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k2gim·

ㆍ임기중 편저, 연행록총간(燕行錄叢刊), KRPIA.CO.KR, ⓒ 2011 ㈜누리미디어

굴어당 2011. 10. 27. 17:03

http://user.nurimedia.co.kr/Product/ProList.asp

 

제품 정보
제품명 :
연행록총간(燕行錄叢刊)
저자정보 :
임기중 편저
발행처 :
임기중
ISBN13 :
978-89-5653-546-3
주제분류 :
[기본분류]문학 > 가사·수필
역사 > 한국사
 
[KDC분류]문학 > 한국문학 > 일기, 서간, 기행
발행년도 :
2011-09-09
제품 소개
'연행록(燕行錄)'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사신들이 중국을 왕래하면서 남긴 사기록(私記錄)을 일컫는 말입니다. 연행 당시 보고 듣고 느끼고 조사한 모든 것을 담고 있어 전통시대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과 역사 문화를 생생하게 전해주는 중요한 자료로 손꼽힙니다. 임기중 교수가 1960년대 이래 꾸준히 연행 기록들을 발굴하고, 그 가운데에서 정본화 작업을 거쳐 연행록으로서 연구 가치가 있는 자료들을 간추린 것이 이번의 『연행록총간(燕行錄叢刊)』입니다. 연행 연도순으로 배열하였으며 연행록별로 상세 목차를 작성하여 목차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연행 세기별, 연행 왕대별, 연행록을 쓴 작자별로 찾아볼 수 있게 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 그 뿐 아니라 ‘통문관지(通文館志)’ ‘동문휘고(同文彙考)’ ‘한국사신들의 중국왕래 일람표’를 같은 창에서 검색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습니다.
저자 소개
  • - 임기중
     전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교 교수, 현 명예교수
     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소장
     전 동국대학교 연구교류처장 문과대학 학장, 동 대학원장
     전 한국국어국문학회 회장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학술논문집 평가위원회 위원장
수록 내용
  • 세기별, 왕대별, 작자별 탭 구성
  • 총 455 종 작품 수록
  • 각 작품, 작자별 사행년도 정보 수록
  • 6만 6천 여 장의 방대한 영인본 이미지
  • 『通文館志(통문관지)』,『同文彙考(동문휘고)』 수록
  • 韓國使臣의 中國往來一覽表(13~19世紀) 정리
,,,,,,,,,,,,,,,,,,,,,,,,,,,,,,,,,,,,,,,,,,,,,,,,,

 

구매문의: (02) 710-5396 / sales@nurimedia.co.kr
 




연행록총간 燕行錄叢刊 | 임기중 편 [KRpia연행록총간 바로가기]

"
동아시아 세계의 소통과 교류의 지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700여 년간 한국의 사신들이 중국을 방문한 공식-비공식 기록입니다. 외교사절로 임명되는 순간부터 각종 준비사항과 사절단의 구성, 그리고 노정 상에 등장하는 지역에 대한 관찰 견문기록, 중국의 다양한 풍습 목격담 등 당시 연행을 하면서 보고 듣고 느낀 모든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수록내용
세기별, 왕대별, 작자별 탭 구성
총 455 종 작품 수록
각 작품, 작자별 사행년도 정보 수록
6만 6천 여 장의 방대한 영인본 이미지
『通文館志(통문관지)』,『同文彙考(동문휘고)』 수록
韓國使臣의 中國往來一覽表(13~19世紀) 정리

주요특징
『燕行錄叢刊』은 1273年(高麗 元宗 14年) 帝王韻紀의 著者로 잘 알려진 李承休가 中國에 使臣으로 다녀온 記錄 「賓王錄」부터, 舊韓末인 1894年(高宗 31年) 金東浩의 「燕行錄(甲午燕行錄)」에 이르기까지 700餘 年 동안의 燕行記錄 總 455種을 담고 있습니다. 林基中 敎授가 1960年代 以來 꾸준히 燕行記錄들을 發掘하고, 그 가운데에서 正本化 作業을 거쳐 燕行錄으로서의 價値가 立證된 資料들을 整理한 것으로,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硏究活動에 支障을 招來했던 過去 刊行冊子들의 限界를 뛰어넘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上에서 情報를 檢索하고 活用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개인용 : 500,000

 
고려사 | 정인지 외 지음 / 북한사회과학원 역주

"
잊혀진 고려인의 숨결을 컴퓨터로 복원한다"

60
여년 동안 총 139권의 방대한 분량으로 편찬된 자료를 한 장의 CD-ROM 으로 검색 열람할 수 있습니다.
고려사는 고려 왕조 34 475년의 역사 속에서 일관되게 흐르는 "사실은 있는 그대로 서술되어야 한다"는 올곧은 선비정신과 투철한 역사 의식이 그대로 복원되고 있습니다.

 

수록내용
고려사 번역문(11) 수록
고려서 원전 (139), 이미지 수록
고려 유물 유적 슬라이드 63매 수록

주요특징
☞ 10
여 년에 걸쳐 100여 명의 북한 정상급 학자가 참가한 북역 고려사는 정확한 번역과 알기 쉬운 문체, 상세한 주석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누리미디어는 북역 고려사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에서 이질적인 북한식 용어 및 표기, 특수 기호 등은 모두 한국의 맞춤법에 맞게 고쳤다. 또 원문과 번역문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원문 링크 기능을 첨가하여 고려시대사 연구의 르네상스를 이끌어내는 소중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개인용 : 150,000 | 초중고용 : 390,000

 
삼국사기 / 삼국유사 | 김부식, 일연 지음 / 이병도 역주

"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과 고대문화의 원형을 복원한다"

고대사 연구의 최대 고전 <삼국사기>는 고려의 문인 김부식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한 正史로 총 50권으로 구성된 관찬사서로 고대사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입니다. 한국사학의 태두인 두계 이병도 박사가 30여년간에 걸쳐 역주한 삼국사기로 이제 새로운 고대사 연구의 지평이 열립니다. 고대문화를 생생하게 전해주는 <삼국유사>는 고려시대 스님인 일연이 고려 중반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풍부한 구전과 민간전승 사실들을 수록한 사찬사서입니다.


수록내용
삼국사기 역주본(2), 삼국유사 역주본(1) 수록
삼국사기 원전(50), 삼국유사 원전(5) 이미지 수록

주요특징
두계 이병도 선생의 탁월한 역주본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대한 국역본은 수십 종에 이르지만 한국 사학의 초석을 닦은 두계 이병도 선생의 역주본은 간행 50여 년이 넘는 오늘날까지도 단연 최고라고 할 수 있다. 정확한 원문 교정과 역사적 사실에 대한 본격적인 역주는 여타 역주본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어 고대사 연구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참고서이다
.

개인용 : 150,000 | 초중고용 : 300,000
 
동국이상국집 | 이규보 지음 / 북한 사회과학원 역 / 진성규(중앙대학교 사학과) 해제

"
남한을 위해 북한에서 번역"

고려시대 최고의 문인으로 꼽히는 이규보 선생의 저작으로 총 53 13책의 방대한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인문집 임에도 그 문학적, 역사적 가치를 인정 받고 있습니다.

 

누리미디어가 통일부의 승인 아래 북한 사회과학원의 학자들에게 번역을 직접 의뢰한 국내 최초의 북한 외주 번역 상품입니다.

수록내용
, , 조문, , 잡문 등 53 13책 수록
원문 이미지 수록

주요특징
☞ 141
282구의 민족 대서사시 <동명왕편> 수록
가전체 문학작품 <국선생전>, <청강사자현부전> 수록
대장경 판각기를 알게 하는 <대장경각기고문> 수록
순 한글 번역과 전문가의 치밀한 주석

개인용 : 150,000 | 초중고용 : 200,000

 
증보문헌비고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국역

"
조선시대 최고의 백과사전을 만난다"

<증보문헌비고>는 대한제국시대 고종황제의 명에 의해 편찬된 조선시대 최후의 백과사전으로 국가의 모든 제도와 문물을 총 16개 분야로 나누어 시대순으로 정리한 총250권의 방대한 분류서입니다.
조상들의 제도와 문물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서적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수록내용
증보문헌비고 번역문(37)
증보문헌비고 원전(250) 이미지

주요특징
철저한 고증과 번역 ;국역 증보문헌비고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19년에 걸쳐 관련분야 최고의 학자들을 비롯해 연인원 60,000명이 참여해서 이루어낸 거대한 성과이다. 원전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철저한 번역과 치밀한 고증을 거쳐 완성되었기 때문에 한글 세대들도 쉽게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개인용 : 190,000 | 초중고용 : 380,000

 
대전회통 | 조두순 등 지음 / 한국법제연구원 역주

"
경국대전 + 조선시대 3개 대표법전"

조선시대 500년간의 법령집을 모은 대전회통은 성종대의 경국대전, 영조대의 속대전, 정조대의 대전통편, 고종대의 개정 법령까지 총망라한 것으로 일제 하에서도 조선의 선행이라는 이름으로 법률의 모태가 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관습법으로서 현행규범성을 유지하고 있는 자료입니다. , , , , , 공전의 6전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전회통은 조선시대의 법률변화는 물론 조선 500년의 사회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수록내용
☞ 6
전 체제에 따라 6전으로 구성
226개의 조문으로 구성
원문 이미지 수록, 동시 검색 가능

주요특징
☞ <
한국법제연구원>의 치밀한 주석과 번역
선행 역주본 총망라
학계 연구 성과 반영

개인용 : 150,000 | 초중고용 : 200,000

 
사기 | 사마천 지음 / 정범진 외 번역

"
동양 역사의 체계를 세운 고전"

동양 역사 서술의 체계를 세웠으며 가장 오래된 중국역사서인 사마천의 ≪사기≫는 중국의 고대부터 한() 대까지의 모든 역사가 수록되었으며 사마천 자신의 사관에 입각하여 덧붙인 당대 역사에 대한 평가는 매우 날카로우며 정확합니다. 문장 자체만으로도 문학적 평가를 높이 받고 있는 동양고전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로 개발한 사기는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의 정범진 교수를 비롯한 전공자들이 공동번역하여 출간한 것으로 꼼꼼하고 치밀한 번역과 상세한 주석이 장점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사기는 전문역사학자뿐 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동양고전의 진수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수록내용
본기(本紀) 12, 세가(世家) 30, () 8, () 10, 열전(列傳) 70, 130편 수록
원문 이미지 링크

주요특징
역대 중국 정사의 모범이 된 기전체(紀傳體)의 효시
전공자들의 공동 번역 작업에 의해 탄생한 치밀한 주석과 꼼꼼한 번역

개인용 : 170,000 | 초중고용 : 240,000

 
목민심서 | 茶山 정약용 지음 / 茶山硏究會 역주 / 창작과비평사 발행

"
민심을 읽는 목민관의 지침서"

경세유표와 흠흠신서와 함께 다산 3대 저서로 조선시대 실학의정수로 평가 받고 있는 저서를 국사,사회,국문 경제학 등 각 분야의 권위자들이 모인 <다산연구회>의 10여 년 간의 공동연구 성과로 한국의 사회 경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 <부임>,<율기>,<봉공> 12, 72조를 담고 있습니다.


수록내용
부임, 율기, 봉공 등 12, 72조 수록
원문 이미지 링크

주요특징
국사·사회·국문·경제학 등 각 분야의 권위자들이 모인 <다산연구회> 10여 년 간의 공동연구 성과
한국의 사회·경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
각계 전문가의 공동연구에 의한 치밀하고 꼼꼼한 번역과 주석

개인용 : 170,000 | 초중고용 : 200,000

 
고려묘지명집성 |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김용선 교수

고려시대 묘지명 322점에 대한 원문 텍스트와 번역문 텍스트, 그리고 2986개의 역주와 주요 색인어, 탁본 이미지 205점이 함께 수록되어 있으며, 한 번의 검색으로 원하는 정보를 모두 얻을 수 있도록 one-Stop 서비스를 구현한 제품입니다.

 

수록내용
고려시대 묘지명 322점에 대한 원문 텍스트
번역문 텍스트,
☞ 2986
개의 역주와 주요 색인어
탁본 이미지 205

개인용 : 160,000

 
규장각소장발해사자료 | 서울대 국사학과 송기호 교수 / 서울대학교 규장각 발행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송기호 교수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조선시대 문헌자료 40종에서 추출한 발해사 관련 기록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한 제품으로, 발해사 관련 기록 원문은 물론, 해당 사료의 상세한 해제와 발해사 연구 현황에 대한 송기호 교수의 논문까지 수록되어 있습니다.

 

수록내용
39종의 규장각 소장 자료 가운데 발해사 관련 자료
원문 이미지 1,347
원문 텍스트 및 해제, 논문 294,103

주요특징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발해사 관련 자료 총망라
원문 이미지와 텍스트 자료의 완벽한 교정, 교열
발해사 관련 자료에 대한 상세한 해제
발해사 관련 연구동향에 관한 논문 수록


개인용 :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