筆端

   4

   31

  滿外仍知備 醫初尙類堅

  24

    2

  毫釐雖欲辨 體勢更湏完

   32

  直湏明謹解 亦合別荊前

    3

  有點方爲水 空挑却是言

   6

   33

  顙向戈牛始 雞湏下子先

  26

    4

  宀頭無左畔 辵遶闕東邊

   34

  撇之非是乏 勾木可成村

    5

  長短分知去 澈茫視每安

   35

  蕭鼠頭先辨 寅賓腹裏推

    6

  步觀牛引足 羞見羊踏田

   8

   36

  之加心上惡 兆戴免頭龜

  28

    7

  六手宜爲禀 七紅卽是袁

   37

  點至堪成急 勾干認是卑

    8

  十朱知奉己 三口代言宣

   38

  壽宜圭與可 齒記止加司

    9

  左阜貝丁反 右刀寸點彎

  10

   39

  右邑月何異 左方才亦爲

  30

   10

  曾差頭不異 歸浸體同觀

   40

  擧身爲乙未 登體用北之

   11

  孤殆通相似 矛柔總一般

   41

  路左言如借 時邊寸莫違

   12

  釆夆身近取 熙照眼前看

  12

   42

  草勾添反慶 乙九貼人飛

  32

   13

  思惠魚如畵 禾乎手似年

   43

  惟末分憂夏 就中識弟夷

   14

  旣防吉作古 更慎達爲連

   44

  (치)齋曾不較 流染却相依

   15

  宁乃繁於叔 侯兮不减詹

  14

   45

  或戒戈先設 皐華脚預施

  34

   16

  稱攝將屬倚 某棗借來旋

   46

  睿虞元彷彿 拒捉自依稀

   17

  慰賦眞難別 朔邦豈易叅

   47

  頂上哀衾別 胃中器谷非

   18

  常收無用直 密上不須宀

  16

   48

  止知民倚氏 不道樹多枝

  36

   19

  才畔詳牋牒 水元看永泉

   49

  慮逼都來近 論臨勿妄窺

   20

  柬同東且異 府象辱還偏

   50

  起旁合用短 遣上也同迷

   21

  才傍干成卉 勾盤柬作闌

  18

   51

  欲識高齊馬 湏知兕旣兒

  38

   22

  鄕卿隨口得 愛鑿與奎全

   52

  寺專無失錯 巢(율)在思維

   23

  玉出頭爲武 干啣點是丹

   53

  丈畔微彎使 孫邊不緖絲

   24

  蹄號應有法 雲虐豈無傳

  20

   54

  莫敎凡作願 勿使雍爲離

  40

   25

  盜意脚同適 熊絃身似然

   55

  醉碎方行處 麗琴初起時

   26

  矣其頭少變 兵共足隻聯

   56

  栽裁當自記 友發更湏知

   27

  莫寫包庸守 勿書綠是緣

  22

   57

  忽訝劉如對 從來缶似垂

  42

   28

  謾將繩當臘 休認寡爲寬

   58

  含貪眞不偶 退邑尙參差

   29

  卽脚猶如恐 還身附近遷

   59  

  減滅何曾誤 黨當未易追

   30

  寒容審有象 憲害寘相牽

  24

     

---------------------------------------------------------------------------

 

  韻番

            韻           文

  쪽

  韻番

           韻           文

  쪽

   60

  女懷丹是母 叟棄點成皮

  44

   84

  而由問上點 早得幸頭門

  60

   61

  若謂涉同淺 湏敎賤作師

   85

  耻死休相犯 貌朝喜共臨

   62

  黿鼉鼂一類 茶菊策更親

   86

  鹿頭眞戴草 狐足乃疑心

   63

  非作渾如化 功勞總若身

  46

   87

  勿使澈成漸 奚容悶卽昆

  62

   64

  示衣尤可惑 奄宅建相隣

   88

  作南觀兩甫 求鼎見棘林

   65

  道器吳難測 竟充克有倫

   89

  休助一居下 棄奔七尙尊

   66

  市於增一點 倉欲可同人

  48

   90

  隸頭眞似繫 帛下卽如禽

  64

   67

  數叚情何密 曰甘勢則勻

   91

  溝渫皆從戈 紙箋並用巾

   68

  固雖防夢蕑 自合定浮淳

   92

  懼懷容易失 會念等閒幷

   69

  添一車牛幸 點三上下心

  50

   93

  近息追微異 喬商矞不羣

  66

   70

  叅參曾不別 鬨巽豈曾分

   94

  款頻終別白 所取豈容昏

   71

  奪舊元無異 嬴羸自有因

   95

  慼感威相等 馭敦殷可親

   72

  勢頭宗摰絜 章體效平辛

  52

   96

  台名依召立 敝類逐嚴分

  68

   73

  合戒哉依歲 寧容拳近秦

   97

  鄒歇歌難見 成幾賊易聞

   74

  邪聽行復止 卽斷屈仍伸

   98

  傅傳相競點 留辯首從心

   75

  田月土成野 七九了收聲

  54

   99

  昌曲終如魯 食良末若呑

  70

   76

  最迫艱難歎 尤疑事予爭

  100

  改頭聊近體 曺甚不同根

   77

  葛尊草上淂 廊廟月邊生

  101

  舊說唐同鴈 嘗思孝似存

   78

  里力斯成曼 圭心可是春

  56

  102

  掃搊休淂混 彭赴可相侵

  72

   79

  出書觀項轉 別列看頭平

  103

  世老偏多少 謝衡正淺深

   80

  我家曾不遠 君畏自相仍

  104

  酒花分水草 技放別支文

   81

  甚乂犬傍獲 么交玉伴瓊

  58

  105

  可愛郊鄰郭 偏宜諶友湛

  74

   82

  膝滕中委曲 次比兩分明

  106

  習觀羲獻跡 免使墨池渾

   83

  二下客爲亂 宀藏了則寧

 

              -草訣百韻歌 韻文解釋의 窓을 닫으면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3. 草訣百韻歌 字音 索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4. 草訣百韻歌 部首 別 索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附錄- 草訣百韻歌 作者 및 板本 來歷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追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출처 : 굴어당의 漢詩(唐詩.宋詩.漢文)
글쓴이 : 봉명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