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극복 대안, 오래된 과거에서 찾는다"
[화제의 신간] 신영복 교수의 <강의-나의 동양고전 독법>
2001년 9월 <프레시안> 창간과 동시에 시작돼 장장 1백66회가 연재됐던 '신영복 고전강독'이 드디어 책으로 묶여 나왔다. 성공회대학교에서 10여 년째 계속되...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4-12-16 오전 9:07:02
신영복 고전강독<166ㆍ끝> 제13강 강의를 마치며-20
나는 나무를 오래 살게 하거나 열매가 많이 열게 할 능력이 없다. 나무의 천성을 따라서 그 본성이 잘 발휘되게 할 뿐이다. 무릇 나무의 본성이란 그 뿌리는 펴지기를 원하며, 평...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4-07 오전 9:15:37
신영복 고전강독<165>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9
감성적 대응은 사명감이나 정의감과 같은 이성적 대응과는 달리, 그렇게 하지 않으면 마음이 편치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그러한 것이 감성적 대응입니다....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4-03 오전 9:16:47
신영복 고전강독<164>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8
자본주의체제가 필연적으로 양산하는 물질과 인간의 낭비, 인간관계의 황폐화를 보다 근본적 시각으로 재조명하는 것, 그리고 우민화(愚民化)의 최고수준을 보여주는 상품문화(商品文化)...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3-31 오전 9:21:00
신영복 고전강독<163>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7
우리는 이러한 고뇌와 아픔에 대하여 보다 열린 생각을 키워가는 일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산다는 것이 아픔이라는 사실입니다. ‘상처란 산 자가 걸치는 옷’이라는 달관이 필요하...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3-27 오전 8:41:28
신영복 고전강독<162>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6
또 하나, 모든 사회적 변화는 사상투쟁에 의하여 시작되는 것이며 사회적 변화는 사상체계의 완성으로 일단락된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일입니다. 연속과 단절, 계승과 비판이라는 중층적...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3-24 오전 9:18:02
신영복 고전강독<161>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5
그러나 우리가 이 심론(心論)에서 긍정적으로 읽어야 할 부분은 바로 ‘주체적(主體的) 실천(實踐)의 자세’라 할 수 있습니다. 인식이 실천의 결과물이라면, 그리고 그 실천이 개...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3-20 오전 8:38:26
신영복 고전강독<160>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4
주자의 이론이 ‘性卽理’임에 반하여 심론의 요지는 ‘心卽理’입니다. 신유학이 선종불교에 대한 비판적 체계라면 양명학은 신유학에 대한 비판의 논리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3-17 오전 8:59:20
신영복 고전강독<159>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3
송대 신유학은 노불(老佛)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해이해진 사회질서를 재건하기 위한 당대의 지적 실천과정의 산물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매우 성공적이었습니다. 이후 7백년동안 중...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3-13 오전 8:52:38
신영복 고전강독<158> 제13강 강의를 마치며-12
주자가 ‘중용’을 통하여 제기하려고 하는 가장 절실한 주제는 바로 도(道)의 큰 근원(根源)이란 하늘에서 명한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인간으로서는 그것을 따르고 그것을 실천하는 ... /신영복 성공회대 교수
기사입력 2003-03-10 오전 9:07:48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名家 <현대편> (27) 이병도 (0) | 2011.07.24 |
---|---|
신세대를 위한 論語 30강 .이인호 한양대 교수 (0) | 2011.07.24 |
아름다운 클래식 사계 15곡 모음 (가을편) (0) | 2011.07.24 |
나이아가라 폭포 ( Niagara falls ) (0) | 2011.07.24 |
빅토리아폭포 (Victoria falls) (0) | 201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