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cafe.naver.com·tangshi.

역주 예개(藝槪) 유희재 지음, 윤호진, 허권수 역. 소명출판

굴어당 2013. 8. 29. 20:57

역주 예개

저자
유희재 지음
출판사
소명출판 | 2010.05.15
형태
PDF 페이지 수 592 | ISBN
ISBN 10-8956264732
이용환경
eBook단말기 지원기기
교보문고지원기기는 교보문고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가
22,800
제품 정보
제품명 :
역주 예개(藝槪)
저자정보 :
유희재 지음, 윤호진, 허권수 역
발행처 :
소명출판
ISBN13 :
978-89-5653-632-3
주제분류 :
[기본분류]문학 > 문학일반
 
[KDC분류]문학 > 중국문학 > 중국문학
발행년도 :
2012-08-09
제품 소개
『예개(藝槪)』는 청대 말기의 중국을 대표하는 문학이론가 유희재(劉熙載, 1813~1881)가 문학전반과 서예에 걸친 분야의 이론을 정리한 제품입니다. 중국문학사에서 『예개』처럼 예술영역에 속하는 여러 분야에 대해 독립적으로 체계를 세워 정리한 책은 찾아보기 어려우며 저자 유희재의 문학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는 물론 더 나아가서는 중국의 예술분야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제품입니다.
저자 소개
  • - 유희재
     중국 근대의 문론가 겸 시문가로, 자는 백간(伯簡), 호는 융재(融齋), 만년에는 오애자(寤崖子)라는 호를 사용하였다. 강소성(江蘇省) 흥화(興化) 사람으로, 1844년(道光 24), 32세 때에 진사가 되었고, 한림원서길사(翰林院庶吉士)에 뽑혔다가, 다시 편수관(編修官)에 제수되었으며, 1864년(同治 3), 53세 때에 국자감사업(國子監司業)이 되었다. 그 뒤에 광동학정(廣東學政), 첨사부(詹事府) 좌춘방(左春坊) 좌중윤(左中允)으로 옮겼는데, 1866년에 임기가 차기도 전에 벼슬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같은 해에 증국번(曾國藩)이 양강총독(兩江總督)에 임명되자, 상해에서 공창(工廠)의 일을 하게 되었는데, 이 일을 계기로 만년에는 상해(上海) 용문서원(龍門書院)의 주강(主講)으로 14년간이나 있었다. 그는 평생 동안 교육사업에 종사하였고, 학술연구에 잠심하였으며, 경학(經學), 음운학(音韻學), 산학(算學)에 정통하였고, 더 나아가 자(子)․사(史)․시(詩)․부(賦)․사곡(詞曲)․서법(書法)에도 해박하였다. 저술로는 『고동서옥육종(古桐書屋六種)』 즉 『사음정절(四音定切)』 4권, 『설문쌍성(說文雙聲)』 2권, 『설문첩운(說文疊韻)』 2권, 『작비집(昨非集)』 4권(우언고사사집인 『오애자(寤崖子)』 1권 포함), 『지지숙언(持志塾言)』 2권, 『예개』 등이 있다.
    - 윤호진
     국민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0년부터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있다. 영국 셰필드대학 방문교수, 중국 무한대학 방문학자를 지냈고,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방문학자를 지냈다. 논문으로는 「서정 한시의 의미표출양상에 관한 연구」 외 40여 편이 있고, 역서로는 『조선부』 외 20여 종이 있으며, 저서로는 『한시와 사계의 화목』(교학사, 1997) 등이 있다.
    - 허권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문학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3년부터 경상대학교 중문학과․한문학과 교수로 있으며, 중국 화중사범대학 겸직교수를 맡고 있다. 중국 북경대학 방문학자, 중국 북경사범대학 고급방문학자를 지냈고,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소장, 우리한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현재 한국한문교육학회 부회장, 연민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논문으로는 「17세기 남인과 서인의 학문적 대립」 외 70여 편이 있고, 역서로는 『시화총림』 외 20여 종이 있으며, 저서로는 『절망의 시대 선비는 무엇을 하는가』(한길사, 2001) 등이 있다.
수록 내용
  • 문개(文槪)
  • 시개(詩槪)
  • 부개(賦槪)
  • 사곡개(詞曲槪)
  • 서개(書槪)
  • 경의개(經義槪)
제품 특징
  • 각 권의 체제는 대개 먼저 각 분야의 통론을 서술하고, 그 뒤에 각론을 붙이고, 이어서 작법을 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