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번역원과 함께하는 인문학 산책] 경허선사와 영남 선비
유·불 공존 어려웠던 역사속 승려와 선비 간의 필담 우정…학자로서 열린 자세 보여줘경허(鏡虛) 성우(惺牛)는 이미 전설 속의 사람이 됐다. 경허가 입적한 지 꼭 100년이 지났을 뿐인데 그는 우리에게 아득한 옛날 사람처럼 느껴진다. 경허는 상식을 벗어던진 무애행의 극치를 보이다가 만년에는 저 북단의 오지인 삼수갑산으로 들어가 행적이 묘연해졌다. 그는 근세 한국 선(禪)의 중흥조로 높이 추숭되고 있는 터라 그가 사라지고 없는 자리에서 그를 둘러싼 신비한 소문이 날이 갈수록 무성해졌다.경허가 불교를 공부하는 영남 예천의 선비에게 보낸 편지를 소개한다. 완고한 도학의 고장인 예천의 선비가 불교를 좋아하고 경허와 사귀었다는 것은 특별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경허집(鏡虛集)》중 ‘장상사와 김석두에게 올리는 편지(上張上舍金石頭書)’다.‘지난달 모일에 실상사 약수암의 승려 편에 서찰 한 통을 부쳤는데, 받아 보셨는지요. 지금 용문으로 가는 인편이 있기에 몇 자 적어서 부칩니다. 유가에서는 “군자는 자기를 미루어 갈 뿐이니, 자기에 만족해 밖에서 바라고 기다림이 없는 것을 덕이라 한다”고 했으니, 이것은 선비들이 늘 하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이 말을 불교 공부에 적용해 보면 그 이치가 매우 많고 큽니다. 대개 생사와 열반, 범성(凡聖)과 선악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참선, 송경(誦經), 기도, 염불 등 수행까지도 모두 밖의 것이 아님이 없으니, 자기 밖의 것이라면 이미 옳지 않습니다. 동정운위(動靜云爲)의 모든 행위에 자기도 모르게 외물(外物)에 얽매이고 이끌리는 것이 마치 교외의 우산(牛山)과 같습니다.’편지는 이렇게 이어진다.‘조공(肇公)이 이르기를 “지인(至人)은 자기가 없다”고 했는데, 이는 교가(敎家)에서 너무나 많이 써서 싫증이 나는 말이지만 도리어 맛이 있습니다. 그래서 옛 스님이 이르기를 “지극히 반조(返照)해 자신이 의지할 ...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草訣百韻歌 譯解 (序 文 및 차림표) (0) | 2012.10.05 |
---|---|
[스크랩] 초결백운가역해ㅡ도서출판 봉명지음방 (0) | 2012.10.05 |
Re:电视剧: 铁齿铜牙纪晓岚 1-43집 (0) | 2012.10.04 |
草訣百韻歌>(燕山学迟讲解)邱闽泉书法演示并讲解 1-9 (0) | 2012.10.04 |
Re:邱闽泉书法演示并讲解《草訣百韻歌》(第五部分)동영상 (0) | 201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