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k2gim·
매천집(梅泉集)1,2,3,4.역자 : 임정기ㆍ박헌순ㆍ권경열ㆍ이기찬.한국고전번역원
굴어당
2012. 1. 26. 11:50
![]() |
|
내용 |
---|
구한말 일제에 의해서 주권이 강탈당한 사태를 눈앞에 보고 자결해 죽은 애국시인 매천 황현(黃玹, 자 운경(雲卿), 본관 장수(長水), 1855~1910)의 시문집이다. 《매천집》은 원집 7권 3책, 속집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집은 권1에서 권5까지 시작품을 수록했고 권6과 권7에는 산문작품을 수록했으며, 속집 두 권은 모두 산문을 수록했다. 시부는 지어진 연대순으로 배열했는데 산문부는 문체로 분류한 방식을 취했다. 매천은 “시에 특별한 재주가 있다(詩有別才)”는 평을 받고 있는데, 원집의 시부에는 23세 때 지은 <연곡사(燕谷寺)>부터 <절명시(絶命詩)>에 이르기까지 그 자신의 순탄치 않은 인생역정을 보여주는 작품이 실려 있다. 또한 매천은 농촌지식인으로서 삶을 견지하면서 전원생활과 자연미를 표현하기도 하는가 하면, 농민의 현실을 사실적 수법으로 그리기도 하였다. 한편 자신이 처한 위망의 시대를 고민하며 외세에 짓밟힌 나라의 운명에 대해 시로 표현하는 등 우국시를 다수 남기고 있다. 아울러 《매천집》에는 강건하고 예리한 필치로 자신의 문학관, 국정개혁 문제 등을 논한 다수의 산문이 전하고 있다. |
구성 |
* 제 1 책 : 서(序), 묘표(墓表), 본전(本傳), 찬(贊), 행록(行錄), 평어(評語), 제사(題詞), 권1 ~ 2[시(詩)] - 정축고(丁丑稿), 무인고(戊寅稿), 기묘고(己卯稿), 경진고(庚辰稿), 신사고(辛巳稿), 임오고(壬午稿), 계미고(癸未稿), 갑신고(甲申稿), 을유고(乙酉稿), 병술고(丙戌稿), 정해고(丁亥稿), 무자고(戊子稿), 기축고(己丑稿), 경인고(庚寅稿), 신묘고(辛卯稿), 임진고(壬辰稿), 을미고(乙未稿), 병신고(丙申稿), 정유고(丁酉稿), 무술고(戊戌稿) * 제 2 책 : 권 3[시(詩)] - 무술고(戊戌稿), 기해고(己亥稿), 경자고(庚子稿), 신축고(辛丑稿) * 제 3 책 : 권 4 ~ 5[시(詩)] - 신축고(辛丑稿), 임인고(壬寅稿), 계묘고(癸卯稿), 갑진고(甲辰稿), 을사고(乙巳稿), 병오고(丙午稿), 정미고(丁未稿), 무신고(戊申稿), 기유고(己酉稿), 경술고(庚戌稿), 보유(補遺) * 제 4 책 : 권 6 ~ 7, 속집 권 1 ~ 2 - 서간[書], 서(序), 기(記), 발문[跋], 논(論), 설(說), 명(銘), 찬(贊), 소(疏), 행장(行狀), 묘표(墓表), 전(傳), 서사(書事), 잡문(雜文), 보유(補遺), 제문(祭文) |
매천집(梅泉集)1,2,3,4.역자 : 임정기ㆍ박헌순ㆍ권경열ㆍ이기찬.한국고전번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