桃花歌
唐 寅
桃花塢裏桃花庵 桃花庵裏桃花仙
桃花仙人種桃樹 笑折花枝當酒錢
酒醒常在花邊坐 酒醉還來花下眠
半醒半醉日復日 花開花落年復年
但願老死花醉邊 不願鞠躬車馬前
車塵馬足貴者趣 酒盞花枝貧者緣
若持貴者比貧人 一在平地一在天
若將車馬比花酒 他得馳驅我得閒
他人笑我忒風顚 我笑他人看不穿
不見五陵豪傑墓 無酒無花鋤作田
도화가
도화 마을 안에는 도화암이 있고
도화암 안에는 도화선이 살았다네.
도화선인은 도화나무를 심고
웃으며 꽃가지 꺾어 술값을 치렀다지.
술이 깨면 언제나 꽃 옆에 앉아있고
취하면 돌아와 꽃 아래서 잠들었다네.
취하고 깨기를 하루 또 하루
꽃 피고 꽃 지기를 한 해 또 한 해.
평생소원 술과 함께 꽃 옆에서 살다 죽는 것뿐
수레와 말 앞에서 몸을 조아리고 싶지는 않다네.
수레 먼지 말 발자국은 귀인들이 좋아하는 바요
술잔과 꽃가지는 가난한 사람의 인연이라네.
귀인을 가난한 사람과 비교한다면
한 사람은 평지에 다른 한 사람은 하늘에 있지.
수레와 말을 꽃과 술에 비교한다면
저 사람은 바삐 줄달음치고 나는 한가롭다는 것.
저 사람은 나를 바람 맞아 넘어졌다 웃겠지만
나는 저 사람이 어리석음을 웃는다네.
오릉 호걸들의 묘지를 보지 못했는가?
술도 없고 꽃도 없고 밭이 되어버린걸.
鞠躬(국궁) 벼슬하면서 나라에 몸을 바치는 것.
不穿(불천) 깨우치지 못해서 답답한 것.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山詩295(한산시) 한구절 소개 (0) | 2011.05.14 |
---|---|
하늘서 찍은 9·11 테러 현장…8년여만에 공개 (0) | 2011.05.14 |
[스크랩] [펌] " 한국사 제대로 밝혀라 " - 허성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의 강연 녹취록 (0) | 2011.05.14 |
혁명의 고향 廣東. 중국근현대사기행 ⑤ (0) | 2011.05.13 |
스마트 기기 보급 늘면서 습관적으로 쓰는 이용자 늘어…손목·어깨·목 등에 부작용 우려 (0) | 201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