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1918년 영남 유학자 이직현의 만동묘 제향 투쟁. 글쓴이 / 노관범

굴어당 2011. 4. 18. 21:04

사람과 사람 사이에 도덕이 있어야 한다면 나라와 나라 사이에도 도덕이 있어야 한다. 도덕의 현실이 시대에 따라 변할 수는 있지만 도덕의 이상이 시대 때문에 변할 수는 없다. 조선후기 만동묘(萬東廟)는 명나라의 두 임금, 신종과 의종을 제사지내는 사당이다. 이미 멸망한 이웃나라 명나라를 생각해서, 아니 정확히 말하면 조선과 명 사이의 도덕을 생각해서 설립된 것이다. 조선은 명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질서 속에서 명과 각별한 조책(朝冊) 관계를 맺으며 오랜 평화를 누렸고 임진왜란 때에는 명과 연합하여 일본의 침략을 막아낼 수 있었다. 명청(明淸)이 교체되어 만주에서 발원한 이민족이 천하를 지배하는 세상이 되었지만 조선은 끝까지 명에 대한 도덕을 기억하면서 조선의 유교문명을 수호하고자 하였다. 세월은 다시 흘러 이번에는 조선 본토마저 일본에서 들어온 또 다른 이민족에게 강탈당했다. 새로운 이민족은 만동묘를 위험한 존재로 생각하여 제향을 금지하였고,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위패를 불사르고 묘정비(廟庭碑)를 쪼아버리는 만행을 저지르더니 다시 묘당을 철거하고 묘정비를 매립하여 존재 그 자체를 말살하였다. 일본은 왜 만동묘를 이다지도 두려워했는가? 경상도 합천 초계 지역 유학자 이직현(李直鉉 1850~1928)의 「화양일기」를 통해 20세기 전반 만동묘의 시대적인 의미에 관해 살펴보자.



우리나라 만동묘(萬東廟)는 실로 중화를 높이는 대의와 관계된 곳이다. 천하가 혼탁해지면 주례(周禮)가 노(魯)나라에 있는 법이라 중화의 일맥이 홀로 여기에 붙었으니 우리나라의 사유물이 아니다. 나라는 망할 수 있어도 의리는 망할 수 없다. 사람은 멸할 수 있어도 화이의 분수는 멸할 수 없다. 그 관계됨이 얼마나 큰가? 한번 세상이 변한 후 제향이 폐지되려 하니 팔도의 선비들이 금액을 갹출해서 제수를 바치려고 하였다. 그런데, 다른 도에서는 화양(華陽)의 본소에 모였는데, 유독 우리 영남 우도는 본도에 계를 설치하고 매번 봄가을로 제수를 바쳐 본소와 서로 의지하는 사이가 되었다.


무오년(1918년) 여름 본소에서 본도 창계(滄溪) 계소(契所)에 간통(簡通)이 왔다. 일본 오랑캐가 만동묘의 제향을 막으려고 괴산의 저들 경찰서에서 묘임(廟任) 정술원(鄭述源) 및 송주헌(宋冑憲) 두 사람을 불러 소위 총독령(總督令)을 들먹이며 봉향해서는 안 된다고 협박했고, 두 사람이 거부하고 따르지 않자 저들이 구박하는 것이 무소부지(無所不至)라는 내용이었다. 듣고 나서 통분함을 참지 못했다. 이것은 중화의 일맥이 붙은 곳인데 실컷 중화를 어지럽히는 저들 오랑캐가 듣기를 싫어하고 멸하려 하니 이는 실로 천지의 큰 변고이고 우리들이 좌시해서는 안 되는 일이었다. 나는 결국 일본 사신 장곡천호도(長谷川好道 : 즉 저들이 총독이라 칭하는 자)에게 서한을 보내 만동묘 제향을 폐지해서는 안 된다고 힐난하였지만 응답이 없었다. 이윽고 정과 송이 이미 항복의 깃발을 세웠다는 소식을 듣고 더욱 극히 통탄해 하였다. 본도의 유림은 본소가 이미 멸망해서 봉향의 임무가 홀로 영남 우도에 있으니 의논이 없을 수 없기 때문에 6월 29일 삼가(三嘉)의 권씨 한천재(寒泉齋)에 모였다. 나는 족질 원택(源澤)을 보내 참여해서 듣게 하였다. 원택이 돌아와 선비들의 의논을 전했다. “이는 중화와 오랑캐가 혈전하는 때입니다. 참으로 굽힘 없이 의리를 지키는 사람이 아니면 오랑캐를 막아낼 수 없다고들 합니다. 그런데, 촉망이 모두 숙부님께 있습니다.”
(중략)


9월 8일 저들이 나를 추장(酋長)이 있는 곳(=괴산 경찰서)에 데리고 갔다.

“공이 이직현인가? 만동묘 제향은 금령이 있는데 공이 어째서 유독 반항하는가?”
내가 말했다. “너는 내게 원수이다. 원수는 서로 존중할 의리가 없다. 너는 나를 공이라 하지 마라. 나는 너를 너라 하겠다. 너는 비록 오랑캐이나 옛날로 말하면 한 사람 황명의 신자였다. 무슨 생각으로 감히 내가 황묘(皇廟)에 제향하는 예를 방해하느냐?”
그가 뻣뻣한 얼굴로 비웃으며 말했다. “공과 나는 한 나라 사람인데 어째서 원수라 하는가?”
내가 말했다. “한 나라라고 말한 것은 황명(皇明) 때문에 그런 것이냐?”
그가 말했다. “명나라는 나는 모른다.”
내가 말했다. “그러면 나는 황명 유민(遺民)이고 일중(日中) 처사(處士)이다. 너는 어째서 한 나라 사람이라고 하는 게냐?”
그가 말했다. “명이 망한 지 오래 되었는데 어째서 기를 쓰고 명나라 명나라 하는가?”
내가 말했다. “아침에 죽고 저녁에 잊는 것은 오랑캐의 풍속이다. 아침에는 군신(君臣)이었다가 저녁에는 원수가 되는 것은 금수만도 못한 일이다. 군자는 존망으로 변심하지 않는다. 하물며 우리 황명이 나라를 재조한 은혜는 실로 만세에 잊기 어려운 것이다. 만약 황명이 아니었다면 네가 우리를 이미 오래 전에 어육으로 만들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 종사가 이렇게 망극한 지경이 되었다만 네가 방자하고 잔폭하게 구는 것도 황명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가 황명을 추대하고 너를 원수라 하는 것이 어찌 옛날보다 두 배, 다섯 배는 되지 않겠느냐?”
그가 무안히 한참 있었다. (중략)


그가 다시 물었다. “총독에게 보내는 편지에 어째서 일사(日使)라고 했는가?”

내가 말했다. “나는 우리 임금을 받들 뿐, 네가 총독이라 부르는 명칭으로 그를 부르지 않는다. 그래서 일사라고 칭한 것이니 일본 사신이라는 말이다.”
그가 말했다. “누가 임금인가?”
나는 언성을 높였다. “너는 광무(光武), 융희(隆熙)를 모르느냐?”
그가 다시 물었다. “일중(日中) 처사(處士)는 무슨 뜻인가?”
내가 말했다. “일중은 조선이라는 말이다. 처사는 산림에 처한 사람을 칭한다.”
그가 말했다. “조선을 어째서 일중이라 칭하는가?”
내가 말했다. “왜국은 일출처(日出處)라 하고 중국은 일입처(日入處)라 하고 조선은 일중처(日中處)라 한다. 옛날에 그런 말이 있다.”
그가 말했다. “최익현씨와 서로 아는 사이인가?”
내가 말했다. “알다 뿐인가? 도의를 강마한지 오래요 절의에 감복하는 마음이 깊다.”
그가 말했다. “함부로 의병을 일으켜 필경 먼 섬에서 죽었으니 슬프지 아니한가?”
내가 말했다. “의병이라 말하면서 어째서 '함부로'라는 말을 하느냐? 의롭지 않게 살면 살아도 죽는 것이요 의리를 얻었다면 죽어도 사는 것이다. 어째서 슬프다 하느냐?”
그가 말했다. “공은 보안법을 아는가?”
내가 말했다. “너의 법을 내가 어찌 알까?”
그가 말했다. “이치에 닿지 않는 말로 선동해서 민심을 소란스럽게 하면 최익현처럼 먼 섬에 안치시키는 것이 이것이다. 공도 필시 이 법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내가 말했다. “내가 지키는 것은 의리이다. 의리가 있는 곳이라면 머리를 자르고 가슴을 뚫어도 달게 받겠다. 하물며 먼 섬이랴? 그러나 오늘 일로 말하자면 나는 모르겠다만 유민으로서 황묘를 봉향하는 것이 이치에 닿지 않는 일이냐? 아니면, 오랑캐로서 황묘를 범하는 것이 이치에 닿지 않는 일이냐? 엄숙히 모여 향사를 받드는 것이 소란스런 일이냐? 아니면, 학대하고 구박하는 것이 소란스런 일이냐? 이치에 닿지 않는 것은 너다. 소란을 일으킨 것도 너다. 너는 보안법이 있으니 스스로 죽을 죄를 범한 것이다. 또, 네가 제향을 방해하는 것은 무슨 생각이냐?”
그가 말했다. “쓸데없는 일에 재산을 축내고 여러 사람을 불러 모아 소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내가 말했다. “제사를 쓸데없다고 하는 것은 너희 오랑캐의 법도이다. 어째서 우리 소중화 예의지방을 오랑캐 법도로 똑같이 보는가? 제사는 예의 큰 절도이고 예는 소란을 제어하는 도구이니 어찌 소란을 일으킬 것이 있겠느냐? 너의 말이 틀렸다. 또, 나는 나의 의리를 행하고 본래 너의 일을 간섭하지 않았다. 너는 속히 전죄를 회개하고 다시 이렇게 난동을 부리지 말아라.” (후략)

〈원문〉
我東之有萬東廟 實尊華大義之攸係 而顧天下腥羶 周禮在魯 則華夏一脈獨寄於此 而非特吾東之私而已 國家亡而義理不可亡也 人雖滅而華夷之分不可滅也 其所關爲何如哉 一自世變以後 禋享將廢 八域章甫 合謀醵金以供蘋藻 而諸省則萃合於華陽本所 獨我嶺右 則設契于本省 而每春秋以供需 與本所相爲倚仗者也 戊午夏 自本所有簡通于本省之滄溪契所而言 日虜沮遏廟享 自槐山彼署 招廟任鄭述源及宋胄憲兩人 稱其所謂總督令 而脅以不可奉享之意 兩人拒而不從 彼拘而迫之 無所不至云 聞之 不勝痛憤 蓋此華夏一脈之寄 而彼猾夏無厭者 惡聞而欲滅之 則此實天地之大變 而吾輩之不可恬視者也 余遂以書抵日使長谷川好道(卽彼所謂總督者) 詰以廟享不可廢之義 而無報 旣而聞鄭宋已竪降幡云 尤極痛歎 本省諸儒 以本所旣被滅 則奉享之任獨在嶺右 而不可無議定者 故以六月二十九日 會于三嘉權氏之寒泉齋 余起送族姪源澤參聽 源澤還致多士之議曰 此是華夷血戰之秋 非眞能守義而不屈者 不能以拒夷云 而屬望皆在於吾叔矣…(중략)…八日 彼導余至酋所 問曰 公是李直鉉乎 萬東廟享 有令禁之 而公何獨抗之 余曰 爾於吾爲仇讎 仇讎無相尊之義 爾不當公我 我必爾汝 爾雖夷虜 以昔日言之 亦一皇明臣子 抑何胸臆 敢沮我皇廟享禮也 彼强顔嗤笑曰 公我是一國之人 何謂仇讎 余曰 一國之稱 以皇明之故而云然耶 彼曰 明則吾不知也 余曰 然則我是皇明遺民 日中處士 爾何云一國人 彼曰 明亡久矣 何苦苦明云明云 余曰 朝死而夕忘 夷虜之俗也 朝爲君臣而暮爲仇讎 禽獸之不若也 君子不以存亡異心 況我皇明再造之恩 實萬世難忘者也 若非皇明 汝之魚肉我不已久矣乎 今我宗社之至此罔極 而爾之肆行殘暴 亦以無皇明故也 則我之追戴皇明而仇讎爾者 豈不倍蓰於昔日乎 彼憮然良久…(중략)…彼又問曰 抵總督書 何以云日使 曰 吾戴吾君 而不以爾之稱彼者稱彼 故稱日使 日本使臣之謂也 彼曰 以誰爲君 余厲聲曰 爾不知光武隆熙耶 彼又問曰 日中處士何義 余曰 日中朝鮮之謂也 處士處山林者之稱 彼曰 朝鮮何以稱日中 余曰 以倭國爲日出處 以中國爲日入處 以朝鮮爲日中處 古有其語也 彼曰 與崔益鉉氏相知否 余曰 奚啻相知 講磨道義之久 而艶服節義者深矣 彼曰 妄擧義兵 竟死絶島 豈不悲哉 余曰 旣云義兵 則何謂之妄 不義而生 雖生而死 苟得其義 雖死而生 何謂之悲 彼曰 公知保安律乎 余曰 爾之律 吾何知之 彼曰 煽動無理之說 騷擾民心 則安置絶島如崔益鉉之爲者是也 公亦必不免此律矣 余曰 吾之所守者義也 義之所在 則雖截頭穴胸 吾猶甘之 況絶島乎 雖然以今日事言之 吾未知以遺民而尊奉皇廟爲無理者耶 以夷虜而干犯皇廟爲無理者耶 肅齊而將事者爲騷擾者耶 肆虐而驅迫者爲騷擾者耶 無理者爾也 騷擾者爾也 爾旣有保安律 則是自斃之科也 且爾之沮享禮者何意 彼曰 徒耗財爲無益之事 招集諸衆惹起鬧端故也 余曰 謂祭無益 爾之貊道也 豈以吾小華禮義之邦 而同於貊道也 祭祀是禮之大節 而禮是制鬧之具 安有鬧端之起也 爾之言誤也 且吾行吾義 本不干爾事 爾其亟悔前罪 勿復以此相亂也…(후략)

 

- 이직현(李直鉉), 〈화양일기(華陽日記)〉,《시암집(是菴集)》



해설〉

경상도 합천 초계에 이직현이라는 학자가 살았다. 그는 1870년대에 지리산을 넘어 호남의 대유 기정진(奇正鎭)에게 찾아가 말제자가 되었다. “천하에는 단지 한 개의 시(是 : 옳음)와 한 개의 비(非 : 그름)가 있을 뿐 다시 나머지 일이 없다. 성인이 세상에 전한 입교는 단지 시(是)를 찾는 것일 뿐이다.”라는 가르침을 기정진에게 받은 후 20여 년이 지나 시암(是菴)이라는 편액을 걸었다. 시암(是菴)의 호에 걸맞게 평생 공력을 시(是)에 집중하였다. 그는 영남에서 노사학맥을 부식(扶植)한 유학자였지만 우리나라 독립운동에도 헌신하여 1919년 4월 21일 초계 독립만세운동의 정신적인 지도자 노릇을 하였고, 상해임시정부와 연결된 대동단에 가입하여 동년 11월 28일 의친왕을 중심으로 하는 독립선언서에도 서명했던 인물이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중심적인 잡지였던 『개벽』에서조차 이직현을 완고 중에도 철저한 완고라며 조변석개하는 시속의 껍데기 문명인과는 천양지차라고 극찬할 정도였다.


이직현은 강경한 항일사상을 지녔던 인물이다. 일본이 한국을 침략하는 과정에서 한국을 ‘독립’시킨다고 칭했다가 다시 ‘보호’한다고 칭했다가 다시 ‘합병’한다고 칭했던 기만의 역사를 똑똑히 보고 있었고 ‘합병’의 다음 단계로 ‘갱륙(坑戮)’이 기다리고 있다며 비장한 마음을 드러냈다. 그는 이러한 마음으로 1918년 일본의 만동묘 제향 금령에 저항하여 영남 지역을 대표해 만동묘에 갔다. 조선총독 하세가와에게 만동묘 제향 금지의 부당함을 성토하는 편지를 보냈고 조선 유림에게 목숨을 걸고 만동묘 제향을 강행하니 성원해 달라는 통문을 보냈다. 그는 통문에서 만동묘의 존화대의(尊華大義)가 전왕을 잊지 않음[前王不忘]과 만세토록 강상을 수립함[樹綱萬世]이라고 말하였다. 정확한 말이다. 만동묘는 명의 선왕을 잊지 않기 위해, 그리고 명에 대한 조선의 도덕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었다. 조선후기 사람들이 느끼는 만동묘는 그런 것이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에 만동묘의 상징성은 달리 해석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사람이 앞시대 명의 선왕을 잊지 않은 것처럼 식민지 조선 사람이 앞시대 조선왕조의 선왕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 조선후기 사람이 명의 선왕에 대한 도덕을 보존한 것처럼 식민지 조선 사람이 조선왕조의 선왕에 대한 도덕을 보존해야 한다는 것, 조선후기 이민족이 천하를 제패했지만 마음으로 굴복하지 않고 명의 광복(光復)을 기원했듯 일제강점기 이민족이 국토를 강탈했지만 마음으로 굴복하지 않고 조선의 광복을 기원한다는 것. 만동묘에 서려 있는 추모의 마음과 광복의 의지는 20세기 전반 한국의 독립정신의 어떤 중요한 원천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직현의 독립정신은 만동묘의 정신이었다. 일본으로서는 만동묘라는 존재를 완전히 말살하여 만동묘의 정신을 지워버리고 싶었을 것이다. 만동묘의 정신에 담긴 존화(尊華)의 의미를 중국에 대한 한국의 고질적인 사대정신이라고 애써 왜곡하고 싶었을 것이다. 오늘날에도 일본의 시선으로 만동묘의 존화를 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식민지 지성사의 잔향이다. 그러나, 조선의 시선으로 존화의 참뜻을 볼 때 중국의 중화 국가와 도덕적으로 평화공존했던 선린의 추억을 영원히 간직하며 이민족의 천하로부터 광복을 추구했던 간절한 소망의 마음을 곡해해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어쩌면 역으로 선린의 관념이 부족한 자기독존의 정신으로 사대와 존화를 구별할 수 없었던 과거 일본 문명의 역사적 한계를 성찰해야 할 때는 아닌가?

 


ㆍ참고사항
글쓴이 / 노관범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
* 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