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2012. 2. 8. 10:31
http://web.hallym.ac.kr/~taedong/intro.html
태동고전연구소의 역사는1963년 11월 3일 서울 종로구 수표동에서 초대 소장인 청명 임창순(任昌淳) 선생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문강좌를 개설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1979년 9월, 서울에서 현재의 장소(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리)로 이전하였고, 1985년 8월 14일 이후 한림대 부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09년 이후 대학원 협동과정을 설치하여 운영중입니다.
태동고전연구소는 한문교육을 통하여 인문학 연구 전문인력을 양성함은 물론 각 분야에 걸쳐 연구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장학생으로 선정되면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중심으로 3년간 학습하며, 학교예산으로 숙식비 외에 일정액의 장학금을 지급 받습니다.
또한 연구소 졸업생들의 연구성과를 싣는 《태동고전연구》가 정기적으로 간행되고 있으며 고전번역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1989년부터 이익(李瀷)의 저서인 《성호질서》 번역에 착수하여 일부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참고자료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소개 [다운로드]
교과과정
|
학수번호 |
학기 |
과목명 |
시 간 |
학 점 |
비 고 |
기
본 |
101 - I |
1 |
논 어 I |
3 |
3 |
|
101 - II |
1 |
논 어 II |
3 |
3 |
|
101 - III |
1 |
논 어 III |
3 |
3 |
|
102 - I |
2 |
맹 자 I |
3 |
3 |
|
102 - II |
2 |
맹 자 II |
3 |
3 |
|
103 - I |
1 |
시 경 I |
3 |
3 |
|
103 - II |
2 |
시 경 II |
3 |
3 |
|
104 - I |
1 |
서 경 I |
3 |
3 |
|
104 - II |
2 |
서 경 II |
3 |
3 |
|
105 - I |
1 |
주 역 I |
3 |
3 |
|
105 - II |
2 |
주 역 II |
3 |
3 |
|
106 - I |
1 |
번역연습 |
3 |
3 |
|
106 - II |
2 |
번역연습 II |
3 |
3 |
|
선
택 |
201 - I |
1 |
초 서 I |
3 |
3 |
|
201 - II |
2 |
초 서 II |
3 |
3 |
|
202 - I |
1 |
춘 추 I |
3 |
3 |
|
202 - II |
2 |
춘 추 II |
3 |
3 |
|
203 - I |
1 |
예 기 I |
3 |
3 |
|
203 - II |
2 |
예 기 II |
3 |
3 |
|
204 - I |
1 |
사 기 I |
3 |
3 |
|
204 - II |
2 |
사 기 II |
3 |
3 |
|
205 |
2 |
제자선독 |
3 |
3 |
|
206 |
1 |
고문선독 |
3 |
3 |
|
207 |
2 |
한국문집선독 |
3 |
3 |
|
208 |
2 |
한시특강 |
3 |
3 |
|
- 2009년도 1학기 시간표 -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오 전
(10-13시) |
|
|
논어 II |
주역 I |
논어 III |
|
|
|
최 광 현 |
김 인 철 |
엄 연 석 |
|
|
|
제자선독 I |
시경 I |
초서 I |
|
|
|
엄 연 석 |
임 재 완 |
하 영 휘 |
|
오 후
(15-18시) |
논어 I |
사기 I |
번역연습 I |
|
한국문집선독 I |
|
신 익 철 |
김 만 일 |
김 만 일 |
|
하 영 휘 |
|
서경 I |
|
|
|
|
|
김 만 일 |
|
|
|
|
|
야 간
(20-23시) |
한시특강 I |
|
|
|
|
|
신 익 철 |
|
|
|
|
|
| |
|
 |
 |
|
 |
 |
 |
 |
 |
|

태동고전연구소의 역사는1963년 11월 3일 서울 종로구 수표동에서 초대 소장인 청명 임창순(任昌淳) 선생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문강좌를 개설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 후 1979년 9월, 서울에서 현재의 장소(남양주시 수동면 지둔리)로 이전하였고, 1985년 8월 14일 이후 한림대 부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09년 이후 대학원 협동과정을 설치하여 운영중입니다.
태동고전연구소는 한문교육을 통하여 인문학 연구 전문인력을 양성함은 물론 각 분야에 걸쳐 연구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장학생으로 선정되면 사서삼경(四書三經)을 중심으로 3년간 학습하며, 학교예산으로 숙식비 외에 일정액의 장학금을 지급 받습니다.
또한 연구소 졸업생들의 연구성과를 싣는 《태동고전연구》가 정기적으로 간행되고 있으며 고전번역사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1989년부터 이익(李瀷)의 저서인 《성호질서》 번역에 착수하여 일부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참고자료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소개 [다운로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