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시-박동욱 | 장유승 | 김영죽 | 이은주 | 이국진 | 손유경 (지은이) | 샘터사-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젊은 한시 학자 6인이 모은 한시는 어려운 한자로 쓴 고루한 옛날 문학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그 안에 담긴 시심(詩心)을 알고 나면 어렵지도 않고 특별하지도 않다. 오히려 하나하나 살펴볼수록 오늘의 내 마음을 대신하고 있어 놀랍기만 하다. 《하루 한시》는 그러한 고루하지 않은 한시의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해, 한시를 연구하는 젊은 학자 여섯 명이 뜻을 모아 낸 책이다. 저자인 장유승, 박동욱, 이은주, 김영죽, 이국진, 손유경은 모두 한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들이다.
《하루 한시》는 그 옛날 범부(凡夫)의 하루를 테마로 잡아 총 5부로 구성되었다. 저자들은 시대와 국적을 따지지 않고 101편의 한시를 모아 하루의 시간 순서대로 엮었다. 삶의 방식은 달라도, 사람들이 하루를 보내며 느끼는 감정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저자들이 소개하는 한시 한 구절 한 구절에 담긴 회한과 걱정, 후회와 그리움, 단절과 단념의 심상은, 시대를 뛰어넘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공명한다. ![]() | ||||||||||||||||||||||||||
박동욱 | 장유승 | 김영죽 | 이은주 | 이국진 | 손유경 (지은이) | 샘터사 | 2015-09-01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고루하지 않은 한시의 아름다움을 전하기 위해, 한시를 연구하는 젊은 학자 여섯 명이 뜻을 모아 낸 책이다. 저자인 장유승, 박동욱, 이은주, 김영죽, 이국진, 손유경은 모두 한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들이다. 이들은 한시를 고상한 문학작품으로 연구하는 학자들과 한시를 외면하는 대중 사이에서, 학문의 영역에 머물러 있는 한시를 다시 일상의 영역으로 돌려보내고자 한다. 한시는 원래 일상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오늘의 우리와 같은 심정으로 옛사람들이 읊은 한시를 통해, 지금 우리 시대의 언어로 우리 시대의 일상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그 옛날 범부(凡夫)의 하루를 테마로 잡아 총 5부로 구성되었다. 저자들은 시대와 국적을 따지지 않고 101편의 한시를 모아 하루의 시간 순서대로 엮었다. 1부 '날은 채 밝지 않았는데 눈은 맑아온다'에는 밤사이 근심으로 편히 잠들지 못한 옛 시인이 미명 속에서 깨달은 지혜를 모았다. 2부 '이제 일어나 앉으니 아침 새소리 꾸짖는다'에는 나태하고 나약해지는 자신을 채근하는 내용의 한시를 모았다. 3부 '소 끄는 대로 밭 갈아도 옷은 젖네'에서는 세상사가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는 근심을 읊고 있다. 4부 '찾아오는 벗 없는데 해 저물어 산그림자 길다'에서는 뜻대로 되지 않는 세상 인연과 고립의 시정(詩情)을 담은 한시들을 소개한다. 5부 '달은 차지 않고 별만 밝으니 고향 생각에 아득하다'에는 현실이 녹록지 않아 가족과 고향을 그리워할 수밖에 없는 심정을 표현한 한시가 담겨 있다. 머리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