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Re: 梅花---韩偓, 梅花 庾信 。梅花 (陈亮)
피리를 매화에 비유함은 활짝 핀 매화가지를 자르면 그 모습이 피리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橫玉.:백옥같이 흰 매화의 가지가 옆으로 뻗어 있으므로 이렇게 표현.
玉笛:매화를 피리라 함은 위의 서양악기 클라리넷과 오보에 처럼 손가락으로 누르는 부분이 매화가 활짝 핀 모습과 같고 이 모양이 피리의 둥근 구멍이 매화와 닮았다고 옛 사람들은 보았음.
龍笛:매화의 굽은 가지가 꿈틀거리는 용의 발과 같다고 봄.
横笛:만개한 매화의 가지가 횡으로 부는 피리와 같음.
梅花
---韩偓
梅花不肯傍春光(매화불긍방춘광)매화가 봄 빛이 곁에 오는 것을 기꺼워하지 않는 것은
(눈 속에 꽃을 피우는 매화는 봄이 오면 지기 때문에 봄 빛을 달가워하지 않음)
自向深冬著艶陽(자향심동착염양)지난 嚴冬 부터 고운 볕을 입었기(받았기) 때문
龍笛遠吹胡地月(용적원취호지월)용 모양 피리는 멀리 오랑캐 땅의 달을 부르고
燕釵初試漢宮妝(연차초시한궁장)제비 모양 떨잠은 한나라 궁녀의 단장에 처음으로 사용 되었네
風雖强暴飜添思(풍수강포번첨사)바람은 비록(매화에게) 강포하나 도리어 사모의 정을 더하고
(북풍은 매화에게 포학하게 굴지만 매화를 본 사람들은 오히려 봄 날의 그리움을 불러 일으키고)
雪欲侵凌更助香(설욕침능갱조향)눈은(매화를)침훼릉학하려 들어도 다시 향기를 더할뿐
(꽃을 피우려는 매화에 눈이 내리면 시련을 겪지만 더욱 향기를 더할뿐.)
傲雪凌霜 눈에도 오만할 정도고 서리를 능멸하는 절개와 기상.
梅平生寒不賣香 매화는 평생 빈한하게 살지만 향기를 팔지는 않는다.
應笑暫時桃李樹(응소잠시도리수)(사람들은)잠시 도리화의 웃음에 응하지만
盜天和氣作年芳(도천화기작년방)(매화는)하늘의 화창한 기운을 타고 한 해의 芬芳이 된다네.
(매화가 꽃 중의 꽃이라는 뜻)
梅花不肯傍春光(매화불긍방춘광)
自向深冬著艶陽(자향심동착염양)
龍笛遠吹胡地月(용적원취호지월)
燕釵初試漢宮妝(연차초시한궁장)
風雖强暴飜添思(풍수강포번첨사)
雪欲侵凌更助香(설욕침능갱조향)
應笑暫時桃李樹(응소잠시도리수)
盜天和氣作年芳(도천화기작년방)
梅花
---韩偓
梅花不肯傍春光,自向深冬著艳阳。
龙笛远吹胡地月,燕钗初试汉宫妆。
风虽强暴翻添思,雪欲侵凌更助香。
应笑暂时桃李树,盗天和气作年芳。
,,,,,,,,,,,,,,,,,,,,,,,,,,,,,,,,,,,,
庾信 。梅花
常年腊月半
已觉梅花阑
不信今春晚
俱来雪里看
树动悬冰落
枝高出手寒
早知觅不见
真悔著衣单
常年臘月半:매년 섣달 중반이면
己覺梅花闌:매화 흐드러지게 피는 것 벌써 알리라
不信今春晩:올 봄 늦게 옮 믿지 않지만
俱來雪裡看:눈 속에서 볼 수 있게 (눈과)함께 왔구나
樹凍懸氷落:나무 얼어 매달린 얼음 떨어지고
枝高出手寒:가지 높아 조막 손 드러나니 차구나(매화가 피기 전 꽃눈을 손으로 표현)
早知覓不見:찿아도 보이지 않는 매화 일찍도 알았지만
眞悔着衣單:입은 옷 홑옷이라 진정 후회하겠다.
臘:섣달 랍.
闌:문드러질 란,물러터질.
懸:매달릴 현.
覓:찿을 멱.
,,,,,,,,,,,,,,,,,,,,,,,,,,,,,,,,,,,
梅花 (陈亮)
疏枝横玉瘦,小萼点珠光。一朵忽先变,百花皆后香。
欲传春信息,不怕雪埋藏。玉笛休三弄①,东君②正主张。
【注释】
①三弄:指笛曲名“梅花三弄”。古有笛曲谢梅花之说。
②东君:司春之神。
,,,,,,,,,,,,,,,,,,,,,,,,,,,,,,,,,,,,,,,,,,,,,,,
疏枝横玉瘦,옆으로 뻗은 성긴 매화가지 수척하고
小萼点珠光。작은 꽃부리 점점이 구슬처럼 빛나네
一朵忽先發,한 묶음 홀연 먼저 피면
百花皆后香。많은 꽃들 다 빛을 잃는다
欲传春信息,봄 소식 전하려니
不怕雪埋藏。눈 속에 묻혀도 두렵지 않아
玉笛休三弄,옥피리야 매화삼롱 불지 말아라
東君正主张. (봄은) 바로 동군께서 주관하시느니라.
瘦:수척할 수.
萼:꽃부리 악.
朵:묶음 타.
怕:두려워 할 파.
藏:감출 장,갈무리할.
后香:매화향기 보다 뒤라는 것은 그만 못하다는 뜻.
休:말 휴,클.
东君:봄을 주관하는 신.
正:바로.
,,,,,,,,,,,,,,,,,,,,,,,,,,,,,,,,,,,,,,,
请高人讲解:玉笛休三弄,东君正主张。
休:莫,不要。三弄:指古曲《梅花三弄》,全曲主调出现三次,故称三弄。
东君:司春之神。主张:当令,作主,主宰春天。
"玉笛休三弄,东君正主张": 玉笛不要再吹奏那伤感的“梅花三弄”曲调了,春神就要来到人间。表达了作者爱梅、惜梅的心情,请东君为梅作主,让玉笛不吹“三弄”,留住春天,不要让梅花凋谢。
南宋的陈亮一生极力主张抗金,反对投降。他的《梅花》一诗,则表达了爱国之志,对抗金的胜利,对国家的前途,充满了必胜的信心。
,,,,,,,,,,,,,,,,,,,,,,,,,,,,,,,,,,,,,,,,,,,,,,,,,,
陈亮作品全集 › 咏梅 › 简体 - 繁體 - 拼音 - 鉴赏
疏枝横玉瘦,小萼点珠光。
一朵忽先发,百花皆事香。
欲传春信息,不怕雪埋藏。
玉笛休三弄,东君政主张。
疏枝橫玉瘦,小萼點珠光。
一朵忽先發,百花皆事香。
欲傳春信息,不怕雪埋藏。
玉笛休三弄,東君政主張。
(小提示:如果您想查询《咏梅》相关诗句的上一句或者下一句是什么,可以在页面右上角的“诗词检索”中输入您要查询的诗句,回车即可查到该诗句的上句或下句。注意上半句和下半句输入时不要留有空格和标点符号!)
【注释】
三弄:指古曲《梅花三弄》,全曲主调出现三次,故称三弄。
东君:司春之神。
主张:当令,作主,主宰春天。
【赏析】
稀疏的梅树枝条横斜着,洁白如玉,刚劲有力;花萼上点缀着颗颗雪珠,反射出晶莹的光彩。有一朵梅花竟然先开了,竞吐芳香的百花就都落在梅花的后面了。梅花呀,要把春天到来的信息传递,又哪怕那雪压冰欺!玉笛呀,不要再反复吹奏《梅花落》的曲子了,因为春神正在主宰着人间。
“一朵忽先变,百花皆后香”,诗人抓住梅花最先开放的特点,写出了梅花不怕挫折打击、敢为天下先的品质,既是咏梅,也是咏自己。
“欲传春信息,不怕雪埋藏”,严冬阻挡不了春天到来的脚步,深雪又怎能埋藏梅花的芬芳气息?颂扬了梅花坚贞不屈的精神,诗人以颂赞梅花的口吻来寄托自己的爱国思想。
“玉笛休三弄,东君正主张”,玉笛不要再吹奏那伤感的“梅花三弄”曲调了,春神就要来到人间,主宰大地。表达了诗人爱梅、惜梅之情,请东君为梅花作主,让玉笛不要再吹“三弄”了,留住春天,不要让梅花凋谢。
陈亮一生极力主张抗金,反对投降,有着强烈的爱国精神。《梅花》一诗,表达了他的爱国之志,对抗金的胜利、国家的前途,都充满了必胜的信心。诗是诗人情感发展的产物,既然玉笛演奏的《梅花落》曲子阻挡不了在春天阳光哺育下的梅花茁壮成长,那末,投降派的种种苟且的言论又怎能阻挡历史车轮的滚滚前进呢?进一步以颂赞梅花的挺然独立来表达对投降派的强烈谴责,寄托了自己一生力主抗战,反对投降的爱国主义思想。
,,,,,,,,,,,,,,,,,,,,,,,,,,,,,,,
第一二句诗人描述了梅花的不起眼和形态,为下文作出铺垫。 第三四句中,诗人抓住梅花最先开放的特点,写出了不怕打击挫折、敢为天下先的品质,既是咏梅,也是咏自己 五、六两句写到严冬阻挡不了春天到来的脚步,深雪哪能埋藏梅花的芬芳气息。
颂扬梅花的坚贞不屈的精神。作者用颂赞梅花的口吻来寄托自己爱国思想。
最后两句诗是诗人情感发展的高潮。既然玉笛演奏的《梅花落》
曲子阻挡不了在春天阳光哺育下的梅花茁壮成长,那末,
投降派的种种苟且偷生的言论又怎能阻挡历史车轮的滚滚向前呢?
进一步以颂赞梅花的挺然独立来表达对投降派的强烈谴责,寄托自己一生力主抗战,
反对投降的爱国主义思想。 宋人陈亮《梅花》:“一朵忽先变,百花皆后香。”诗人抓住梅花最先开放的特点,
写出了不怕打击挫折、敢为天下先的品质,既是咏梅,也是咏自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