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과 시작(詩作)에 얽힌 설화. 삼국시대 이래로 고려·조선조에 이르기까지 시를 짓는 능력은 선비에게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며 출세의 관건이었다. 사대부 남성들에게 시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기에 그만큼 시작에 얽힌 일화들도 풍부할 수밖에 없었다.
〔시작에 얽힌 일화〕시작에 얽힌 이야기, 이른바 시화(詩話)에서 다루어진 이야기는 매우 다양한데 그것들을 내용을 기준으로 대체적으로 정리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국가 민족의 대사를 에워싼 가지가지의 막후담, 관리나 정치인의 이면상(裏面相)과 그에 따른 일화 및 풍자, 학문과 학자를 중심으로 한 이문(異聞)과 기사(奇事)의 경위, 수려한 산천과 소박한 농촌에 마음이 향하는 지식인들의 정의(情意), 각계각층의 인물들의 고매한 인격과 진솔한 우정, 술과 여인에 얽힌 벌거벗은 인간의 자태,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누구나 다 매료되는 고담과 괴설(怪說) 등이다. 그 대표적인 예화는 다음과 같다.
시중 김부식(金富軾)과 학사 정지상(鄭知常)은 문장으로 한때 똑같이 명성이 있었는데 두 사람은 다투고 서로 양보하지 않았다. 전하는 말에는 지상의 시에 “임궁(琳宮)에선 범어 끝나고 하늘색 깨끗하기 유리로다.”라는 구절이 있었는데, 부식은 이 구절을 좋아해서 지상을 찾아서 그것을 자기의 시로 하려고 해보았으나 지상은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뒤에 지상은 부식의 손에 죽어서 음귀가 되었다.
부식이 하루는 “버들색 천 줄기 푸르고 복숭아꽃 만점 붉다.”는 봄을 노래한 시를 읊었는데, 느닷없이 공중에서 정 귀신이 부식의 뺨을 치고 “천 줄기 만점은 누가 세었느냐? 왜 ‘버들색 줄줄이 푸르고 복숭아꽃 점점이 붉다.’고 하지 않느냐?”고 하였다. 부식은 무척 기분이 나빴다.
그 뒤 어떤 절에서 우연히 변소에 올라갔는데, 정 귀신이 뒤에서 불알을 잡고 물었다.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 왜 얼굴이 붉으냐?” 부식은 천천히 말했다. “개울 건너 언덕의 단풍이 얼굴에 비쳐서 붉다.” 정 귀신은 불알을 죄어 쥐고 “불알 껍데기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부식은 “네 아비 불알은 쇤 줄 아느냐?” 하고 안색을 변하지 않았다. 정 귀신은 불알을 더욱 세게 쥐어 부식은 마침내 변소에서 죽었다.
시작에 능한 관리들 사이에 얽힌 기이한 이야기다.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시를 지은 내력에 얽힌 이야기들도 무척 많다. 예를 들면 강희안(姜希顔)은 젊어서부터 재주가 있었다. 만년에 양주루원(楊州樓院)에 올라가 소시(小詩)를 세 편 지었다.
그 가운데 한 편은 “산 있으면 어디인들 초막집 아니 되랴. 청산과 마주앉아 한숨 내뿜어 본다. 벼슬살이 십년이면 늙어 버리니 흰 귀밑머리 하고 귀거래 부르게 만들지 말아.”라고 읊었다. 영천군 이정(李定)은 이 시를 보고 절을 하고 비평을 써서 붙였다.
“이 시는 핍진하니 서(徐)의 것이 아니면 이(李)의 것이다.” 그 때 서거정(徐居正)과 이승소(李承召)가 시단의 명망을 독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에게 감복되는 바 되었던 것이다. 그 뒤에 정이 다시 그 누 밑을 지나게 되었는데 그 때 먼저 써 붙인 비평 밑에 다음과 같은 글이 씌어 있는 것을 보았다.
“이 시에는 강산의 아취가 깃들여 있고 한 점의 티끌도 없는 것으로 보아 결코 고정된 수법에 얽매어 버린 보통 선비가 지은 것은 아닐 것이다. 또, 크나큰 천지 넓디넓은 강산에 어찌 인재가 없어 서 이를 밀어야 했는가? 이것은 인재를 따돌리고 사람들을 멸시함이 너무 심하지 않나?” 글을 보고 대단히 뉘우쳐 자기의 비평을 지워 버렸다.
시인들의 시품이 워낙 교묘하고 뛰어나다 보니, 자연 사람의 글이 아니라 귀신의 글이 아닐까 하는 감탄에서 귀신과의 교통이 이야기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김안로(金安老)가 젊었을 때에 관동 지방에 노닐다가 꿈을 꾸었는데 귀신이 나타나서 시를 읊어 주었다.
“우 임금 땅 산천 밖에 봄날은 무르녹고 순 임금 궁정의 새와 짐승 사이에선 음악이 연주되네.” 그러고는 “이것은 네가 벼슬길에 오를 글귀이다.”라고 말해 주었다. 깨어난 뒤에 곧 써 두었다.
이듬해에 정시(庭試)를 치르러 들어갔더니, 연산군이 율시 여섯 편을 내어서 시험하였다. 그 가운데는 ‘봄날 이원제자(梨園弟子)들이 침향정(沈香亭) 가에 앉아서 한가로이 악보를 펼쳐 본다’라는 제목도 있었는데 한(閑)자로 압운을 하게 되었다.
그는 귀신이 읊어 준 글귀를 생각해 보았는데, 제목의 뜻과 아주 잘 들어맞았으므로, 그대로 써서 내었다. 강목계(姜木溪)가 고관(考官)으로 있었는데, 크게 칭찬하면서 장원으로 뽑았다.
김안국(金安國)은 평소에 글을 잘 알아본다고 불렸는데, 마침 시관(試官)으로 끼어 있다가 이를 보고 말하였다. “이 구절은 귀신의 것이지, 사람이 지은 시가 아니다.” 곧 김안로를 불러 물었더니 그가 사실 그렇다고 대답하였다. 사람들이 모두 김안국의 식견에 탄복하였다.
〔구전설화에서의 풍월담〕구전 설화의 세계에서 보이는 풍월담들은 대체로 시화집 내지는 문헌 설화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추측되는데, 구전 역시 인물 중심의 일화가 대부분이다.
구전자료에서 주로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김삿갓·최치원(崔致遠)·성삼문(成三問)·김안국·이색(李穡)·서경덕(徐敬德)·정철(鄭澈)·이산해(李山海) 등이고 구전 풍월담은 대체로 경쟁담의 성격을 지닌다.
즉, 주인공이 다른 상대, 구체적으로는 중국 선비나 승려 등과 누가 더 시를 잘 짓는가를 겨루는 글 시합을 벌이는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아직 학동 시절의 성삼문이 압록강(두만강)에서 뱃사공으로 가장하고 거만한 중국 사신의 콧대를 꺾어 주는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기왕의 글 잘한다고 소문난 사람의 글을 고쳐서 더 뛰어난 문장으로 만든 이야기를 한 편 예화로 들면, 김안국은 6세 때 “불밭에는 새벽별 떨어지고 쇠북소리는 늙은 용의 읊조리는 소리와 같다(烽火晨星落, 鐘聲老龍吟).”라는 시를 듣고, “봉화는 천리의 믿음이요, 쇠북소리엔 일만 사람이 행한다(烽火千里信, 鐘聲萬人行).”라고 고쳐 지어 일찍이 시재를 인정받았다는 일화가 있다.
구전 설화 풍월담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은 김병연(金炳淵 : 별호는 김삿갓, 또는 金笠)이다. 김병연은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인해, 세상을 비관하고 일생을 객지로 떠돌며 다양한 일화와 더불어 뛰어난 많은 시를 남긴 것으로 전해진다. 그래서 구전 풍월담의 세계에서 주인공은 단연 김삿갓이다.
그런데 명석한 시재를 지닌 김삿갓도 간혹 자신보다 더 시를 잘 짓는 신동 혹은 여인네를 만나 당혹하기도 한다. 중국 사신을 혼내 준 소싯적의 성삼문, 그리고 김삿갓을 낭패하게 만드는 여인네의 이야기 등은 구전 자료가 비록 시화에서 파생된 풍월담이라 할지라도 권위의 허상을 파괴하는 민중들의 숨은 능력을 여지없이 드러낸다는 점에서 자못 의미심장한 것이다.
≪참고문헌≫ 白雲小說≪참고문헌≫ 破閑集
≪참고문헌≫ 秋江冷話
≪참고문헌≫ 惺翁識小錄
≪참고문헌≫ 詩話와 漫錄(車柱環, 民衆書館, 1965)
≪참고문헌≫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백과사전 카테고리
소화[ 笑話 ]
웃음을 주는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다룬 설화의 총칭. 소담(笑譚)이라고도 한다. 동물담(動物譚)·신이담(神異譚)·일반담(一般譚)·형식담(形式譚) 등과 함께 설화의 하위 장르로 분류된다.
소화적인 요소는 설화의 모든 하위 장르에 광범위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동물담과 형식담은 모두 웃음을 주는 이야기를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소화의 범주에 든다고 할 수 있으나, 그 특성에 따라 각각 개별적인 장르로 독립되는 것이다.
동물담이 의인화된 동물을 주인공으로 삼고 있는 데 비하여, 소화는 인간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신이담은 주인공의 초인적 행위를 복합화소(複合話素)로써 나타내는 데 비해, 소화는 인간의 행위를 단일 화소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된다.
일반담은 복합화소로 이루어져 있고 교훈성이 강하다는 점에서, 형식담은 그 형식적 특성에 의하여 각각 소화와 구별된다.
그 밖에 소담과 유사한 것으로 일화(逸話)가 있다. 일화는 설화의 독립된 장르는 아니나, 대부분 단일 화소로 되어 있고 인물의 독창적 기지를 묘사하고 있으며, 이야기 속에서 시간의 흐름이 별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 등에서 소화와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특정한 역사적 인물의 언행을 그리고 있으며 교훈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 등에서는 소화와 구별된다. 소화는 다시 그 유형에 따라 치우담(癡愚譚)·과장담(誇張譚)·지략담(智略譚)·우행담(偶幸譚)·포획담(捕獲譚)·모방담(模倣譚)·풍월담(風月譚)·기원담(起原譚)·외설담(猥褻譚) 등으로 분류된다.
치우담은 어리석은 사람들의 이야기로, 소화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주인공은 사위·며느리·남편·아내·아들·부모(시부모)·형제·사돈 등 주로 가족 관계 속에서 나타나며, 때로는 상전이 등장하여 망각·오해·무분별로 인한 우행을 저지른다. 〈바보사위이야기〉·〈거울을 처음 본 사람들〉·〈미련한 소금장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과장담은 현실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이야기들을 과장하여 표현함으로써 웃음을 유발하는 이야기이다. 주로 게으름·인색함·거짓말(허풍)·건망증 등 인간의 약점이 모티프가 되며 그 행위가 상상을 넘어 크게 확대된다. 〈새끼 서발〉·〈정신없는 사람〉·〈인색한 세 꼽재기의 내기〉·〈방귀쟁이 며느리〉 등의 설화가 여기에 속한다.
지략담은 명판(名判)·아지(兒智)·사기(詐欺)·상전놀리기·징치(懲治)·응구첩대(應口輒對) 등과 같이 기지에 찬 인간의 이야기이다. 〈쥐가 둔갑한 며느리〉·〈원님의 명재판〉·〈대신 잡은 호랑이꼬리〉·〈먹으면 죽는 곶감〉·〈스님과 꿀 항아리〉·〈바보 원님과 꾀보 이방〉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행담은 우연한 행운으로 평민이나 바보가 뜻밖의 성공을 거두게 되는 이야기인데, 치병(治病), 실물(失物) 찾기가 주요 화소가 된다. 〈떡보와 사신〉·〈지렁이고기에 눈뜬 어머니〉·〈다시 찾은 옥새〉 등을 대표적 설화로 들 수 있다.
포획담은 동물을 잡아 그 결과로 부자가 되는 이야기인데, 힘의 대결이 아니라 지략과 행운에 의한 포획이라는 데 소담적인 요소가 있다. 예화로 〈호랑이 뱃속에서 살아 나온 사람〉이 있다.
모방담은 행운을 얻은 사람의 행위를 모방했다가 오히려 화를 입는다는 이야기로, 응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혹부리영감〉·〈말하는 염소〉·〈도깨비방망이〉 등이 이에 속한다.
풍월담은 시화(詩話)·파자시(破字詩)·육담풍월(肉談風月) 등 언어·문자의 유희를 통해 흥미를 유발하는 이야기이며, 〈하님과 중의 문답〉·〈말대꾸 잘하는 며느리〉·〈문자재담 文字才談〉 등이 여기에 속한다.
기원담은 〈재채기하는 이유〉 등과 같은 속담이나 관용구의 유래담이다. 외설담은 남녀의 애정을 중심으로 하는 음담패설이다. 대개 동성간에 특별한 장소에서 구연(口演)된다는 제약성과 구전상의 난점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양이 전승되고 있으나, 내용상 설화의 유형집이나 연구에서는 보통 제외된다.
소화는 교훈성보다는 심심파적을 위한 단순한 이야기라는 특성 때문에 문헌보다는 구연을 통해 전승되는 경우가 많다. 문헌상 가장 오래된 소담 자료는 ≪삼국유사≫ 권1 제4대 탈해왕조에 실려 있는 ‘탈해와 호공(瓠公)의 집터 차지 다툼’으로 추정된다.
소화의 특징은 우선 형식의 단편성에서 나타난다. 일반 설화가 발단-전개-결말과 같은 전기적 구조를 취하는 데 비하여 소화는 단일화소로써 완결된 이야기를 형성한다. 소화의 구연이 길어지면 그만큼 흥미가 감소되는데, 이는 소담이 결말 부분에 흥미의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과장담·지략담·우행담·모방담 중에는 상당히 길게 구연되는 이야기도 있는데, 이들은 대개 단일화소로써 이루어진 단편적 이야기들이 주제의 유사성에 의하여 하나의 이야기로 결합된 연쇄담(連鎖譚)이나, 〈새끼 서발〉에서처럼 하나의 모티프가 점층적으로 확대되어 가는 누적담(累積譚)들이다.
소화의 주인공은 상식을 벗어난 비정상적인 인물이 대부분이다. 즉, 바보·사기꾼·구두쇠·게으름쟁이·건망증환자·허풍쟁이 등이며, 이들 주인공이 그 이야기의 성격을 결정짓는다. 이는 소화가 인물에 의하여 구성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소화는 흔히 대립적인 수법을 사용하여 꾀 있는 자와 어리석은 자를 등장시키고, 양자로 하여금 각각 승리와 패배를 맛보게 한다. 이 경우 주인공의 행위가 정상인의 행위를 벗어날수록 그 이야기는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게 된다.
소화는 설화의 오락적 기능에 치중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교훈적인 요소나 윤리적 요소를 무시하고 저급화하는 경향까지 있다. 또한 등장인물의 결함이나 사기 등을 중점적으로 과장하게 되므로 비도덕적인 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소화가 고급화하였을 때 그것은 청자에게 지적인 만족을 주게 된다. 때로는 내용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지적 능력이 요구되기도 하며, 화자와 청자의 유식함이 전제되기도 한다. ‘문자의 희롱’을 주로 하는 풍월담이 그러한 예이다.
소화는 그 의식면에서 선과 악의 개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게으름·욕심 등은 악으로 인식되며 부(富)는 악과, 가난은 선과 통하는 개념으로 나타난다. 그리하여 결말에서는 악이 패하고 선이 승리함으로써 선에 대한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또한 약자에 대한 보호의식으로 나타난다. 이야기의 전개가 약자의 편에서 이루어지며, 약자에 의하여 강자가 놀림을 받고 패하는 경우가 많다.
소화는 이야기 자체가 지닌 단편성이나 신기한 이야기를 찾으려는 화자와 청자의 공통적인 요구에 의하여 쉽게 전파된다. 이러한 이유로 설화의 다른 장르가 점차 소멸되고 있는 데 비하여, 소화는 끊임없이 반복 구연되며 개변(改變)되고, 또 새로 창조되기까지 한다.
즉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코미디·만화 또는 여담의 주요한 소재가 되고 있으며, ‘참새이야기’·‘식인종이야기’와 같이 새롭게 창작되고 있다.
그런데 현대 소화에서는 주인공의 신분이 명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길이가 더욱 짧아져 연쇄담이나 누적담보다는 거의가 단순형의 이야기만이 나오고 있고, 제재도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絶句漫興九首 其九, 杜 甫 (0) | 2011.04.13 |
---|---|
한문고전을 이해하는 빠른 방법은 무엇입니까. 이재호 (0) | 2011.04.13 |
한중연 구름마을 산책 (0) | 2011.04.12 |
문자재담설화[ 文字才談說話 ] (0) | 2011.04.12 |
한/영 변환이 안될때. (0) | 201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