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增廣賢文이 실린 블로그

굴어당 2016. 12. 26. 18:43

http://blog.naver.com/brucelee55/150077186788 增廣賢文이 실린 블로그






增廣賢文 목록닫기 (77)
목록닫기 스크랩 엮인글




포스트 전체보기 목록









포스트 제목

스크랩

엮인글

날짜


증광현문(增廣賢文) 381-385 (5) 0 0 2015.09.15.

edit

태그저장 취소


증광현문(增廣賢文) 376-380 (2) 1 0 2015.05.01.

edit

태그저장 취소


증광현문(增廣賢文) 371-375 3 0 2010.07.18.

edit

태그저장 취소


增廣賢文(증광현문) 366-370 3 0 2010.01.14.

edit

태그저장 취소


增廣賢文(증광현문) 361-365 3 0 2009.12.27.

edit

태그저장 취소





포스트 개수보기 옵션5줄 보기10줄 보기15줄 보기20줄 보기30줄 보기




페이지 네비게이션

1 2 3 4 5 6 7 8 9 10
다음▶







361.

根深不怕風搖動, 表正何愁日影斜

(근심불파풍요동, 표정하수일영사)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림을 겁내지 아니하나니,

모습이 바르다면 어찌 태양 그림자가 비스듬함을 근심하겠는가?



362.

能休塵境爲眞境, 未了僧家是俗家

(능휴진경위진경, 미료승가시속가)

능히 그만두면 때 묻고 더러운 속세도 신선이 사는 아주 깨끗한 땅이요,

아직 깨닫지 못하면 절도 일반인의 집과 다르지 않다.



363.

成家猶如針挑土, 敗家好似水推沙

(성가유여침도토, 패가호사수추사)

집을 이루기는 마치 바늘로 흙을 퍼 올리듯이 어렵지만,

집안을 망치기는 마치 큰 물이 모래 휩쓸고 가듯이 쉬운 것이다.



364.

池塘積水堪防旱, 田地深耕足養家

(지당적수감방한, 전지심경족양가)

못에 물을 가득 가두어 가뭄을 방비하고, 농토를 깊이 갈아 집안을 풍족히 하라.



365.

講學不尙躬行, 爲口頭禪 ;

立業不思種德, 如眼前花

(강학불상궁행, 위구두선 ;

입업불사종덕, 여안전화)

강학하면서 몸소 실천하는 것을 숭상하지 않으면, 이는 구두선에 불과한 것이다.

업적을 세움에 덕을 심는 것을 생각하지 않으면, 이는 금방 사라질 눈앞의 꽃이 되고 마는 것이다.


[출처] 增廣賢文(증광현문) 361-365|작성자 붕정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