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k2gim·

서울 세시 한시,진경환 옮김,보고사 | 2003.11.30 ,페이지 수 664

굴어당 2012. 6. 25. 21:06

서울 세시 한시

 

서울 세시 한시

저자
홍석모 편 지음
역자
진경환 옮김 역자평점 0.0
출판사
보고사 | 2003.11.30
형태
판형 A5 | 페이지 수 664 | ISBN
ISBN 10-8984332003
ISBN 13-9788984332003

도애(陶厓) 홍석모(洪錫謨)가 지은 '도하세시기속시'(都下歲時紀俗詩)를 번역한 책으로, 원시 한 수씩을 한 항목으로 삼아 차례대로 배열했으며, 각 항목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원시를 제시하여 번역하고, 그것과 관련있는 자료들을 인용 ·번역하였으며, 다음으로 원시의 용어 ·개념 ·구절에 대한 풀이를 부기하고, 마지막으로 유관 자료와 관련한 주석을 달았다.

목차

1. 정월원조세배(正月元朝歲拜)
2. 세장(歲粧)
3. 세함(歲銜)
4. 세화(歲畵)
5. 세주(歲酒)
6. 세육(歲肉)
7. 세찬(歲饌)
8. 병탕(餠湯)
9. 연상시(延祥詩)
10. 문배(門排)
11. 화계(畵鷄)
12. 사미(賜米)
13. 수자(壽資)
14. 청참(聽讖)
15. 덕담(德談)
16. 문안비(問安婢)
17. 오행점(五行占)
18. 사괘(柶卦)
19. 직성(直星)
20. 삼재(三災)
21. 소발(燒髮)
22. 장구(藏?)
23. 재미(齋米)
24. 환병(換餠)
25. 입춘문첩(立春門帖)
26. 채반(菜盤)
27. 인일제(人日製)
28. 인승(人勝)
29. 해자낭(亥子囊)
30. 토일사(?日絲)
31. 개시(開市)
32. 도기(到記)
33. 상원약반(上元藥飯)
34. 유롱주(?聾酒)
35. 작절(嚼癤)
36. 두죽(豆粥)
37. 오곡반(五穀飯)
38. 복과(福?)
39. 진채(陳菜)
40. 화적(禾積)
41. 굴토(掘土)
42. 매서(賣暑)
43. 백가반(百家飯)
44. 가수(嫁樹)
45. 불사구(不飼狗)
46. 방연(放鳶)
47. 후월(候月)
48. 장등(張燈)
49. 기호로(棄葫蘆)
50. 타추인(打芻人)
51. 양직성(禳直星)
52. 험곡종(驗穀種)
53. 방야(放夜)
54. 청종(聽鍾)
55. 답교(踏橋)
56. 석전(石戰)
57. 삭전(索戰)
58. 송경(誦經)
59. 척전(擲錢)
60. 교사(交絲)
61. 회회아(回回兒)
62. 중화척(中和尺)
63. 소실(掃室)
64. 송병(松餠)
65. 후삼성(候參星)
66. 화전(花煎)
67. 한식(寒食)
68. 하종(下種)
69. 반화(頒火)
...중략...
120. 척사(擲柶)
121. 도판(跳板)
122. 미백(眉白)
123. 윤월불기(閏月不忌)
124. 매월삭망증병(每月朔望甑餠)
125. 제기일(諸忌日)
126. 삼패일(三敗日)

색인
부록(원시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