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k2gim·

당시삼백수(상중하)장기근 , 진기환 옮김 명문당 | 2014.12.15

굴어당 2015. 2. 3. 12:53

 

당시삼백수(상중하)장기근 , 진기환 옮김 명문당 | 2014.12.15

 
孫秀 지음 | 陳起煥 번역 | 명문당
출간일 : 2014년 12월 15일 | ISBN : 9791185704180
원서명 : 唐詩三百首
페이지수 : 437쪽 | 판형 : 신국판(148*225)       

 

당시삼백수(상)

저자
손수 지음
역자
장기근 , 진기환 옮김 역자평점 0.0
출판사
명문당 | 2014.12.15
형태
판형 규격外 | 페이지 수 437 | ISBN
ISBN 10-1185704183
ISBN 13-9791185704180
정가
20,000

당시삼백수(중)

저자
장기근 , 진기환 지음
출판사
명문당 | 2014.12.20
형태
판형 규격外 | 페이지 수 414 | ISBN
ISBN 10-1185704191
ISBN 13-9791185704197
정가
20,000

당시삼백수(하)

저자
장기근 , 진기환 지음
출판사
명문당 | 2014.12.25
형태
판형 규격外 | 페이지 수 464 | ISBN
ISBN 10-1185704205
ISBN 13-9791185704203
정가
20,000

저자 장기근

저서(총 101권)
장기근1922년 서울 출생. 문학박사(중국문학 전공)다. 호는 현옥(玄玉). 서울 출생이며 서울대학교 중문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오랫동안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그후에 성심여자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동양고전 학술연구회 회장이다. 주요 저서로 '중국의 신화', '이태백 평전', '유교사상과 도덕정치', '삼황오제의 덕치', '십팔사략 강의', '종합한문해석', '고대 중국의 인간상', '신완역 십팔사략', '신완역 맹자집주신강', '신완역 논어집주신강', '고사사자성어대사전', '고대 중국의 제왕학 1', '당대 여인의 사랑 2', '이야기고사성어' 등이 있고 역서로 '이태백', '도연명', '백낙천', '두보', '굴원', '논어', '맹자', '퇴계집', '당대 전기소설의 여인상', '신석 명심보감', '중용장구신강', '대학장구신강', '대학장구, 중용장구', '논어집주', '맹자집주' 등 다수가 있다.
 
『당시삼백수』 상권. 오언고시부터 칠율악부시까지 모두 10개 시체, 320수의 시를 상 중 하권에 수록했다. 각 체제별로 1, 2, 3의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구분했다. 시의 제목은 원제목을 그대로 옮겼지만 필요한 경우엔 우리말 번역을 첨부하고 있다.

저자 손수

저서(총 7권)
1711-1778. 그는 자가임서이며, 영서라고도 한다. '당시삼백수'에는 저자가 형당퇴사라고만 되어 있는데 후대인이 그가 손수(孫洙)임을 고증해내었다. 호는 형당, 만호는 퇴사인데, 일반적으로 형당퇴사라고 부른다. 강소성 무석 사람이다. 청 건륭 16년에 진사가 되어, 직례대성, 노륭, 그리고 산동추평지현을 역임했다. 건륭 27년, 산동향시동고관에 임용되었고, 후에 강녕부유학교수가 되었다. 어려서부터 집이 가난하여, '한겨울에 독서를 할 때 항상 나무 막대기를 손에 잡고 있었는데, 목생화 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면 추위를 막을 수 있다'고 했다. 만년에 고향에 돌아왔다. 저서로 '형당만고'가 있다. 그는 자서에서, '전적으로 당시 가운데 인구에 회자되는 작품을 취하여 그 가운데 더욱 중요한 작품만을 취하였다'고 했으며, '아동들로 하여금 그것을 익히게 하고, 노인들로 하여금 또한 폐하지 않게 했다'고 했다. 곧 그가 선별한 당시는 뛰어난 작품 중의 뛰어난 작품이며, 어른에게나 아이에게나 모두 합당하고, 아속공상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唐詩三百首》에 대하여
서문│《唐詩三百首》와 인생
서문│《唐詩三百首》 공부하기
일러두기

1. 오언고시
고체시와 근체시
오언고시
당시의 발달 원인
張九齡
李白
杜甫
王維
孟浩然
王昌齡
邱爲
綦母潛
常建
岑參
元結
韋應物
柳宗元

2. 오고악부
악부시
王昌齡
李白
孟郊

3. 칠언고시
칠언고시
당대의 칠언고시
陳子昻
李頎
孟浩然
李白
岺參
杜甫
元結
韓愈
柳宗元
白居易
李商隱

부록
1. 당대의 역사 개관
2. 당대의 문학 개관
3. 당대의 시인 연표

[교보문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