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k2gim·

놓치기 아까운 전국의 길, 길, 길’ 시사인

굴어당 2011. 6. 4. 08:35

기사(전체37건)
‘놓치기 아까운 전국의 길, 길, 길’ [190호] [새창]
아무래도 인간은 걷기 위해 태어난 것 같습니다. 걷는 것 자체가 좋아서 걷고, 길 위에서 만나는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에 취해서 걷습니다. 걷기를 통해 ‘진정한 나’를 만나게 된다는 이도 ...
시사IN 편집국    2011-06-01
아웃도어 사려면 이렇게 사라 [190호] [새창]
올레길·둘레길 걷기를 집 근처 산책로 걷기 정도로 가볍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청바지에 운동화 차림으로 걷는 사람도 꽤 많다. 그러나 이렇게 길을 만만하게 보고 나섰다가는 큰 낭패를 당할 수도...
고재열 기자    2011-05-31
“빨리, 자주 걸으라. 암이 달아날 것이다” [190호] [새창]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에는 종일 걷는 남자가 나온다. 주인공 좀머씨다. 이른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어찌나 멀리, 오래 걷는지 사방 60㎞ 내에서 그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그는 비가...
오윤현 기자    2011-05-31
바다와 호수 사이의 길, 강릉 바우길 [190호] [새창]
가만있자, 이게 어디에서부터 잘못된 걸까. 강릉 바우길 제5 코스 ‘바다호수길’을 출발한 지 한 시간. 동해 바다와 해송(海松)이 어우러진 그림 같은 코스는 간데없고, 끝도 없이 이어진 철책에 ...
천관율 기자    2011-05-27
시원한 ‘수상 도로’, 화천 산소길 [190호] [새창]
화천 산소(O2)길은 화천 읍내 북한강변에 시원하게 닦인 30여㎞의 길을 말한다. 평탄하고 굽이가 적어서 걷거나 자전거 타기에 적합하다. 길은 읍내 붕어섬에서 시작하는데 때때로 부교 형태로 강 ...
정갑철 (화천군수)    2011-05-27
흰 고니 노는 ‘바람의 길’, 고성 송지호길 [190호] [새창]
송지호 ‘산소길’로 떠나기 전에 컴퓨터 검색창에 ‘고니’라고 친다. 목화솜 같은 새 사진이 뜨면서 “부리가 납작하고 목이 길며 깃털은 방수성이다. …날개 길이 50~55㎝이고, 꼬리와 다리는 짧...
오윤현 기자    2011-05-27
정선아리랑 부르며 걷는, 꽃벼루재길 [190호] [새창]
정선군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정선의 ‘가보고 싶은 곳 베스트’가 나열되어 있다. 레일바이크, 별천지박물관, 화암관광지, 아우라지, 정선 5일장, 아라리촌, 가리왕산 자연휴양림, 민둥산, 정암사,...
오윤현 기자    2011-05-27
‘생태 교향악’ 울리는, 우포늪 생명길 [190호] [새창]
처음에는 개나 고양이인 줄 알았다. 끝간 데 없이 이어진 한적한 제방길을 네 발 가진 동물이 뛰어다니고 있었다. 가만히 살펴보니 새끼 너구리였다. 서울 양재천에도 너구리가 나타난다는 이야기를 들...
이오성 기자    2011-05-26
역사 속으로 이끄는, 김해 가야길 [190호] [새창]
2000년 전 가야 왕국의 도읍지였던 김해는 시 전역이 역사박물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가야의 거리’는 김해시가 시가지 전역에 산재한 역사·문화 자원을 종합적으로 정비하고자 가야 문화...
김맹곤 (김해시장)    2011-05-26
‘모퉁이 길’의 매력, 김천 모티길 [190호] [새창]
김천에도 제주올레 길 못지않은 길이 있다. 바로 모티길이다. ‘모티’는 경상도 사투리로, 모퉁이를 뜻한다. 모티라는 이름에 걸맞게 길마다 모퉁이가 튀어나와서 심심할 겨를이 없다. 빠른 세상에서 ...
박보생 (김천시장)    2011-05-26
고대시대에 온 기분, 불로동 고분길 [190호] [새창]
대구도 활기찬 적이 있었다. 섬유산업이 몰락하면서 산업 중심의 도시 대구는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그래서인지 대구 사람들은 외지인들이 놀러 오면 “대구는 갈 만한 곳이 없다”라는 얘기를 입버릇...
안재홍 (대구녹색소비자연대)    2011-05-26
‘나무들의 목욕탕’, 백양사 나들숲길 [190호] [새창]
부산 하면 대개 바다를 떠올린다. 해운대며 광안리 같은 ‘전국구’ 해수욕장에다, 태종대·거가대교·자갈치시장 같은 명소가 즐비하기 때문이다. 도시가 해안선을 따라 유선형으로 길게 발달했기에 도로 ...
이오성 기자    2011-05-25
황홀한 풍광, 애잔한 삶, 남해 바래길 [190호] [새창]
어렸을 적 봄·가을 소풍 때마다 빠지지 않고 하던 행사가 있다. 보물찾기이다. 그런데 나는 보물찾기에 대해 별로 좋은 추억이 없다.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단 한 번도 보물 쪽지를 찾아본 일이...
문찬일 (남해 바래길 사무국장)    2011-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