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2012. 5. 28. 21:02

첨부파일 초사의이해(김준란).hwp

 

http://cafe.daum.net/annryou    약산무심

목 차

 

1. 초사(楚辭)란?

 

2. 초사(楚辭) 명칭의 의미

 

3. 초사(楚辭)의 역사적 배경

 

4. 초사(楚辭)의 형식

 1) 초사의 구법

 2) 초사의 장법(章法)

 

5. 초사(楚辭)의 작가 와 작품

 

6. 초사(楚辭)의 문학적 성격

 

7. 초사(楚辭)가 후대에 미친 영향

 

8. 초사(楚辭)의 정리

 

9. 시경과 초사의 비교

 

                                         - 김준란 -

 

 

 

 

1. 초사(楚辭)란?

 

 초사(楚辭)는 중국 초(楚)나라의 굴원(屈原)과 그 말류(末流)의 사(辭)를 모은 책, 또는 그 문체를 일컫는 것으로 16권이며 한(漢)나라 유향(劉向)이 편집하였다. 유향이 초나라 회왕(懷王)의 충신 굴원(BC 3세기경)의 《이소(離騷)》와 25편의 부(賦) 및 후인의 작품에다가 자작 1편을 덧붙여 《초사》를 편집했으며, 후한(後漢)의 왕일(王逸)은 본서의 사장(辭章)을 고정(考定) ·주석하여 《초사장구(章句)》 16권을 지었다. 즉, 초나라 땅의 가사라는 뜻의 초사는 주요한 작가들이 모두 초인이었으며 그들의 작품이 대부분 초어(楚語)와 초성(楚聲 )을 사용했으며, 초지(楚支)와 초물(楚物)을 기록한 문학이므로 초사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초사’라는 명칭은 한(漢) 대에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혹리열전(酷吏列傳)」에서 “주매신(朱買臣)이 초사로써 장조(莊助)와 함께 총애를 받았다”고 한 기록이 그것이다.

 

2. 초사(楚辭) 명칭의 의미

초사'란 명칭은 아래 세가지의 관점으로 볼 수 있다.

 

 1)초사는 책이름(서명)이다.

 : 초사는 일종의 문학체제로서 한대(漢代)에 상당히 유행하게 된다. 그러던 차에 한대(漢代) 중엽 유향(劉向)이란 학자가 당시의 국립 도서관 장서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굴원(屈原), 송옥(宋玉) 등의 작품과 한대(漢代) 작가에 의해 쓰여진 초사 형식의 작품들을 수집 및 정리하여 한 권의 책으로 편찬했는데 책이름을 '초사'라고 붙였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현재 보고있는 《초사(楚辭)》라는 책이다.

 (초사는 전국시대 굴원(屈原)을 대표로 하는 초(楚)나라 사람들이 창작한 시가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것을 계승한 후대의 작품들도 모두 여기에 포함되는데, 시기적으로는 한대(漢代) 초기까지를 그 범위에 넣을 수 있다.<초사>는 서한의 유향이 편찬했다고도 하나 실제로 우리에게 전해지는 <초사>의 가장 오래된 책은 동한의 왕일이 지은 <초사장구>라는 책이다. 그런데 <초사>라는 책에는 굴원의 초사장구뿐만이 아니라 그의 제자라는 송옥과 경차의 작품을 비롯하여 한 대의 가의, 회남소산, 동방삭, 엄기, 왕포, 유향 및 왕일 자신의 작품들이 각각 한 편씩 들어 있다. 한 대의 작품들도 적지 않게 들어 있어 <초사>라는 책의 성격을 가늠하기가 쉽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다. )

 

 2)초사(楚辭)라는 책에 수록된 작품들은 거의 모두 똑같은 문학체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를테면 '혜(兮)'라는 어조사가 규칙적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체제를 초사(楚辭)라 부른다.

 

 3)초(楚)나라에서 발전했으므로 '초(楚) 나라의 가사(歌辭)'라 하여 초사(楚辭)라 불렀다.

 

 

 

 

 

 

3. 초사(楚辭)의 역사적배경

 초나라는 강회(江淮) 유역 일대에서 매우 일찍부터 자신들의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으면서, 은주(殷周) 문화의 영향을 받아들였다. 서주(西周) 시대에 초나라는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하여 춘추시대에 이르러서는 군사 정치적으로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초나라의 패권 쟁취와 원교근공(遠交近攻) 정책으로 남북은 문화적 교류를 달성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중원문화는 남방문화와 융합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게다가 초나라 지역에는 무풍(巫風)이 성행하여 신화전설이 풍부하였고 음악도 크게 발달하였다. "초사"는 바로 이러한 역사적 배경 하에서 탄생되었다. 새로운 시체(詩體)로서 초사는 농후한 지역적 특색과 풍부한 상상력, 화미(華美)한 문채, 자유분방한 형식, 뚜렷한 종교적 색채, 신화전설의 대량 채용 등 남방문학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4. 초사(楚辭)의 형식

초사체는 시경체의 변체(變體)라고 할 수 있다. 초사체의 시가는 시경(詩經)의 형식에서 비롯되었지만, 초사는 이런 시체(詩體)를 발전시켰다. 시경은 1언부터 8언에 이르기까지 구를 형성하고 있으나, 다만 4언 위주로 변화가 다양하지 못한데 비해, 초사는 6・7언이 가장 많고(6언은 3언을 거듭한 것이며, 3언은 춤의 리듬) 가지런하지 않을 뿐더러, 1구중에도 여러 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변화가 다양하다. 4언 위주의 시경체 시가는 전국 시대에 이르러 지나치게 규칙적이고  판에 박은 듯하여, 정(情)또는 사물을 자유스럽게 표현할 수 없었으나, 초사체의 시가는 장단이 더욱 자유롭고 운(韻)을 사용 할 수도 있고, 또 사용을 안 할 수도 있었으며, ‘兮’자의 적절한 운용으로 변화가 다양하였다. 따라서 모든 표현이 아주 자유로웠으며, 예술적인 기교에 있어서도 독창적인 발전과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1) 초사의 구법

  굴원이 그의 작품에서 사용한 구법을 중심으로 초사의 기본적인 구법을 따져보면 대체로    다음과 같은 네가지가 있다.

 ① ㄱ.□□□兮□□ :   五音紛兮繁會  각종가락이 풍부하게 서로 어우러지니

             wǔ yīn fēn xī huì

                      君欣欣兮樂康  동황태일이 기뻐서 즐거워하네.

            jūn xīn xīn xī lè k ng  (「九歌」東皇太一)

    ㄴ.□□□兮□□□:  悲莫悲兮生別離  슬픔에는 생이별보다 슬픈 게 없고,

            bēi mò bēi xī shēng bíe lí

                      樂莫樂兮新相知  즐거움에는 새로이 사람을 알게 되는 것보다 즐거운 것이 없네.

           lè mò lè xī xīn xi ng zhī  (「九歌」小司令)

  이 구법은 「九歌」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이지만, 초나라 지방 민요의 원형을 가장 많이 답습한 형식인 것으로 보이며, 구법이 삼언(三言)을 바탕으로 하는 남방의 가요 리듬에 가장 잘 들어맞는 것이다.(초사의 가장 기본적인 구형이 바로 三言임.)

 

 

 

 

 ②.   □□□○□□兮 : 長太息以掩涕兮  항상 큰 소리로 탄식하면서 눈물을 닦네.

           ch ng t i xī yǐ y n tì xī

       □□□○□□ :  哀民生之多艱  백성에게 역경이 많은 것이 슬프도다.

           aī mín shēng zhī duō ji n  (「離騷」)

 이 구법은  「이소(離騷)」와「구장(九章)」중의 7편에서 볼 수 있는 것인데. 이는 ①의 구법에서 변화한 것인 듯 한다. ①의 위 삼언(三言)과 아래 이언(二言)을 연결하는 兮자 대신 “以”,“之”,“而”같은 접속사를 사용하고, 무운구말(無韻句末) 즉, 앞구의 끝에 兮자를 붙이어 전후 두 구를 연결하고 있다. ①의 구법에 비하여 시형(詩型)상 발달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①과 ②는 구법이 3언을 바탕으로 하는 남방의 민요 리듬에 가장 잘 들어맞는 것으로 남방 민요의 고유한 형식을 잃지 않은 것이다.

 

 ③    □□□□ □□□□ :  東西南北, 其脩孰多?  동서남북은 그 길이가 어느 것이 더 긴가?

              dōng xī n n běi, qī xiū shú duō  (「天問」)

 이 구법은 북방「시경」계열과 같은 형식으로 북방가요의 영향을 받은 것일 것이다. 「천문」만이 전편 이 형식을 쓰고 있는데, 「천문」은 벽화에 써 넣은 도찬(圖讚)이었다. 후세의 찬(讚)들이 흔히 四言을 쓰고 있음을 생각할 때 이것은 작품의 성질상 어쩔 수 없이 습용한 구법이었다고도 볼 수 있다.

 

 ④    □□□□ □□□□ : 天地四方, 多賊姦些.  천지사방이 온통 사람을 헤치는 간흉들이오.

               ti n dì sì f ng, duō zéi ji n xīe  (「招魂」)

 이 구법은 북방의 사언구조와 남방의 삼언구조를 합친 것이다. 「초혼(招魂)」「대초(大招)」「구장(九章)」의 「귤송(橘頌)」이 이 구식을 쓰고 있는데, 다만 구미(句末)의 조사를 「초혼(招魂)」은 「些」자를 쓰는 데 비하여 「대초(大招)」는 「只」자를, 「귤송(橘頌)」에서는 「兮」자를 쓰고 있는 것이다.

 

2) 초사의 장법(章法)

 ① 章法 : 주희(朱熹)의 「초사집주(楚辭集註)」에서 처음으로 밝히고 있는데, 청(淸)대에 와서는 진본례(陳本禮)의 「굴사정의(屈辭精義)」, 호준원(胡濬源)의 「초사신주구확(楚辭新註求確)」등이 그를 따라 분장(分章)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면 일장은 사구(四句)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고, 가끔 육구(六句)로 일장을 이루는 것도 있다.

 ② 押韻 : 일정의 우수구(偶數句), 곧 제이(第二), 제사(第四), 제육(第六)구에 하는 것이 원칙이나 간혹 첫 구 또는 전구에 압운한 것도 있다. 그리고 각 장마다 韻을 바꾸고 있어서, 주희는 주로 운을 따라 분장(分章)하였으나 가끔 분장(分章)과 환운(換韻)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곳도 있다.

 

 

 

 

 

5. 초사(楚辭)의 작가 와 작가

 

 1) 굴원 : 초(楚)의 왕족과 동성(同姓)이며, 이름은 평(平), 자(字)는 원(原)이다. 생몰연대는 기   본자료인 《사기(史記)》 <굴원전>에 명기(明記)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설이 있으나, 지금은 희곡 《굴원》의 작자인 궈모뤄[郭沫若]의 설에 따른다. 학식이 뛰어나 초나라 회왕(懷王)의 좌도(左徒:左相)의 중책을 맡아, 내정·외교에서 활약하였으나 법령입안(法令立案) 때 궁정의 정적(政敵)들과 충돌하여, 중상모략으로 국왕 곁에서 멀어졌다. <이소(離騷)>는 그 분함을 노래한 것이라고 《사기》에 적혀 있다.

 

 2)굴원(屈原)의 작품 : 초사의 대표적인 작가는 굴원(屈原)을 들 수 있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의하면, 굴원의 작품은 모두 25편으로 되어 있는데, 아마 유향(劉向)이 교정한 편수일 것이다. 왕일(王逸)의 『초사장구(楚辭章九)』에 따르면「이소(離騷)」,「구가(九歌)」,「천문(天問)」,「구장(九章)」,「원유(遠遊)」,「복거(卜居)」,「어부(漁父)」 등 25편이 굴원의 작품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러나 이 가운데에 「어부(漁父)」는 『사기(史記)』 「굴가열전(屈賈列傳)」가운데에 나오는 굴원의 이야기를 인용하여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굴원의 작품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유(遠遊)」는 한 대에 와서 유행한 도가사상(道家思想)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후대의 사람들이 모방하여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복거(卜居)」및「구장(九章)」중의 ‘석왕일(惜往日)’, ‘비회풍(悲回風)’ 등도 후대 사람들의 모작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충분한 근거가 없다. 그럼으로 비교적 믿을 수 있는 굴원의 작품은 「이소(離騷)」,「구가(九歌)」,「천문(天問)」,「구장(九章)」의 네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소(離騷)」: 이소(離騷)는 굴원이 추방당한 후 유랑(流浪) 중에 쓴 대표적인 작품으로써, 중국 고전 문학 가운데에 가장 긴 서정시일 뿐만 아니라 천고에 빛나는 낭만주의의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모두 373행 2490자로, 그의 평생의 사상과 행적을 쓰고 있다.

  이소(離騷)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근심을 떠나다[별수(別愁)]’, ‘근심을 만나다[遭憂]’, ‘발음상 뇌소(牢騷)와 비슷하므로 굴원 자신의 불평을 나타 낸다’ 등의 해석이 있다.

  이소(離騷)의 내용은 향초(香草)를 비유로 하여 자기의 깨끗한 수양 노력을 노래하는 한편, 세상이 더러워 자기의 뜻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을 원망하며, 자기 이상을 추구하기 위하여 천지사방을 환유(幻遊)한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이 시에서 굴원은 조국에 대한 열렬한 사랑, 이상에 대한 추구, 부패한 현실에 대한 비판, 사악한 무리에 대한 원한을 강렬한 감정으로 표현함으로써 시인의 훌륭한 인격과 진리를 견지하고 진리를 추구하는 불굴의 정신을 반영하였다.

  「이소(離騷)」는 당시의 남방문학을 대표하는 개인적인 작품으로, 열정적이고 자유분방한 풍격을 지니고 있으며, 풍부한 상상력으로 낭만주의 정신을 발휘했다.

 ②「구가(九歌)」: 구가는 본래 초나라의 민간의 제가(祭歌)인데, 음악(音樂), 가사(歌辭), 무도(舞蹈)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구가는 굴원이 추방당한 뒤에 강호를 떠돌아다니다가 초나라 지방 사람들의 제사 의식을 볼 수 있었고, 가무를 들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가사가 너무나 비루한 나머지 가필(加筆)하고 미화해서 비로소 한 편의 훌륭한 시로 완성한 것이다. 왕일(王逸)의 『초사장구(楚辭章九)』에 “옛 초나라 남영 고을인 완수(浣水)·상수(湘水)사이에 사는 사람들은 영혼(귀신)이 있다고 믿고 제사지내기를 좋아하는 풍속이 있었다. 제사 때는 반드시 악가를 지어 노래하고 춤을 춤으로써 모든 신을 즐겁게 하였다 ······ 굴원이 밖에 나와 놀다가 그 지방 사람들의 제사 지내는 의식과 가무의 음악을 들으니, 그 가사가 너무 비루한 것이어서 구가의 곡을 짓게 된 것이다”라고 한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제가(祭歌)를 개작한 것이 아니고, 충군애국(忠君愛國)의 정(情)을 담아 노래한 것이다. 즉 구가의 내용은 초나라 지방의 무가(巫歌)를 개작(改作)한 「동황태일(東皇太一)」,「운중군(雲中君)」,「상군(湘君)」,「상부인(湘夫人)」,「대사명(大司命)」,「소사명(小司命)」,「동군(東君)」,「하백(河伯)」,「산귀(山鬼)」,「국상(國殤)」,「예혼(禮魂)」의 11편의 신(神)을 제사 지내는 노래이다. 따라서 초사는 옛 남방 민가의 색채를 가장 순수하게 지닌 작품이다.

 ③「천문(天問)」: 천문은 굴원의 작품 가운데에 아주 특이한 것으로서, 모두 문화식(問話式)으로 구성되었다. 172물음으로 천문(天文), 지리(地理), 인사(人事)에 이르기까지 370여 구에 1500여 字나 되며, 굴원의 작품 중에 두 번째로 긴 시이다. 제목 ‘천문’에 관하여 왕일은 “하늘은 지존하여 물어볼 수 없으므로 ‘천문’이라고 했다”라고 했는데, 실제로는 ‘문천(問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근대에 와서는 “자연계의 모든 문제”로 해석하는 사람도 없지 않다. 「천문(天問)」편에서 그 물음의 대상을 19가지로 분류하고 있는데, 1.우주의 창생 및 자연 신화, 2.신화 인물, 3.구주곤륜(九州崑崙), 4.영물(靈物), 5.황제 요순(皇帝堯舜)에 관한 일, 6.곤우(鮌禹)의 일, 7.계사(啓事), 8.요(堯), 소강(小康)의 일, 9.예(羿)의 일, 10.걸(桀), 말희(妺嬉)의 일, 11.설(契),탕(湯),이윤(伊尹)의 일, 12.은왕(殷王)의 일, 13.주(紂)의 일, 14.이제(夷齊)의 일, 15.직(稷), 16.문왕(文王), 무왕(武王)의 일, 17.소왕(昭王), 목왕(穆王), 유왕(幽王)의 일, 18.춘추시사(春秋時事), 19.사실무미(史實無微) 등의 것이다.

  이 시를 지은 동기는 굴원이 추방당한 이후에 우울한 마음을 달랠 길이 없어 도처를 방황하게 된다. 그는 그때 이미 정신적인 동요를 겪게 되었으며, 본디 가지고 있었던 모든 믿음이 붕괴됨에 따라 자연현상, 역사, 종교 신앙, 인생의 이상에 이르기까지 회의를 갖게 된 나머지 여러 가지 물음을 하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왕일이 “굴원이 추방되어 근심에 초라한 몸을 이끌고 산과 늪을 방황하고 구릉을 지나다니며 하늘을 보고 부르짖어 탄식하였다.”라고 한 것도 그의 처지를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 천문은 글이 四言體로 남방 민가와 거리가 먼 듯하고, 내용도 앞뒤 연결조차 잘 되지 않는 것이 많다.

 ④「구장(九章)」: 구장은 아홉 편의 장으로 되어 있으며, 그 지어진 시대별 순서는 대체적으로 귤송(橘頌), 석송(惜誦), 추사(抽思), 애영(哀郢), 섭강(涉江), 사미인(思美人), 비회풍(悲回風), 석왕일(惜往日), 회사(懷沙)의 순으로 여겨지고 있다. 주희(朱熹)는 “후대 사람이 모아 장구(章句)라 하고 한데 묶어 1권으로 하였는데, 이것은 반드시 일시에 나온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즉, 굴원이 강남으로 추방당한 뒤에 군왕을 생각하고 나라를 근심하며, 시름에 겨운 충정을 노래한 것이라고 한다. 그 중 「추사(抽思)」는 초 회왕(楚 懷王) 24년(기원전 305)에 굴원이 합진(合秦)의 그릇됨을 간(揀)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고 귀양을 보냈을 때 의 일을 노래한 것이다.

 

 

 

 

 

 

6. 초사(楚辭)의 문학적 성격

 1) 낭만(浪漫)의 시풍 : 초사가 비록 시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지만, 내용과 풍격에 있어서 매우 강한 대비를 이룬다. 시경은 황하 유역에서 생산된 북방 문학이다. 북방의 기후는 건조 한랭하고 토지는 척박하기 때문에, 백성들의 성격이 소박하고 실제를 중요시하였다. 따라서 시경은 현실적인 사회생활에서 소재를 찾고 사회의 보편성을 묘사하였다. 그리하여 시경의 풍격은 담백하고 사실적이다. 그러나 초사는 장강(長江) 유역에서 생산된 남방문학으로, 남방의 기후는 따뜻하고 토지가 비옥하기 때문에 물산이 풍부하며, 인정이 온후하고 상상력이 풍부하여, 그들의 작품은 자연히 낭만적인 것이 많았다.

 2) 신화(神話)의 색채 : 중국은 은상(殷商)으로부터 서주(西周)에 이르기까지 귀신의 관념이 매우 발전하였다. 그러나 춘춘 전국 시대 이후 유가와 도가 사상의 영향으로 귀신의 신앙은 희박해졌으나, 다만 문화적으로 비교적 낙후되었던 楚나라에서는 무술 신앙이 대단히 유행하였다. 그런데 굴원은 이 신화와 전설을 잘 운용하고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신화적 색채의 뛰어나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 예로 「구가(九歌)」중의 ‘무령(巫靈)’,「이소(離騷)」중의 ‘천국(天國)’,「천문(天問)」중의 ‘현사(玄思)’ 등이 있다. 이들 아름다운 시가들은 모두 초나라 무술 신앙의 기초 위에서 근원을 바로 찾아 낼 수 있다.

 3) 남방(南方)의 음악 : 이소(離騷)의 말미에 난왈(亂曰)이라 하고 구장에서는 “소가왈(少歌曰)”, “창왈(倡)曰”이라고 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난(亂), 창(倡), 소가(少歌) 등은 모두 악절장의 끝을 의미하고 있는 동시에, 제사에 참가한 무(巫)들이 음악과 함께 합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초사는 음악과 무두가 배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吟誦할 수밖에 없는 부와 다르지만, 시경과 초사가 모두 악가임을 증명한다.

 4) 초나라의 언어 : 초나라는 장강의 남쪽 일대에 자리하고 있었다. 토양이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함은 물론 자연 환경이 북방과는 아주 달랐다. 풀, 나무, 새, 짐승들까지도 달랐으며, 특히 이 일대의 언어는 더 말할 것이 없었다. 더욱이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당시로서는 남북의 音이 잘 통할 수 없었던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또, 초사에서는 초나라의 구어(口語)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어의 적절한 운용으로 초사문학(楚辭文學)의 독특한 언어예술의 풍격을 형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7. 초사(楚辭)가 후대에 미친 영향

굴원의 작품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때 그의 중심사상은 애국주의와 고결한 정조로 이루어져 있어 후세 봉건 사회의 사대부와 문인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역대의 정치적으로 소외되거나 통치자들에 핍박받았던 많은 사대부나 문인들은 그들의 울분과 비탄을 굴원의 작품을 모방하여 지으며 풀려고 하였고 실제로 유명한 많은 작품이 나오기도 했다.

굴원 작품의 예술형식과 표현의 기교는 독창적인 경지를 이룩하여 후세문학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시경의 단소한 편폭(篇幅)과 정제된 형식을 벗어나 자유롭고 현란한 형식을 구사하여 고대 중국시가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이후 한대의 사부(辭賦)라는 새로운 시가형식의 기초가 되었다. 특히 시경이 4언 형식인데 비해 초사는 5언, 7언 형식을 시도하고 있어 후세 5언시, 7언시의 생산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굴원 작품의 언어 풍격은 한마디로 현란하다고 하겠다. 완곡한 비유와 상징적인 수법은 생동감과 미세한 점도 부각시키는 절묘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표현기법은 후세 낭만주의로 이름 지어지는 표현기법의 기본이 되어 후세 문학에 깊고 큰 영향을 미쳤다.

 

8. 초사(楚辭)의 정리

기  간

중국의 남방 초나라에서 전국시대(B.C 4c후반~B.C 3c)에 생산된 시가의 총집.

북방 시경의 영향 하에 장강유역을 중심으로 신흥의 문학을 탄생시켰는데 여기에는 남방의 시가와 남․북방산문 그리고 남방이라는 지리적인 특질 등이 영향을 미쳐 싹튼 독자적인 문학.

정  의

 

굴원(屈原), 송옥(宋玉)등에 의하여 시작된 운문 또는 이것을 편집한 책이름

 

명칭의 유래

 

초사라는 명칭은 서한 때 통용되었는데, 그것이 정식 서명으로

쓰여 일반화 된 것을 서한 말 유향이 편찬한 초사와 왕일이 편찬한 초사장구에서 비롯되었다.

 

내  용

유향이 편찬한 초사는 모두 열 여섯 편으로 엮어져 있고 굴원의 작품 8편과 송옥,경차,가의,회남소산,동방삭,엄기,왕포가 한편씩 지었다.

제사나 점복에 관한 것이나, 신화적 공상이 풍부한 서술과 고대의 신화전승에 관한 내용이 일반

형  식

편폭이 길고 사구마다 글자수가 다르며 구법도 일률적이지 않다. 기본적으로 3언을 위주. 양자강과 회화 유역의 가요로부터 파생.

 ≪구가≫ ⇒ <3자 + 兮 +2자>

 ≪이소≫ ⇒ <3자 + 助詞 +2자 + 兮,  3자 + 助詞 + 2자 >

 

 

9. 시경과 초사의 비교

시경

초사

1. 음조의 중첩, 반복영탄

2. 사실적 내용 위주

3. 人事 내용이 많다

4 황하 유역 중심의 북방 민족성 문학    대표

5. 平民작가로부터 창작

6. 민간 창작 305편

7. 북방민족의 호방한 기질과 민간        문학의 솔직한 정신을 보유하고,       고정적인 귀법 습관을 채택하여        대체적인 풍격은 질박, 명랑하며       북방이 집단적인 호쾌한 기상을        표현했다.

 

1. 직접 진술이 많고, 음조의 중첩이      없다

2. 낭만적인 내용 위주

3. 神話 내용이 많다

4. 양자강 유역의 남방 민족 문학 대표

5. 전문 귀족 작가로부터 창작

6. 전문 문인 창착 17편

7. 남방의 온화한 기질과 문인들의        섬세한 감정을 나타내고 다양한        언어 습관을 응용하여, 전체적인       격조는 온화하며 우화적이고 세심한     느낌이 있고 남방의 개인적인          감정을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