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카테고리 없음

중국시사.저자 송용준|명문당 |2017.03.10

굴어당 2017. 3. 29. 09:28

중국시사.저자 송용준|명문당 |2017.03.10
페이지 704|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91188020058|
정가 35,000원

목차
머리말
제1장 선진시(先秦詩)
1. 개설
2. 중국시의 원류 1 ―『시경(詩經)』
2.1 『시경』 개황
2.2 『시경』의 내용
2.3 『시경』의 특색과 후대에 끼친 영향
3. 중국시의 원류 2 ―『초사(楚辭)』
3.1 초(楚) 문화와 『초사』의 형성
3.2 굴원(屈原)의 생애와 작품
3.3 [이소(離騷)]와 [구장(九章)]
3.4 [구가(九歌)]?[초혼(招魂)] 및 [천문(天問)]
3.5 굴원의 위상과 영향
제2장 양한시(兩漢詩)
1. 개설
2. 악부민가(樂府民歌)
2.1 악부에 대하여
2.2 악부민가의 위상과 특징
2.3 [맥상상(陌上桑)]과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
3 문인시(文人詩)
3.1 오언시와 칠언시의 전개
3.2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와 문인시의 흥성

제3장 위진남북조시(魏晉南北朝詩)
1. 개설
2. 조씨(曹氏) 삼부자(三父子)
3. 건안칠자(建安七子)와 채염(蔡琰)
4. 정시(正始) 시기의 시
5. 서진(西晉)의 시
6. 도연명(陶淵明)
7. 남북조 악부민가
7.1 남조 악부민가
7.2 북조 악부민가
8. 유송(劉宋)의 시
9. 제(齊)?양(梁)?진(陳)의 시
10. 북조(北朝)의 시

제4장 수(隋)?당(唐)의 시
1. 개설
2. 전기 ― 성장기
2.1 초기의 궁정시인
2.2 초당사걸(初唐四傑)
2.3 진자앙(陳子昻)과 장약허(張若虛)
2.4 장열(張說)과 장구령(張九齡)
2.5 맹호연(孟浩然)과 왕유(王維)
2.6 왕지환(王之渙)과 왕창령(王昌齡)
2.7 이기(李?)와 최호(崔顥)
2.8 고적(高適)과 잠삼(岑參)
2.9 이백(李白)
3. 중기 ― 전변기
3.1 두보(杜甫)
3.2 대력(大曆)?정원(貞元) 시기의 시인
3.3 맹교(孟郊)?한유(韓愈)?가도(賈島)?이하(李賀)
3.4 원진(元?)과 백거이(白居易)
3.5 유우석(劉禹錫)과 유종원(柳宗元)
4. 후기 ― 쇠퇴기
4.1 두목(杜牧)과 허혼(許渾)
4.2 이상은(李商隱)과 온정균(溫庭筠)
4.3 만당(晩唐)의 기타 시인들

제5장 송시(宋詩)
1. 개설
2. 북송(北宋) 초기의 시
2.1 백체(白體) 시
2.2 만당체(晩唐體) 시
2.3 서곤체(西崑體) 시
3. 북송 중기의 시
3.1 범중엄(范仲淹)
3.2 매요신(梅堯臣)과 소순흠(蘇舜欽)
3.3 구양수(歐陽修)
3.4 소옹(邵雍)
4. 북송 후기의 시
4.1 왕안석(王安石)
4.2 소식(蘇軾)
4.3 황정견(黃庭堅)?진사도(陳師道)와 강서시파(江西詩派)
5. 남송 초기의 시
5.1 여본중(呂本中)과 증기(曾幾)
5.2 진여의(陳與義)
6. 남송 중기의 시
6.1 육유(陸游)
6.2 양만리(楊萬里)와 범성대(范成大)
6.3 우무(尤?)?소덕조(蕭德藻)?주희(朱熹)
7. 남송 후기의 시
7.1 강호시인(江湖詩人)
7.2 유민시인(遺民詩人)

제6장 원시(元詩)
1. 개설
2. 원호문(元好問)의 시
3. 원대 전기의 시
3.1 야율초재(耶律楚材)?학경(?經)
3.2 유인(劉因)
3.3 구원(仇遠)?대표원(戴表元)?조맹부(趙孟?)
4. 원대 중기의 시
4.1 사대가(四大家)
―우집(虞集)?양재(楊載)?범팽(范木亨)?게혜사(揭?斯)
4.2 주권(周權)?허유임(許有壬)?주덕윤(朱德潤)
5. 원대 후기의 시
5.1 살도랄(薩都剌)
5.2 양유정(楊維楨)
5.3 고영(顧瑛)?왕면(王冕)

제7장 명시(明詩)
1. 개설
2. 명대 전기의 시
2.1 오중사걸(吳中四傑)
―고계(高啓)?양기(楊基)?서분(徐賁)?장우(張羽)
2.2 원개(袁凱)?유기(劉基)?패경(貝瓊)?민중십자(?中十子)
2.3 대각체(臺閣體)
2.4 이동양(李東陽)과 다릉시파(茶陵詩派)
3. 명대 중기의 시
3.1 전칠자(前七子)
3.2 후칠자(後七子)
3.3 전후칠자 영향권 밖의 시인들
4. 명대 후기의 시
4.1 서위(徐渭)
4.2 공안파(公安派)와 경릉파(竟陵派)
4.3 명 후기의 기타 시인

제8장 청시(淸詩)
1. 개설
2. 청대 전기의 시
2.1 유민들의 시
2.2 강좌삼대가(江左三大家)
2.3 국조육가(國朝六家)
3. 청대 중기의 시
3.1 여악(??)과 절파(浙派)
3.2 심덕잠(沈德潛)과 격조설(格調說)
3.3 옹방강(翁方綱)과 기리설(肌理說)
3.4 원매(袁枚)와 성령설(性靈說)
3.5 조익(趙翼)과 장사전(蔣士銓)
3.6 정섭(鄭燮)과 황경인(黃景仁)
4. 청대 후기의 시
4.1 공자진(?自珍)
4.2 신파시(新派詩)의 흥기와 시계혁명(詩界革命)
4.3 동광체(同光體) 및 기타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작품)
[예스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