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 맥상상(陌上桑) 김태식 블로그
![]() |
2008.05.25 14:12:54 |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 진림(陳琳) 1. 출전 : 《옥대신영玉臺新詠》 卷一 2. 작자에 대하여 陳琳(?~217)은 漢末 文學家이자 “건안칠자(建安七子)” 중 한 명이다. 일찍이 大將軍 何進의 主簿를 지내다가 何進이 죽자 袁紹에게 歸附하여 書記를 담당했다. 袁紹가 敗하자 이번에는 曹操에게 歸依하니 司空軍謀祭酒가 되어 記室을 관장하고 나아가 문하독(門下督)이 되었다. 원래 集 10卷이 있었으나 모두 망실되고 그의 詩作으로는 겨우 4首가 現存할 뿐이다. 明人이 《 陳記室集》1卷을 輯錄하니 이것이 後世에 流傳한다. 그의 籍貫에 대해서는 許多 著作이 모두 江蘇 揚州人이라 하나 誤解다. 《資治通鑒》63卷에 記載하기를 “魏之廣陵郡治淮陰, 漢之廣陵故城廢棄不治”라 했으며 《淮安府志》에 稱하기를 “琳爲廣陵射陽人”이라 했다. 廣陵 射陽은 現在의 淮安市 楚州區이다. 3. 작품설명 《飮馬長城窟行》은 樂府 古題로 《淸商曲· 瑟調曲》에 속한다. 詩中에서는 長城 修築에 動員된 戍卒과 그 妻子의 對話가 포함된다.戰爭과 徭役에 따른 百姓의 夫婦, 妻子 離別과 家破人亡의 深重災難을 實感나게 描寫한다.
4. 원문과 번역 飮馬長城窟 장성 샘에서 말을 물 먹이니 水寒傷馬骨 물은 차가워 말은 뼈가 상하네 往謂長城吏 장성 관리께 가서 이르기를 愼莫稽留太原卒 삼가 태원 졸병일랑 잡아두지 마오 官作自有程 노역엔 본디 기한 있으니 擧築諧汝聲 나무공이 들어 네 소리에 맞추리니 男兒甯當格鬬死 남아가 차라리 싸우다 죽을지언정 何能怫鬱築長城 어찌 우울하게 장성이나 쌓겠는가? 長城何連連 장성은 어찌 그리 길게 이어졌는지 連連三千里 이어지고 이어지기 3천리 邊城多健少 변방 성엔 젊은이 많으나 內舍多寡婦 집안엔 과부만 많네 作書與內舍 편지 써서 본집에 부치기를 便嫁莫留住 다른 데 시집가소, 남지 마소 善事新姑章 새 시부모 잘 섬기되 時時念我故夫子 때때로 옛 남편 나를 생각해 주오 報書往邊地 답장 변방으로 와서 이르기를 君今出語一何鄙 당신 지금 한 말 어찌 그리 야속하오 身在禍難中 몸은 화난 만났으나 何爲稽留他家子 어찌 다른 집 부인 되리오 生男愼勿擧 아들 낳으면 조심히 호적 올리지 않고 生女哺用脯 딸 낳으면 포로써 먹이니 君獨不見長城下 당신만 장성 아래선 보지 못했소? 死人骸骨相撐拄 죽은 사람 해골 쌓인 모습을 結髮行事君 머리 올려 당신 섬기며 慊慊心意關 불안하게 마음 떨어져 있네 明知邊地苦 너무 잘 알겠어요 변방의 괴로움 賤妾何能久自全 천한 제가 어찌 오래 온전하리까 5. 注釋 (l)長城窟:長城邊的泉眼. (2)長城吏:監管修筑長城的官吏. (3)稽留:滯留, 阻留. 太原卒:征來的民伕. (4)程:期限. (5)諧汝聲:齊唱夯歌. (6)怫郁:煩悶, 憂愁. (7)連連:綿長不斷的樣子. (8) 便嫁:改嫁. (9)姑嫜:公婆. (10)故夫子:原來的丈夫, 即戍卒自己. (11)鄙:鄙俗. (12)他家子:人家的女子. (13)舉:養大. (14)慊慊:怨恨不滿. 關:關聯, 牽挂. 這句說婚后的別離使她滿懷怨恨, 心中時時牽挂著遠方的丈夫. (15)全:周全. (責任編輯:楊潔) |
![]() ![]() |
![]() |
2008.05.25 11:22:36 |
맥상상(陌上桑) 原文: 漢樂府 日出東南隅, 照我秦氏樓. 秦氏有好女, 自名爲羅敷. 羅敷善蠶桑, 采桑城南隅. 青絲爲籠系, 桂枝爲籠鉤. 頭上倭墮髻, 耳中明月珠. 緗綺爲下裙, 紫綺爲上襦. 行者見羅敷, 下擔捋髭須. 少年見羅敷, 脫帽著帩頭. 耕者忘其犁, 鋤者忘其鋤. 來歸相怨怒, 但坐觀羅敷. 使君從南來, 五馬立踟躕. 使君遣吏往, 問是誰家姝? “秦氏有好女, 自名爲羅敷.” “羅敷年幾何?” “二十尙不足, 十五頗有餘”. 使君謝羅敷:“寧可共載不?” 羅敷前致詞:“使君一何愚! 使君自有婦, 羅敷自有夫.” “東方千餘騎, 夫婿居上頭. 何用識夫婿? 白馬從驪駒;青絲系馬尾, 黃金絡馬頭;腰中鹿盧劍, 可值千萬餘. 十五府小史, 二十朝大夫, 三十侍中郞, 四十專城居. 爲人潔白晰, 鬑鬑頗有須. 盈盈公府步, 冉冉府中趨. 坐中數千人, 皆言夫婿殊.” 【譯文】 日出東南隅 해가 동남쪽에서 떠서 照我秦氏樓 우리 진씨 집 누대 비추네 秦氏有好女 진씨에겐 아리따운 딸 있어 自名爲羅敷 이름을 나부라 하는데 羅敷善蠶桑 나부는 누에치기 잘 하네 采桑城南隅 뽕을 성 남쪽에서 따는데 靑絲爲籠係 푸른 실로 바구니 줄로 삼고 桂枝爲籠鉤 계수 가지로 바구니 고리 삼았네 頭上倭墮髻 머리엔 왜타계 올리고 耳中明月珠 귀엔 명월주 달았네 緗綺爲下裙 담황색 비단으로 치마 해 입고 紫綺爲上襦 자주색 비단으로 저리고 삼았네 行者見羅敷 길 가는 이 나부를 보면 下擔捋髭須 짐 내리곤 수염 만지고 少年見羅敷 소년이 나부를 보면 脫帽著帩頭 모자 벗어 묶은 머리 내 보이네 耕者忘其犁 밭 가는 이 그 소를 잃어버리고 鋤者忘其鋤 김매는 이 그 호미를 잃어버리곤 來歸相怨怒 집에 돌아와 마누라와 성내고 다투니 但坐觀羅敷 오직 나부를 보았기 때문이네
使君從南來 태수께서 남쪽에서 와서는 五馬立踟躕 다섯 말 세워 놓고 서성이네 使君遣吏往 태수가 쫄따구 보내 하는 말이 問是誰家姝? 묻노니 뉘집 아가씨요? 秦氏有好女 진씨 집에 아리따운 딸 있어 自名爲羅敷 나부라 합니다. 羅敷年幾何 나부는 나이가 얼마인가? 二十尙不足 스무살 되기엔 아직 모자라고 十五頗有餘 열다섯에선 조금 남음이 있답니다. 使君謝羅敷 태수께서 나부에게 하는 말이 寧可共載不 너 나와 함께 수레 타고 가지 않으렴? 羅敷前致詞 나부 앞으로 나와 드리는 말씀 使君一何愚 태수께선 어찌 그리 어리석소 使君自有婦 태수께 부인 계시듯 羅敷自有夫 나부 또한 남편 있답니다.
東方千餘騎 동쪽에 기마 천여 마리 있어 夫婿居上頭 제 남편이 그 앞에 섰지요 何用識夫婿 어떻게 남편인 줄 알까요? 白馬從驪駒 흰 말이 검은 망아지 따르니 靑絲繫馬尾 푸른 끈으로 말 꼬리 묶고 黃金絡馬頭 황금으로 말 머리 장식했지요 腰中鹿盧劍 허리춤엔 녹로검 可値千萬餘 그 값은 천만금 이상이지요 十五府小史 열다섯에 지방관 작은 벼슬 하다가 二十朝大夫 스물엔 조정 대부 되고 三十侍中郞 서른엔 시중낭이 되었으며 四十專城居 마흔인 지금엔 성 하나 지키지요 爲人潔白晰 사람됨이 결백하고 鬑鬑頗有須 무성한 수염에 盈盈公府步 천천히 공부를 걷고 冉冉府中趨 느릿느릿 부중을 오가니 坐中數千人 좌중 수 천 사람이 皆言夫婿殊 모두 말하기를 남편이 제일이랍니다.
太陽高掛在東南方, 照到了我秦氏的樓房. 秦家有位姣好的女郞, 本名叫羅敷. 羅敷喜歡養蠶和采桑, 采桑來到了城南. 用青絲做籃子上的繩絡, 用桂枝做籃子上的提柄. 頭上梳著倭墮髻, 耳上掛著明月珠. 杏黃的綾羅做下裙, 紫色的綾羅制短襖. 當路上行人看到了羅敷, 就放下擔子撫摩髭須. 當少年看到了羅敷, 就脫下帽子整理發巾. 使耕田的忘了犁耙, 使鋤地的忘了鋤頭. 回家都抱怨妻子醜陋, 只因爲多看了羅敷一眼. 太守從南方過來, 五匹馬都停下了腳步. 太守派個小吏前往, 請問是誰家的女子? 秦家有位姣好的女郞, 本名叫羅敷. 請問羅敷今年幾歲? 二十還不足, 十五卻有餘. 太守請問羅敷, 能和我同生一車走嗎? 羅敷親自上前回答:太守怎麼麼傻! 太守有自己的妻子, 羅敷有自己的丈夫. 東方出現了一千多車騎, 我的夫婿就在最前頭. 用什麼來辨識我的丈夫, 那騎著白馬有黑馬跟隨的. 馬尾上系著青絲繩, 馬頭上罩著黃金絡. 腰中佩著鹿盧劍, 可值千萬餘. 十五歲做了府中的小吏, 二十歲在朝爲大夫. 三十歲官拜侍中郞, 四十歲做了一城的太守. 他有潔白的皮膚, 臉上略長一些髭須. 在公所中邁著方步, 在府衙裏慢慢走踱. 在座有幾千人, 都說我的丈夫才貌出眾. 寫作背景: 《陌上桑》是一篇立意嚴肅ㆍ筆調詼諧的著名樂府敘事詩. 它講述的是這樣一個故事:一位美貌女子名叫羅敷, 一日在采桑路上恰巧被一個太守遇上, 太守爲羅敷美色所動, 問她願不願意跟隨自己回家. 太守原以爲憑借自己的權勢, 這位民間女子一定會爽然允諾. 想不到羅敷非但不領情, 還把他著實奚落了一番, 使這位堂堂太守碰了一鼻子灰, 無趣之極. 這一內容與秋胡戲妻的記載有某種相似, 或者可以認爲《陌上桑》的創作曾經受到了秋胡故事的某些啓發. 據《列女傳》和《西京雜記》所說:秋胡新婚方三月, 即辭家遊宦. 三年後錦衣還鄉, 路上遇一采桑女, 見而悅之, 進行調戲, 遭拒絶. 回到家裏, 方知剛才那位女子原來是自己妻子. 其妻也明白了真相, 對丈夫的不良品性十分怨恨, 於是赴沂水而死. 與秋胡故事相比, 《陌上桑》內容有兩處顯著不同, 一是羅敷樂觀ㆍ機智的性格, 二是作品故事喜劇式的結局, 因此, 盡管它與秋胡戲妻故事有一定聯系, 但它又完全是一首獨創的作品. 後來有人把兩本牽合在一起, 如王筠《陌上桑》云:“秋胡始停馬, 羅敷未滿箱.” 作爲一種新的創作未嘗不可. 又有人用秋胡故事的模式來解說《陌上桑》, 認爲“羅敷即使君之妻, 使君即羅敷之夫”(朱熹). 但這一結論難以從《陌上桑》作品本身得到驗證. 理解《陌上桑》應該從作品的實際出發. 全詩共分三解. 解爲樂歌的段落, 本詩的樂歌段落與歌詞內容的段落大致相合. 第一解從開始至“但坐觀羅敷”, 主要敘述羅敷的美貌. 第二解從“使君從南來”至“羅敷自有夫”, 寫太守覬覦羅敷容姿, 要跟她“共載”而歸, 遭到羅敷嚴辭拒絕. 第三解從“東方千餘騎”至結束, 寫羅敷在太守面前誇贊自己丈夫, 用意在於徹底打消太守的邪念, 並讓他對自己輕佻的舉止感到羞愧. 詩人成功地塑造了一個貌美品端ㆍ機智活潑ㆍ親切可愛的女性形象. 一般來說, 人們認識一個人, 總是先識其外貌, 然後再洞達其心靈. 《陌上桑》塑造羅敷的形象也依循人們識辨人物的一般順序, 在寫法上表現爲由容貌而及品性. 羅敷剛出現, 還只是籠統地給人一個“好女”的印象, 隨著敘述的展開, 通過她服飾的美麗和路人見到他以後無不傾倒的種種表現, “好女”的形象在讀者眼前逐漸變得具體和彰明. 第二ㆍ三解, 詩人的筆墨從摹寫容貌轉爲表現性情, 通過羅敷與使君的對話, 她抗惡拒誘, 剛潔端正的品格得到了充分的展示. 從她流利得體, 同時又帶有一點調皮嘲弄的答語中, 還可看出她稟性開朗ㆍ活潑ㆍ大方, 對自己充滿自信, 並且善於運用智慧保護自己不受侵害. 當然這只是大致的概括, 事實上, 作品在這方面也不乏靈活的安排. 如第一解雖然主要寫容貌, “羅敷喜蠶桑”則又表現出她熱愛勞動的良好品質;第二ㆍ三解雖然主要揭示她內心情感, 但第二解使君立馬踟躕不前, 分明又暗中映顯出羅敷美貌麗態的魅力, 第三解羅敷誇揚丈夫姿容, 與一解總述羅敷美好“遙對”(張玉穀《古詩賞析》卷五), 不正可以見到羅敷本人的倩影嗎? 詩人筆下的羅敷品貌俱美, 從而賦予這一藝術形象更高的審美價值. 讀完全詩, 人們對羅敷的喜愛比起詩中那些忘乎所以的觀望者的態度來更加深厚真摯, 因爲他們還僅僅是爲羅敷的容貌所吸引, 讀者卻又對羅敷的品格投以敬佩. 從這一意義上說, 《陌上桑》與《詩經·碩人》在摹繪美人的形象方面, 其區別不僅在於具體手法的不同(這一點下面還會談到), 還在於它由比較單純地刻畫人物的容貌之美進而達到表現性情之美, 這後面一點顯然在文學形象的創造史上具有更重要的意義. 《陌上桑》在寫作手法方面, 最受人們稱贊的是側面映襯和烘托. 如第一解寫羅敷之美, 不用《碩人》直接形容具體對象容貌的常套, 而是采用間接的ㆍ靜動結合的描寫來暗示人物形象的美麗. 先寫羅敷采桑的用具和她裝束打扮的鮮豔奪目, 渲染服飾之美又是重點. “青絲爲籠系, 桂枝爲籠鉤. 頭上倭墮髻, 耳中明月珠. 緗綺爲下裙, 紫綺爲上襦. ”這些詩句一字不及羅敷的容貌, 而人物之美已從衣飾等的鋪敘中映現出來. 前人評漢樂府《江南》詩句“蓮葉何田田”, 說:“不說花偏說葉, 葉尙可愛, 花不待言矣. ”張玉穀《古詩賞析》卷五. 這話也可以被運用來說明本篇上述詩句的藝術特點. 更奇妙的是, 詩人通過描摹路旁觀者的種種神態動作, 使羅敷的美貌得到了強烈而又極爲鮮明ㆍ生動的烘托. “行者見羅敷, 下擔捋髭須. 少年見羅敷, 脫帽著頭. 耕者忘其犁, 鋤者忘其鋤. 來歸相怨怒, 但坐觀羅敷. ”愛美之心人皆有之, 而人類對異性美(尤其是在形貌方面)就更爲敏感, 同時也會表現出更高的熱情. 這些男性旁觀者爲羅敷深深吸引, 乃至有意無意地做出一些想取悅羅敷的舉止, 正說明他們看到羅敷時激動不寧的心情和從她身上獲得的審美滿足. 借助於他們的目光, 讀者似乎也親眼飽睹了羅敷的面容體態. 這樣來塑造人物形象, 比借助比喻等手段正面進行摹寫顯得更加富有情趣;而且由於加入了旁觀者的反應, 使作品的藝術容量也得到了增加. 這是《陌上桑》爲描寫文學形象提供的新鮮經驗. 除了從側面摹寫形象外, 本篇還善於從側面表達意圖, 這主要是指第三解羅敷誇夫的內容. 對這段內容, 人們有兩種理解:一種認爲詩中“夫婿”是羅敷實指其夫, 另一種意見是羅敷虛設一夫, 更有人斷定這一段是詩中的糟粕. “夫婿”究竟是實指還是虛設, 這是弄不明白的問題, 不過這並不重要. 重要的倒是應該弄清楚:羅敷當時爲何要講這番話?意圖何在? 她集中誇贊自己丈夫的尊貴和美好, 這顯然是有明顯的針對性. 因爲調戲她的是一位懷有特殊優越感的太守, 羅敷說自己丈夫尊貴, 則使其優越感變得可笑;又因爲太守看中她的是美色, 羅敷說自己丈夫美好, 實際上是說只有丈夫才可以與自己相配. 羅敷這段話句句誇夫, 而客觀上又句句奚落太守, 這正是全詩側面寫法的又一次運用. 詩歌的喜劇效果主要也是從這裏得到體現的. 第三解在整篇作品中不是可有可無, 更不是什麼糟粕, 而是詩篇的有機構成. 幽默風趣是《陌上桑》明顯的風格特點. 如寫旁觀者見到羅敷時不由自主地表現出來的種種神態, 十分好笑, 而又無不是鄉民的真趣流露. 又如羅敷講自己的年齡, “二十尙不足, 十五頗有餘”, 口齒伶俐, 而又暗帶調皮, “頗”字尤見口角語態之妙. 最後一段羅敷盛誇夫婿, 使眼前那位聽著的太守感到通身不自在, 羞愧難狀. 這一寓嚴肅的主題於詼諧的風格之中的優秀詩篇, 體現了樂觀和智慧, 它與《孔雀東南飛》《東門行》等體現的悲慨和亢烈相比, 代表著漢樂府又一種重要的藝術精神. 《陌上桑》的語言帶有明顯的藻采化傾向, 主要是反映在第一和第三節中. 這些構成了本篇統一的敘述風格. 原文分析: 第一段, 寫羅敷的美貌. 首先寫她的住所之美ㆍ器物之美來襯托她的美貌, 然後重點寫她的服飾之美, 最後通過側面描寫烘托她的美貌, 無論是行者還是少年, 無論是耕者還是鋤者, 都傾慕她的美麗, 激起讀者的想象. 本段寫她的外表美, 鋪襯下文的心靈美;寫勞動人民對羅敷的健康感情, 與後文使君的不懷好意形成對照. 第二段, 寫使君覬覦羅敷的美色, 向她提出無理要求. 先是使君的馬徘徊不前, 使君對羅敷垂涎三尺, 繼而上前搭話, 詢問姓名, 打聽年齡, 最後提出和羅敷“共載”的無恥要求, 暴露了使君肮髒的靈魂. 寫使君的語言行爲步步深入. 第三段, 寫羅敷拒絕使君, 並盛誇丈夫以壓倒對方. 本段全部由羅敷的答話構成, 回應使君的調戲. 斥責ㆍ嘲諷使君愚蠢, 聲明自己已有丈夫, 丈夫威儀赫赫ㆍ榮華富貴, 仕途通達ㆍ青雲直上, 品貌兼優ㆍ才華橫溢. 羅敷的伶牙俐齒使自以爲身份顯赫的使君只能自慚形穢, 羅敷的不畏權勢ㆍ敢於鬥爭的精神充分體現出來了, 表現了她的人格魅力.
讀不准的字音
隅(yú) 敷(fū) 籠系(xì) 倭(wō) 墮(duò) 髻(jì) 緗(xiǎng) 綺(qǐ) 襦(rú) 捋(lǚ) 髭(zī) 須著帩頭(zhuó qiào) 踟躕(chí chú) 姝(shū) 寧可(nìng) 千餘騎(jì) 驪(lì) 鬑鬑(lían) 趨( 字詞解釋
〔東南隅〕:指東方偏南. 隅, 方位ㆍ角落. 我國在北半球, 夏至以後日漸偏南, 所以說日出東南隅. 〔善蠶桑〕:很會養蠶采桑. 善, 有的本子作“喜”. 〔青絲爲籠系〕:用黑色的絲做籃子上的絡繩. 籠, 籃子. 系, 絡繩(纏繞籃子的繩子). 〔籠鉤〕:一種工具. 采桑用來鉤桑枝, 行時用來挑竹筐. 〔倭墮髻〕:發髻名. 其髻像雲堆疊, 歪在頭部的一側. 倭墮, 疊韻字. 〔耳中明月珠〕:耳朵上戴著寶珠做的耳環. 明月, 寶珠名. 〔緗綺〕:淺黃色有花紋的絲織品. 〔襦〕:短襖. 〔下擔捋髭須〕:放下擔子, 撫摩胡子(和下接詩句都是形容看得出神). 捋, 手握著東西, 順著向下移動. 髭, 嘴上邊的胡子. 〔脫帽著頭〕:把帽子脫下, 只戴著紗巾. 古代男子戴帽, 先用頭巾把發束好, 然後戴帽. 著, 戴. 頭, 包頭的紗巾. 〔坐〕:因爲, 由於. 〔使君〕:漢代對太守ㆍ刺史的通稱. 〔五馬〕:指(使君)所乘的五匹馬拉的車. 漢朝太守出行用五匹馬拉車. 〔踟躕〕:徘徊, 停滯不進的樣子. 又作“踟躇”. 〔姝〕:美麗的女子. 〔謝〕:這裏是“請問”的意思. 〔寧可〕:願意. 〔一何〕:怎麼這樣. 〔東方〕:指夫婿當官的地方. 〔千餘騎〕:泛指跟隨夫婿的人. 〔居上頭〕:在前列. 意思是地位高, 受人尊重. 〔何用〕:用什麼(標記). 〔驪駒〕:黑色的小馬. 這裏指馬. 〔黃金絡馬頭〕:馬頭上戴著金黃色的籠頭. 絡, 這裏指用網狀物兜住. 〔鹿盧劍〕:劍把用絲絛纏繞起來, 像鹿盧的樣子. 鹿盧, 即轆轤, 井上汲水的用具. 〔千萬餘〕:上千上萬(錢). 〔小吏〕:太守府的小官. 有的本子作“小史”. 〔朝大夫〕:朝廷上的一種高等文官. 〔侍中郞〕:出入宮禁的侍衛官. 〔專城居〕:作爲一城的長官(如太守等). 專, 獨占. 〔白晰〕:指皮膚潔白. 晰, 又作“皙”. 〔鬑鬑頗有須〕:胡須稀疏而長. , 須發疏薄的樣子. 白面有須, 是古時候美男子的標准. 〔盈盈〕:儀態端莊美好. (冉冉):走路緩慢. 〔公府步〕:擺官派, 踱方步. 〔殊〕:出色, 與眾不同. 《陌上桑》의 명칭 이를 수록한 가장 이른 시기 현존 문헌은 南朝 沈約이 編撰을 주도한 《宋書》이니 이곳 樂志에 이 작품을 수록하면서 題하기를 염가나부행(豔歌羅敷行)이라 달았다. 南朝 徐陵이 編輯한 《玉台新詠》 또한 本詩를 수록했거니와 이에서 題하기는 그 첫 구절을 끌어와 일출동남우행(日出東南隅行)이라 했다. 趙宋 時代 郭茂倩이 編輯한 《樂府詩集》에서는 이를 상화가사(相和歌辭)로 수록 분류하면서 題하기를 맥상상(陌上桑)이라 했다. |
![]() ![]() |
![]() |
2008.01.18 08:13:00 |
台植案 : 樂府詩集 卷98 新樂府辭9에 수록됐다. 백거이 신악부 50수 중 하나인데, 왜 우리 천자님이 고마운지 이유를 보라! 구중궁월에만 쳐박혀 계시니 이 얼마나 고마우신가? 라고 노래한다. 임금이 싸돌아 댕기면 백성이 피곤하다는 말이다. 아! 청와대 주인이라는 사람들. 그 당선자에 이르기까지 자고로 청와대에만 쳐박히지 않고 백성과 가까이가려 한다고 말한다. 아! 제발 기냥 기 안에 계시기를! **이 악부시는 판본에 따라 글자의 넘나듦이 있다. 다만 이 자리에서는 원문을 교감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아래 시구 많은 대목에는 주석이 붙어야 하지만 이 또한 생략하며 추후를 기약하노라.
이 시에 대해 작자 백거이는 “천자가 백성의 재력을 아낌을 찬미한 것이다”(美天子重惜人之財力也)라고 註했다. 《唐會要》曰:“開元十一年十月, 置溫泉宮於驪山.”《舊書ㆍ帝紀》曰:“是年十月, 幸溫泉宮, 自是歲數幸焉. 天寶六載十月, 改溫泉宮爲華清宮.” 《唐會要》에 이르기를 “開元 11년 10月, 驪山에다가 溫泉宮을 두었다”고 했다. 《舊書ㆍ帝紀》에 이르기를 “이 해 10월에 천자가 溫泉宮에 행차하니 이 해 이 후 여러 번 이곳을 찾았다. 天寶 6년 10月, 온천궁溫泉宮을 고쳐 화청궁華清宮(華淸宮)을 만들었다”고 했다.
높디높은 여산에 궁궐 있으니 高高驪山上有宮 붉은 누대 자색 궁전 서너 겹 硃樓紫殿三四重 길고긴 봄날엔 遲遲兮春日 옥벽돌 따스하고 온천물 넘쳐나네 玉甃暖兮溫泉溢 솔솔부는 가을 바람 嫋嫋兮秋風 산매미 울어대고 궁궐나무 단풍드네 山蟬鳴兮宮樹紅 비취 깃발 안 오신지 오래되니 翠華不來歲月久 담장엔 옷을 입고 기와엔 풀이 났네 牆有衣兮瓦有松 우리 임금 재위하신지 이미 5년 吾君在位已五載 어찌 그곳엔 행차 한번 않으시나 何不一幸乎其中 서쪽으로 도성문 얼마인지 西去都門幾多地 우리 임금 노닐지 않음 깊은 뜻 있으리 吾君不游有深意 한 분 행차 쉽지 않으니 一人出兮不容易 육궁이 따르고 백관이 차비 갖추네 六宮從兮百司備 여든한대 수레에 천만 기병 八十一車千萬騎 아침엔 성대한 연회 저녁엔 하사품 朝有宴飫暮有賜 웬만한 백성 수 백집 합친대도 中人之頻數百家 임금님 하루 비용 충당하기 부족하네 未足充君一日費 우리 임금 자기 수양 남들은 모르네 吾君修己人不知 방일하지 않으시고 환락 모르시니 不自逸兮不自嬉 우리 임금 남모르는 백성 사랑 吾君愛人人不識 재물 공력 함부로 낭비 않으시네 不傷財兮不傷力 여궁 높이 솟아 구름으로 들어가고 驪宮高兮高入雲 임금님 오심은 한 몸 때문이나 君之來兮爲一身 임금님 오지 않으심은 만인을 위함이네 君之不來兮爲萬人. |
![]() ![]() |
![]() |
2007.07.10 09:53:51 |
앞선 블로그 글에서 나는 이태백(李太白)이야말로 인류 역사상 가장 걸출한 파토스(pathos)의 시인이라는 요지의 발언을 한 적이 있다. 그의 시는 저 폐부 아래 침전한 뻘층조차도 긁어낸다. 그래서 그의 처절한 인생의 궤적을 알고 그런 배경이 잉태한 문학을 알면 가슴이 시리다. 아! 아프다. 눈물겹다!
아리다! 아래에 소개하는 장간행(長干行)이란 시는 이태백 문학의 파토스, 그 불멸의 극점이다.
- 李白 이백 - 妾髮初覆額 첩발초복액 제 머리 처음 이마 덮을 적에 折花門前劇 절화문전극 꽃 꺾어 문 앞서 놀았지요 郎騎竹馬來 낭기죽마래 님께선 죽마 타고 와서는 繞牀弄靑梅 요상농청매 뱅뱅 침상돌며 매실로 장난쳤지요 同居長干里 동거장간리 같이 장간리에 살며 兩小無嫌猜 양소무혐시 두 꼬만 스스럼없이 지내다 十四爲君婦 십사위군부 열넷에 당신 아내 되어서는 羞顔未嘗開 수안미상개 부끄러워 얼굴조차 들 수 없었죠 低頭向暗壁 저두향암벽 고개 숙여 어둔 벽만 바라보다 千喚不一回 천환불일회 천 번을 불러도 한 번도 돌아보지 못했지요 十五始展眉 십오시전미 열다섯에 비로소 미간 펴고는 願同塵如灰 원동진여회 티끌과 재 되도록 함께 하자 했지요 常存抱柱信 상존포주신 늘 변치 않는 마음 지니면서 豈上望夫臺 기상망부대 어찌 망부대에 오르리오 했건만 十六君遠行 십육군원행 열여섯에 님께서 멀리 떠나 瞿塘豫淅堆 구당여석퇴 구당 여석퇴로 가셨지요 五月不可觸 오월불가촉 오월이 되어도 가까이 갈 수 없어 猿聲天上哀 원성천상애 원숭이 울음만 천상에서 슬퍼요 門前遲行跡 문전지행적 문 앞엔 오가는 자취 뜸해 一一生綠苔 일일생록태 하나씩 푸른 이끼 돋아나다가 苔深不能掃 태심불능소 이끼 두터워 떼낼 수도 없는데 落葉秋風早 낙엽추풍조 잎은 지고 가을바람 일찍 왔지요 八月蝴蝶來 팔월호접내 팔월 되니 나비 찾아들어 雙飛西園草 쌍비서원초 쌍쌍이 서쪽 동산 풀밭에서 나네요 感此傷妾心 감차상첩심 이를 보노라니 제 마음 몹시도 아파 坐愁紅顔老 좌수홍안노 앉아서 근심하다 앳된 얼굴 늙어가요 早晩下三巴 조만하삼파 언제든 삼파 떠나올 때면 預將書報家 예장서보가 미리 집으로 기별이나 넣어 주세요 相迎不道遠 상영부도원 당신 맞으러 먼 길 마다 않고 直至長風沙 직지장풍사 곧장 장풍사까지 달려 가렵니다 1ㆍ長干行:樂府曲名. 2ㆍ橫塘:현재의 江蘇 江寧縣.
=是一首藉著年輕商婦的愛情與相思爲題材的敘事抒情詩, 詩中以女子自述的口吻ㆍ回憶的形式, 娓娓敘寫了自童年ㆍ成婚到別離相思的過程以及對未來的想望, 全詩充滿了女子溫柔深厚而又熾熱奔放的感情, 透過李白敏銳的藝術眼光ㆍ高度的文學技巧和豐富的想像力成功的呈現出來. 以下將〈長干行〉一詩分爲童年生活ㆍ婚姻生活ㆍ別後相思與未來期盼四個部分加以敘述. 首六句運用追憶的方式, 寫天真無邪的童年生活. 詩中將一對情竇未開ㆍ純真爛漫的小兒女, 通過「折花」ㆍ「劇」ㆍ「騎竹馬」ㆍ「遶床」ㆍ「弄青梅」等一連串的動作及兒時嬉戲, 勾起一幕幕無憂無慮ㆍ歡樂無限的甜蜜回憶, 道出了商婦和她的丈夫從小就有著深厚的感情基礎──那來自於「兩小無猜」ㆍ「靑梅竹馬」的親密友誼. 「十四爲君婦」到「猿聲天上哀」, 以年齡序數法寫女子婚姻生活的種種歷程. 內容包含三個層次: 第一層四句寫初嫁的嬌羞情懷, 雖然是由童年一起嬉戲的玩伴而結爲夫妻, 畢竟難掩新嫁娘的羞澀容顏與嬌媚情態!尤其是「低頭向暗壁, 千喚不一回」兩句, 細膩的刻畫出女子微妙的心理活動, 而這正是她深摯的愛情表現方式與內心喜悅的自然流露. 第二層四句由「低頭」到「展眉」, 由新婚之柔情無限開展到婚後熾熱堅真的愛戀. 「願同塵與灰」化用吳聲歌曲中〈歡聞變歌〉詩句:「沒命成灰土, 終不罷相憐」的意思, 描述自己願同灰塵一般與丈夫和合相依, 永不分離;「常存抱柱信」則借用《莊子˙盜跖》:「尾生與女子期於梁下, 女子不來, 水至不去, 抱梁柱而死」的典故, 深信丈夫對愛情的忠貞專一, 一如尾生守信一樣至死不渝. 於是夫妻雙方沈浸在幸福美滿的婚姻生活中, 信誓旦旦的昭告天下「豈上望夫臺」──我不會同一般商婦怨女一樣走上望夫而死的絕境!但是幸福的日子終會結束, 而歡樂總是如此匆匆, 對從商的長干里居民來說, 分離似乎是不可避免的事實與夢魘了!第三層四句寫丈夫要遠行經商, 不僅要上溯至巴蜀, 經過「巴東三峽巫峽長, 猿鳴三聲淚沾裳」, 那哀猿長嘯ㆍ屬引淒異的巫峽;還要經過暗礁急流ㆍ險象環生的瞿塘峽口灩澦堆, 特別是在五月夏季水漲時礁石幾乎全部沒入水中, 船隻更容易因此而撞碎沈沒! 一想到這些久遠的傳聞與經驗, 怎不教人心緒蒙上陰霾?怎不教人擔驚受怕?心中不自覺得聲聲呼喚ㆍ殷殷祈禱, 遠行的夫君能夠安然無恙. 「門前遲行跡」到「坐愁紅顏老」八句敘寫別後的相思離愁. 別離一直是人生永恆不變的主題, 從戰國時屈原在〈九歌˙少司命〉中說:「悲莫悲兮生別離. 」到南朝梁江淹的〈別賦〉:「黯然銷魂者, 唯別而已矣. 」再到元代散曲家劉庭信的〈折桂令〉:「人生最苦是別離. 」在在的顯示出別離切割在人心上的傷痕豈止是一個愁字而已!生活失去了重心, 做什麼事情都不起勁ㆍ沒有意思, 連昔日嬉戲遊玩的足跡都因久無走動而生了綠苔, 不能掃除, 其實不能掃除的是離人心中的相思啊!就好像李後主的〈清平樂〉:「砌下落梅如雪亂, 拂了一身還滿」ㆍ「離恨恰如春草, 更行更遠還生」一樣, 愁緒縈懷, 豈能揮之即去;於是日子變的漫長難耐, 好不容易從五月盼到了八月, 時序才一入秋, 早來的秋風已是迫不及待的吹送著陣陣落葉ㆍ處處飛舞, 萬物蕭瑟凋零一如自己憔悴的心, 無怪乎詩人們要吟誦出「何處合成愁, 離人心上秋」這麼體己的話了. 可惱的是那比翼雙飛的蝴蝶兒正濃情蜜憶的在西園中嬉戲著, 此情此景, 教人情何以堪? 而青春年華就在這刻骨銘心的煎熬與失落之中, 一點一點的逐漸老去. 最後四句描寫商婦對未來充滿期盼的熱切心情. 商婦並沒有陷溺在濃得化不開的愁緒中無法自拔ㆍ哀怨悔恨;而是將自己的感情作進一步的提昇, 她寄語遠方的丈夫, 無論你什麼時候回來, 記得先捎封信回家, 我會直接到幾百里外的長風沙迎接你!商婦渴望會面久候的心和蘊藏心底的奔放熱情, 從「直至長風沙」的堅貞赤誠, 完全展露無遺. 她的痴心懸想, 她不畏艱險ㆍ不辭長途跋涉的勇氣, 她對未來的信心, 積極主動的去迎接幸福的來臨……, 凡此種種皆生動豐富的刻畫出一個可敬可愛的婦女形象, 難怪《唐宋詩醇》說它「兒女情事直從胸臆間流出, 縈迂曲折, 一往情深」, 而黃永武也要讚嘆「詩篇淒怨, 悲涼中又不失清麗委婉, 感情純正而真切. 」(《唐詩三百首鑑賞》)〈長干行〉一詩, 的確是我國古代愛情詩篇的佳構.
補充資料 (一)類文選讀 長干曲 古辭 逆浪故相邀, 菱舟不怕搖. 妾家揚子住, 便弄廣陵潮.
西洲曲 古辭 憶梅下西州, 折梅寄江北. 單衫杏子紅, 雙鬢鴉雛色. 西洲在何處, 兩槳橋頭渡. 日暮伯勞飛, 風吹烏臼樹. 樹下即門前, 門中露翠鈿. 開門郎不至, 出門採紅蓮. 採蓮南塘秋, 蓮花過人頭. 低頭弄蓮子, 蓮子靑如水. 置蓮懷袖中, 蓮心徹底紅. 憶郎郎不至, 仰首望飛鴻. 鴻飛滿西洲, 望郞上靑樓. 樓高望不見, 盡日欄干頭. 欄干十二曲, 垂手明如玉. 卷廉天自高, 海水搖空綠. 海水夢悠悠, 君愁我亦愁. 南風知我意, 吹夢到西洲. 長干曲 四首 - 최호(崔顥)
君家何處住(군가하처주) 그대 어디에 사시오? 妾住在璜塘(첩주재황당) 제 집은 황당에 있답니다 停船暫借問(정선잠차문) 배 좀 세워주오 잠시 여쭐 말 있소 或恐是同鄕(혹공시동향) 혹시 우리 같은 마을 아닌가요? 家臨九江水(가임구강수) 내 집은 구강 변에 있어 來去九江側(래거구강측) 구강을 오간다오 同是長干人(동시장간인) 같은 장간 사람인데 生小不相識(생소불상식) 어릴 적엔 모르고 지냈구려 下渚多風浪(하저다풍랑) 물섬 아래선 풍랑 심하니, 蓮舟漸覺稀(연주점각희) 연밥 따는 배 점차 사라지네요 那能不相待(나능불상대) 어찌 기다리지 않겠어요 獨自逆潮歸(독자역조귀) 홀로 물길 거슬러 돌아가서야 하는데 三江潮水急(삼강조수급) 삼강엔 조수 세차게 거슬러 올라오고 五湖風浪湧(오호풍랑용) 오호엔 풍랑이 거세지네요 由來花性輕(유래화성경) 본래 꽃이란 가벼우니 莫畏蓮舟重(막외련주중) 연꽃 실은 배 무겁다 두려워 마오 小長干曲 崔國輔 月暗送湖風, 相尋路不通. 菱歌唱不輟, 知在此塘中. (以上見郭茂倩《樂府詩集》卷七十二) 長干行之二 李白(一作張潮) 憶妾深閨裡, 煙塵不曾識. 嫁與長干人, 沙頭侯風色. 五月南風興, 思君下巴陵. 八月西風起, 想君發揚子. 去來悲如何, 見少別離多. 湘潭幾日到, 妾夢越風波. 昨夜狂風度, 吹折江頭樹. 渺淼暗無邊, 行人在何處. 好乘浮雲驄, 佳期蘭渚東. 鴛鴦綠蒲上, 翡翠錦屏中. 自憐十五餘, 顏色桃花紅. 那作商人婦, 愁水復愁風.
(二)瞿塘灩澦堆
三峽中最雄偉壯觀而又險峻的是瞿塘峽, 西起夔州的白帝城, 東達巫山縣的大溪, 全長約八公里, 峽谷兩岸懸崖高出江面五百至七百米, 而山峰則高達一千四百米. 在白帝城下瞿塘峽入口處的江中心, 有一塊川江船工望而生畏的巨石, 名叫灩澦堆. 冬季灩澦堆出水長約三十米, 寬約二十米, 高達四十米, 夏季水漲時則幾乎完全沒入水中, 石的周圍水勢險急, 激成漩渦, 形成多股紊亂的水流. 古代船工駕船至此, 常不知順那一股水流漂過去才安全, 萬一判斷錯誤, 船隻會被激流捲至堆上撞碎. 自遠古以來, 灩澦堆不知撞沉多少船隻. 因此從晉代起, 行船的人中流傳著這樣的歌謠: 灩澦歌 古歌謠 灩澦大如象, 瞿塘不可上. 灩澦大如牛, 瞿塘不可留. 灩澦大如馬, 瞿塘不可下. 灩澦大如襆, 瞿塘不可觸. 灩澦大如龜, 瞿塘不可窺. 灩澦大如鱉, 瞿塘行舟絶. 唐代宗大曆初年, 杜甫在夔州時, 見到船工啓航入瞿塘峽之前, 要宰牛沉入江中祭水神, 以祈求航行平安. 於是寫了一首五律來顯示灩澦堆的禍害: 灩澦堆 杜甫
沉牛答雲雨, 如馬戒舟航. 天意存傾覆, 神功接混茫. 干戈連解纜, 行止憶垂堂. 唐末詩人劉隱辭, 寫了一首七律, 記敘這裡的奇特景觀: 詠灩澦堆 劉隱辭 灩澦崔巍百萬秋, 年年出沒幾時休. 未容寸土生纖草, 能向當江覆巨舟. 無事便騰千尺浪, 與人長作一堆愁. 都緣不似蟠溪石, 難使漁翁下釣鉤. (以上見王曙編著《唐詩故事集》第四集)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