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chosun.com/svc/list_in/list.html?catid=62M
정민의 세설신어] [193] 오로칠상 (五勞七傷)
정 민 /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유만주(兪晩柱·1755~1788)의 일기 '흠영(欽英)'을 읽다가 다음 대목에서 눈이 멎는다.
"사람이 살면서 '오로칠상(五勞七傷)'을 면할 길이 없다. 좋은 음식을 복용하는 꾀는 결단코 황당한 말이 아니다. 음식이나 여색처럼 삶을 해치는 것 외에도, 나랏일로 고민하고 백성을 위해 근심하거나, 헐뜯음을 염려하고 미워함을 두려워하는 것, 얻음을 기뻐하고 잃음을 걱정하는 것 따위가 모두 수고와 손상을 부르는 원인이다. 하지만 수련하고 섭양하는 것은 늘 산이나 물가에 숨어야만 한다. 왕공이나 귀인은 자녀와 재물에다 언제나 진한 술에 취해 사는 것을 근심한다. 마음을 맑게 하고 욕심을 줄일 처방을 펼 방법이 없다. 경옥고(瓊玉膏)는 진실로 좋은 약이다. 쇠약한 데 아주 그만이다. 젊은 사람에게도 잘 듣는다. 이제 전체 약재의 값을 따져보니 상평통보로 1000여냥이나 든다."
'오로칠상'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행동을 나열한 의학 용어다. 먼저 오로(五勞)는 질병을 부르는 다섯 가지 피로다. '소문(素問)'이란 의서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한곳만 뚫어져라 보는 구시(久視)는 상혈(傷血)을 부른다. 누워만 있는 구와(久臥)는 상기(傷氣)가 문제다. 계속 앉아있는 구좌(久坐)는 상육(傷肉)으로 나타난다. 오래 서있는 구립(久立)은 상골(傷骨) 즉 관절을 상하게 한다. 계속 다녀야 하는 구행(久行)은 상근(傷筋) 즉 근육을 손상한다. 공부하는 학생이나 사무직은 구시와 구좌를 면할 수 없고, 노인은 구와나 구좌가 문제다. 다니며 물건 파는 사람은 구행에서 탈이 난다.
칠상(七傷), 즉 손상을 가져오는 일곱 가지 행동은 어떤 것이 있나? 지나친 포식은 비장을 손상한다. 과도한 노여움은 기운을 역류시켜 간을 상하게 만든다. 용을 써서 무거운 것을 들거나, 습한 곳에 오래 앉아 있으면 신장이 망가진다. 추운 곳에 있거나 찬 음료를 마시면 폐가 상한다. 육신을 힘들게 하고 뜻을 손상하면 정신이 무너진다. 비바람과 추위 및 더위는 육신을 망가뜨린다. 두려움과 절제 없는 행동은 뜻을 꺾어버린다.
경옥고의 보양 효과가 대단해도 너무 비싸니 그림의 떡이다. 산속으로 들어갈 수도 없다면 절제 있는 생활 습관과 규칙적인 운동밖에는 방법이 없겠다.
,,,,,,,,,,,,,,,,,,,,,,,,,,,,,,,,,,,,,,,,,,,,,,,,,,,,,,,,,,,,,,,,,,,,,,,,,,,,,,
- [정민의 세설신어] [193] 오로칠상 (五勞七傷)2013.01.15 (화)
- 유만주(兪晩柱·1755~1788)의 일기 '흠영(欽英)'을 읽다가 다음 대목에서 눈이 멎는다."사람이 살면서 '오로칠상(五勞七傷)'을 면할 길이 없다. 좋은 음식을 복용하는 꾀는 결단코 황당한 말이 아니다. 음식이나 여색처럼 삶을 해치는 것 외에도, 나랏일로 고민하고 백성을 위해 근심하거나, 헐뜯음을 염려하고 미워함을 두..
- 정 민 /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정민의 세설신어] [192] 착념삼일(着念三日)2013.01.08 (화)
- 이덕무(李德懋·1741~1793)가 '선귤당농소(蟬橘堂濃笑)'에서 말했다."옛날과 지금은 큰 순식간이요, 순식간은 작은 옛날과 지금이다. 순식간이 쌓여서 문득 고금이 된다.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수없이 서로 갈마들어 끊임없이 새것이 생겨난다. 이 속에서 나서 이 속에서 늙으니, 군자는 이 사흘에 마음을 쏟는다(生於此中,..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정민의 세설신어] [191] 의재필선(意在筆先)2013.01.01 (화)
- 청나라 때 문인 왕학호(王學浩)는 여러 번 과거에 낙방했다. 그는 대강남북(大江南北)을 여유롭게 노닐며 그림으로 생계를 이었다. 그림의 격이 워낙 높아 사대부들이 다투어 높은 값에 그의 그림을 사들였다. 남종화의 대가로 기려졌다. 그가 자신의 화첩에 이렇게 썼다. "그림의 여섯 가지 방법과 한 가지 원리는 단지 '사..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정민의 世說新語] [190] 추연가슬 (墜淵加膝)2012.12.25 (화)
- 연암 박지원이 면천 군수 시절, 충청 감사가 연분(年分)의 등급을 낮게 해줄 것을 청하는 장계를 누차 올렸지만 번번이 가납되지 못했다.다급해진 감사가 면천 군수의 글솜씨를 빌려 다시 장계를 올렸다. 연암이 지은 글이 올라가자 그 즉시 윤허가 떨어졌다. 감사는 연암을 청해 각별히 대접하고 은근한 뜻을 펴보였다.하루..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정민의 세설신어] [189] 견양저육 (2012.12.18 (화)
- 견양(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정민의 세설신어] [188] 모릉구용(摸稜苟容)2012.12.11 (화)
- "사람을 살피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 형상을 살피지 않고, 그림자만 살피면 된다. 겉모습에 힘을 쏟는 것이 형상이고, 참된 정에서 드러난 것이 그림자다. 능히 만종(萬鍾)의 녹을 사양하다가도 콩국 앞에 낯빛을 잃는다. 입으로는 백이(伯夷)를 말하지만 마음속에는 도척(盜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정민의 世說新語] [187] 치모랍언 (梔貌蠟言)2012.12.04 (화)
- 시장에서 말 채찍을 파는 자가 있었다. 50전이면 충분할 물건을 5만전의 값으로 불렀다. 값을 낮춰 부르면 마구 성을 냈다. 지나가던 부자가 장사꾼의 말에 혹해 5만전에 선뜻 그 채찍을 샀다. 부자가 친구에게 새로 산 채찍 자랑을 했다. 살펴보니 특별할 것도 없고 성능도 시원찮은 하품이었다. "이런 것을 어찌 5만전이나..
-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 [정민의 세설신어] [186] 각곡류목(刻鵠類鶩)2012.11.27 (화)
- 후한의 명장 마원(馬援)에게 형이 남긴 조카 둘이 있었다. 이들은 남 비방하기를 즐기고, 경박한 협객들과 어울려 지내기를 좋아했다. 멀리 교지국(交址國)에 나가 있던 그가 걱정이 되어 편지를 보냈다. 간추린 내용은 이렇다."나는 너희가 남의 과실 듣기를 부모의 이름 듣듯 했으면 좋겠다. 귀로 듣더라도 입으로 옮겨서..
-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诗人的称号,历史上谁写的诗最多? 등등 (0) | 2013.01.20 |
---|---|
春节对联 (0) | 2013.01.19 |
[발언대] '길 위의 스마트폰'은 흉기다. (0) | 2013.01.17 |
月令七十二候集解 (0) | 2013.01.14 |
사이버서당(www.cyberseodang.or.kr)에서 무료로 한자 공부하세요. " (0) | 201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