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k2gim·

중국 송(宋)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굴어당 2013. 7. 26. 21:28

 

 

<새벽 일찍 일어나 밤에 잠들 때까지 자신을 경계하고 정신을 가다듬는 자세>를 논한 글입니다.
그 제목의 뜻을 풀이해 보면 -
숙흥야매잠 (夙興夜寐箴) ; 夙 ; 일찍, 새벽, 興 ; 일어나다, 시작 하다. 夜 ; 밤, 寐 ; 잠잘 때, 箴 ; 경계하다.

夙興夜寐箴(숙흥야매잠)

鷄鳴而寤, 思慮漸馳. 盍於其間, 澹以整之.

( 계명이오, 사려점치. 합어기간, 담이정지 )

●닭이 울어 잠을 깨면, 이러저러한 생각이 점차로 일어나게 된다. 어찌 그 동안에 조용히 마음을 정돈하지 않겠는가!

 

或省舊愆, 或紬新得. 次第條理, 瞭然默識.

( 혹성구건, 혹주신득. 차제조리, 요연묵식 )

●혹은 지난 허물을 반성하기도 하고, 혹은 새로 깨달은 것을 생각해 내어, 차례로 조리를 세우며 분명하게 이해하여 두자.

 

本旣立矣, 昧爽乃興. 盥櫛衣冠, 端坐斂形.

( 본기입의, 매상내흥. 관즐의관, 단좌렴형 )

●근본이 세워졌으면 새벽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빗질하고 의관을 갖추고, 단정히 앉아 안색을 가다듬어라.

 

提掇此心, 皦如出日. 嚴肅整齊, 虛明靜一

( 제철차심, 교여출일. 엄숙정제, 허명정일 )

●이 마음 이끌기를 마치 솟아오르는 해와 같이 밝게 한다. 태도를 엄숙하게 겉모습을 단정히 하며, 마음을 비워 밝게

   하고  조용히 하기를 한결같이 하라.

 

乃啓方冊, 對越聖賢. 夫子在坐, 顔曾後先.

( 내계방책, 대월성현. 부자재좌, 안증후선 )

●이때 책을 펼쳐 성현들을 대하여, 공자께서 자리에 계시고, 안자와 증자가 앞뒤에 계신 듯하라.

 

聖師所言, 親切敬聽. 弟子問辨, 反覆參訂.

( 성사소언, 친절경청. 제자문변, 반복참정 )

●성현의 하신 말씀을 몸소 간절히 경청하고, 제자들의 묻고 따지는 말을 반복하여 참고하고 바로 잡아라.

 

事至斯應, 則驗于爲. 明命赫然, 常目在之.

( 사지사응, 즉험우위. 명명혁연, 상목재지 )

●일이 생겨 곧 응하게 되면, 실천으로 시험하여 보라. 천명은 밝고 밝은 것이므로 항상 여기에 눈을 두어야 한다.

 

事應旣已, 我則如故. 方寸湛然, 凝神息慮.

( 사응기이, 아즉여고. 방촌잠연, 응신식려 )

●일에 응하고 난 다음에는 나는 곧 예전의 나대로 되어야 한다. 마음을 고요히 하고 정신을 모으며 잡념을 버려야 할 것이다.

 

動靜循環, 惟心是監. 靜存動察, 勿貳勿參.

( 동정순환, 유심시감. 정존동찰, 물이물삼 )

●움직임과 멈춤이 순환하는 중에도 마음만은 이것을 볼 것이다. 멈출 때는 보존하고 움직일 때는 살피어 두 갈래 세 갈래로 하지 말라.

 

讀書之餘, 間以游泳. 發舒精神, 休養情性.

( 독서지여, 간이유영. 발서정신, 휴양정성 )

●독서하고 남은 틈에는 틈틈이 쉬면서, 정신을 푸근히 하여 성정(性情)을 쉬게 하라.

 

日暮人倦, 昏氣易乘. 齋莊整齊, 振拔精明.

( 일모인권, 혼기이승. 재장정제, 진발정명 )

●날이 저물고 사람이 피곤해지면 흐린 기운이 엄습하기 쉬우니, 장중히 가다듬어 밝은 정신을 떨쳐야 한다.

 

夜久斯寢, 齊手斂足, 不作思惟, 心神歸宿.

( 야구사침, 제수렴족, 부작사유, 심신귀숙 )

●밤이 늦어지면 잠자리에 들며, 손을 가지런히 하고 발을 모으라. 생각을 일으키지 말고 심신이 돌아가 쉬게 하라.

 

養以夜氣, 貞則復元. 念茲在茲, 日夕乾乾.

( 양이야기, 정즉복원. 염자재자, 일석건건 )

●밤기운으로써 길러 나가라. 이미 정이면 원에 돌아오느니라. 이것을 마음에 새기고, 여기에 마음을 두고 밤낮으로 쉬지 않고 부지런히 힘쓰라.

 

○숙흥야매잠 (夙興夜寐箴) ;새벽에 일찍 일어나서 밤늦게 잠들때까지 하루 일과에 대한 훈계. ※夙(일찍 숙), 興(일어날 흥), 夜(밤 야), 寐(잠잘 매), 箴(경계할 잠)

 

○숙흥야매 (夙興夜寐)는 “새벽에 일찍 일어나 밤늦게 자는 것”을 의미하며, 이 말은 《시경(詩經)》국풍ㆍ위풍(國風ㆍ衛風) “氓”, 소아ㆍ절남    산  지습(小雅ㆍ節南山之什)“小宛”,대아ㆍ탕지습(大雅ㆍ蕩之什)“抑”에 쓰여 있다.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주역(周易)》건괘(乾卦)에 나오는 구절로, 정(貞)이 다시 원(元)으로 돌아온다는 것은 겨울이 가면 봄이 돌아온다는   것으로 소생(蘇生)을 의미한다.

 

○허명정일(虛明靜一)이란 "마음을 비워 밝게 하고 조용히 하기를 한 결같이 하다"는 의미이다

중국 송(宋)나라 진백(陳栢)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출처] 숙흥야매잠집 [夙興夜寐箴集 ] | 네이버 백과사전

 

,,,,,,,,,,,,,,,,,,,,,,,,,,,,,,,,,,,,,,,,,,,,,,,,,,,,,,,,,,,,,,,,,,,,,,,,,,,,,,,,,,,,,,,,,,,,,,,,,,,,,,,,,,

숙흥야매잠주해
[간략정보]
  • 한자
  • 분야
  • 유형
  • 시대
  • 성격
  • 편저자
  • 제작시기
  • 권수/책수
  • 간행/발행/발급자(처)
  • 소장처
  • 집필자
 
 
조선 중기의 학자 노수신(盧守愼)이 송나라 진백(陳柏)이 지은 「숙흥야매잠」을 분장(分章)하여 주해한 책.
이 책은 『노소재시강록(盧穌齋侍講錄)』과 함께 저자가 진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는 동안 지은 것이다. 책을 처음 완성한 것은 1554년(명종 9)경으로 그 초본을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에게 보내 질정을 청하였고, 1560년에 다시 이황에게 편지를 보내 의견 교환을 통해 부분적인 수정을 거쳐 완성한 것이다.
그 뒤 1568년(선조 1) 저자가 충청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선조에게 상소문과 함께 올렸던 것을 왕명에 의해 교서관에서 간행하였다. 이후 간행본은 없어지고 필사본으로 전해지던 것을 1634년(인조 12) 승려인 두섬(杜暹)이 사재로 옥천암(玉泉庵)에서 중간하였다. 다시 1746년(영조 22) 왕명에 의해 황경원(黃景源)이 쓴 영조의 어제 서문과 이황『성학십도(聖學十圖)』 가운데 제10도인 「숙흥야매잠도」를 첨부하여 세 번째로 간행하였다.
1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숙흥야매’라는 말은 『시경』 소아(小雅) 소완편(小宛篇)의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진백의 잠(箴)은 그 구절을 인용해 아침에 닭이 울어 일어날 때부터 저녁 잠자리에 들 때까지 부지런히 힘써야 할 일과 마음가짐을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진백의 이 잠은 성리학에 있어서 내적인 인간 수양을 염두에 두고 이룩된 것이다.
이에 대해 저자는 심학(心學)의 입장에서 전체 26구절을 8장으로 나누고, 각 장마다 먼저 훈고(訓詁)를 곁들인 주석을 달고, 다시 그 장의 주요한 의미를 해설하고 있다. 저자는 이 잠을 일관하는 요체를 ‘한결같음(一)’으로 파악하고, 주돈이(周敦頤)『통서』 성가학장(聖可學章)의 일(一)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였다.
이 저술보다 약간 뒤에 이루어진 이황의 주저인 『성학십도』「숙흥야매잠도」는 이 책과 약간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이 책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뒤에 장복추(張福樞)가 이 두 책을 참조해 『숙흥야매잠집』을 저술하였다.
조선조 성리학의 발달 과정과 특색을 드러내는 저술이다.
 
[참고문헌]
  • 『퇴계전서(退溪全書)』
  • 『하서집(河西集)』

,,,,,,,,,,,,,,,,,,,,,,,,,,,,,,,,,,,,,,,,,,,,,,,,,,,,,,,,,,,,,,,,,,,,,,,,,,,,,,

 

http://www.xinfajia.net/9799.html

翟玉忠:新辑圣学十图·夙兴夜寐箴图第九 

题解:

 

“夙兴夜寐”是起早睡晚之意,言勤劳。这是要我们时时刻刻照顾本心,不忘作功夫。所以文章特别强调慎独。需要说明的是,郑玄以后学人多将“慎独”理解为“独处时谨慎不苟”,这一理解多偏颇之处。因为据1993年出土的郭店楚简《五行》,我们知道,“独”要求我们舍弃身体感官对外物的知觉,返回自心,是极高的修行境界。上面说:“言至内者之不在外也,是之谓独。独也者,舍体也。”《庄子·大宗师》也说:“参日而后能外天下。已外天下矣,吾又守之,七日而后能外物。已外物矣,吾又守之,九日而后能外生。已外生矣,而后能朝彻,朝彻而后能见独,见独而后能无古今,无古今而后能入于不死不生。”

 

如果将慎独这种心地上的功夫世俗化,显然不利于学人的进步。

 

《夙兴夜寐箴》,一名《朝夕箴》,作者是宋人陈柏。陈柏,字茂卿,生平无所考。记其最详者为明代学者宋濂,在《题朝夕箴后》(载《文宪集》,《文渊阁四库全书》卷20,北京商务印书馆,2005年)中,宋濂写道:“右《朝夕箴》,一名《夙兴夜寐箴》,凡二百八字,南塘先生陈公之所撰也。先生讳柏,字茂卿,台之仙居人。与同邑谦斋吴梅卿清之,直轩吴谅直翁父子游,而深于道德性命之学。盖自谦斋从考亭门人传其遗绪,而微辞奥旨尧生得之为多。当时有堂郑雄飞景温,辈行虽稍后,而事先生为甚谨。人以其学行之同通,以四君子称之。今观先生之著此箴,本末明备体用兼该,非真切用功者当不能为是言。乡先生鲁箴王柏会之读而善焉,以教上蔡书院诸生,使人录一本置于坐右。则其所以尊尚者为何如哉!呜呼,前修日远,后生小子不知正学之趋,惟文辞是攻,是溺志亦陋矣。濂故表而出之,并系先生师友之盛于其后,以励同志者云。”

 

另外《宋诗纪事》卷七十七收陈柏一首,亦别有风味。诗云:“携书入空山,。俯仰一室颇见古人。良朋令人思,思君意切。食芹差自甘,那得共君啜。”

 

《夙兴夜寐箴图》的作者是李;本篇辑自贾顺先主编《退溪全书今注今译》第二册(王成儒注译,四川大学出版社,1993年5月),第221~225页。

 

夙兴夜寐箴

 

鸡鸣而寤,思虑渐驰,盍于其间,澹以整之。或省旧愆,或新得,次第条理,了然识。本既立矣,昧爽乃兴,盥栉衣冠,端坐敛形。提掇此心,如出日,严肃整齐,虚明静一。乃启方册,对越圣贤,夫子在坐,颜曾后先。圣师所言,亲切敬听,弟子问辨,反复参订。事至斯应,则验于为,明命赫然,常目在之。事应既已,我则如故,方寸湛然,疑神息虑。动静循环,惟心是监,静存动察,勿贰勿参。读书之余,间以游咏,发舒精神,休养情性。日暮人倦,昏气易乘,斋庄整齐,振拔静明。夜久斯寝,齐手敛足,不作思惟,心神归宿。养以夜气,贞则复元,念兹在兹,日夕乾乾。

 

右箴,南塘陈茂卿柏所作,以自警者。金华王鲁斋尝主敎台州上蔡书院,以是箴为敎,使学者人人诵习服行,臣今谨仿鲁斋《敬斋箴图》作此图,以与彼图相对,盖《敬斋箴》有许多用工地头,故随其地头而排列为专图。此箴有许多用工时分故,随其时分而排列为图。

 

夫道之流行于日用之间,无所适而不在,故无一席无理之地,何地而可辍工夫,无顷刻之或停,故无一息之时,何时而不用工夫?故子思子曰:“道也者,不可须臾离也。可离非道也。是故君子戒愼乎其所不睹,恐惧乎其所不闻。”又曰:“莫见乎隐,莫显乎微。故君子愼其独也。”此一静一动,随处随时,存养省察,交致其功之法也。果能如是,则不遗地头而无毫厘之差,不失时分而无须臾之间,二者并进,作圣之要,其在斯乎。

 

译文:

 

早上鸡叫时就醒来,使自己的思虑逐渐地恢复和放开,应在这个时候,恬静安定地整理自己的内心。或者反省检讨往日的过失,或者理出新的心得,以排列出条理次序,非常清楚地默记住它。这种根本既已确立,便应乘天未全明之时立刻起床。穿衣服洗脸漱口,然后正坐敛形,以活动身体。使自己的心境,如刚刚升起的太阳一样的纯洁明亮,庄严整齐,不为成见占有而能安静专一,精神集中。于是便开始阅读典籍,面对着圣贤的教诲,好像孔子便坐在面前,颜渊和曾参他们站在一后、一先一样。圣人所讲的话,倍感亲切并怀着崇敬的心情聆听。弟子们的询问与辩论,要反复再三地检验订正。事情出现了,则可以用所学的知识和方法去应对,更应该在自己的行为之中去实践和检验,应知道天命的威严,要常常看到这一点。事情的应对即然已经告一段落,而我则仍然如故,这样便应集中心的思虑能力,聚精会神地深入思考问题。动与静循环不止,只有心能主宰把握。静时要善于保存本心而不为外物引诱,动时心要能体察万物而不妄乱发作,特别要能专心致意地思考问题,切忌三心二意。读书之外的休息时间,可以去参加唱歌和游泳活动,用以抒发自己的精神和陶冶自己的性情。日落黄昏的时候.人已开始疲倦,昏乱之气容易乘虚而人,这就更应该整洁自己的身心,振奋自己的精神。夜深之后,就应该及时入睡,收敛手脚,不再思考问题,使心神有所归宿,保养清明纯净的心中之气,使由夜晚而回复到天明,时刻记住这些,日日夜夜,自强不息。

 

    上面的警戒之语,是南塘的陈茂卿所作,用来自我警戒的。金华的王鲁斋曾经在台州的上蔡书院主持教学工作,专门用陈茂卿的这些警语来教诲学生,使学生每个人都诵读,并依照去做。臣李滉现在模仿王鲁斋《敬斋箴图》画出上图,以许多方面需要用功去做,所以他随着各个方面排列成图。而《夙兴夜寐箴》中的要求,有许多是按时间去做的,所以我便随着时间的顺序画出此图。

 

圣人的学问并不脱离实际,流行在人们日常生活之中,没有不到达的地方,也没有哪里不存在。所以,圣学的道理,没有那个地方不需要学习和不能学习,也没有顷刻之间可以停止学习和不需要用功夫的。所以子思说;“道是人一刻也不能离开的,如果是可以离开的,那就不是道了。所以君子对于自己的行为,就是要在人所末看见的地方,也要小心谨慎;在人所未听到的地方,也要警惕恐惧。”又讲:“最隐密的事情,正是最容易暴露的;微细的事情,正是最容易明显的。所以君子即使在他独自居住的时候,也要谨慎地照顾本心。”这就是在一静一动之中,在任何时候,任何地方,都要保持警惕,常常审察自己的身心,使它处于清静、纯正善良的状态之中。这种“存养”“审察”交互使用的功夫,就是一个人立功、立德的方法。果真能够如此的话,那么就不会遗漏任何一个方面,不会出现一丝一毫的差错,也不会失去一点时间,不会有片刻的间断。两者齐头并进,这就是成为圣贤的要领。

夙興夜寐箴-明-陳柏夙興夜寐箴

  雞嗚而寤,思慮漸馳;
 
  盍於其間,澹以整之。
 
  或省舊愆,或新得;
 
  次第條理,了然默識。
 
  本旣立矣,昧爽乃興;
 
  盥櫛衣冠,端坐斂形。
 
  提掇此心,皎如出日;
 
  嚴肅整齊。虛明靜一。
 
  乃啓方策,對越聖賢;
 
  夫子在坐,顔曾後先。
 
  聖師所言,親切敬聽;
 
  弟子問辨,反覆參訂。
 
  事至斯應,則驗於為;
 
  明命赫然,常目在茲。
 
  事應旣已。我則如故;
 
  方寸湛然,凝神息慮。
 
  動靜循環,惟心是監;
 
  靜存動察,勿貳勿叁。
 
  讀書之餘,聞以遊泳;
 
  發舒精神,休養情性。
 
  日暮人倦,昏氣易乘;
 
  齋莊正齊,振拔精明。
 
  夜久斯寢,齊手斂足;
 
  不作思維,心神歸宿。
 
  養以夜氣,貞則復元;
 
  念茲在茲,日夕乾乾。
 
  ,,,,,,,,,,,,,,,,,,,,,,,,,,,,,,,,,,,,,,,,,,,,,,,,,,,,,,,

夙兴夜寐箴-明-陈柏

夙兴夜寐箴

  鸡呜而寤,思虑渐驰;
 
  盍于其间,澹以整之。
 
  或省旧愆,或新得;
 
  次第条理,了然默识。
 
  本既立矣,昧爽乃兴;
 
  盥栉衣冠,端坐敛形。
 
  提掇此心,皎如出日;
 
  严肃整齐。虚明静一。
 
  乃启方策,对越圣贤;
 
  夫子在坐,颜曾后先。
 
  圣师所言,亲切敬听;
 
  弟子问辨,反覆参订。
 
  事至斯应,则验于为;
 
  明命赫然,常目在兹。
 
  事应既已。我则如故;
 
  方寸湛然,凝神息虑。
 
  动静循环,惟心是监;
 
  静存动察,勿贰勿叁。
 
  读书之余,闻以游泳;
 
  发舒精神,休养情性。
 
  日暮人倦,昏气易乘;
 
  斋庄正齐,振拔精明。
 
  夜久斯寝,齐手敛足;
 
  不作思维,心神归宿。
 
  养以夜气,贞则复元;
 
  念兹在兹,日夕乾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