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詞)는 중국의 당 대에 만들어져 송 대에 융성한, 속곡(俗曲)에 맞추는 가사 문학이다.
사는 시와 비슷한 운문으로, 당 중엽에 민간에서 발생해 송대에 가장 번성했던 문학 양식이다. 민간 가요의 가사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장단이 일정치 않아 ‘장단구(長短句)’라 고도 하며, 초기에는 가창할 수 있었던 근체시의 변형이라고 여겨 ‘시여(詩餘)’라고 부르기도 했다. 사는 음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사를 창작할 때 일정하게 정해진 악보인 사조(詞調)에 가사를 채워 넣는 방식으로 지어져서, 사를 짓는 것을 두고 가사를 소리에 맞추어 메운다는 뜻의 ‘전사(塡詞)’, 혹은 ‘의성(依聲)’이라 했다. 사는 시와는 달리 음악과 긴밀한 관계였으므로 유희적 성격이 매우 강했다. 따라서 그 내용도 술, 여색, 애정, 희롱에 대한 것이 많았고, 서정적이고 감상적인 특성이 강해 깊고 섬세한 내면을 완곡하고 함축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처음에는 문사들에게 그리 환영받지 못한 장르였지만, 당나라 말엽에 이르러 문인들도 관심을 갖게 되었고, 송대에는 공전의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사가 대량으로 창작됨에 따라 염정적이고 개인적인 신세타령에서 벗어나 시국에 대한 개탄이나 국가의 흥망성세 등까지도 읊게 되어 점차 시와 비슷한 성격을 띠게 되었다.
당나라 궁정에 설치되었던 교방(敎坊)의 음곡(音曲)을 이용한 것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민간인에 의해 불리고 있던 속곡에 맞추어서 만들어졌다. 중당의 백거이나 유우석(劉禹錫)에게 이미 사의 작품이 있다. 그리고 사의 문예를 많이 만들어 일가를 이룬 것은 만당의 온정균(溫庭筠)이다. 그는 초당의 재상 온언박(溫彦博)의 자손이라고 하지만, 방탕생활을 하다가 끝내 진사에도 급제하지 못하고 화류계의 총아로서 염려한 노래를 계속 만들었다. 그의 사는 주로 기녀의 요염함과 원정(怨情)을 노래했다. 이후의 사의 문예는 기녀에 얽힌 여성적 문예로써 성격화되었다.
그 후 오대에서 송에 걸쳐 사는 전성을 보였다. 오대 전촉(前蜀)의 재상이 된 위장(韋莊, 836?~910)도 청염(淸艶)한 사를 지었다. 사의 문예를 슬픈 정취를 옮기는 문학으로 끌어올린 것은 남당의 후주인 이욱(李煜)이며, 북송의 안수(晏殊, 991~1055), 안기도(晏幾道=안수의 아들, 생몰년 미상) 등이다.
구양수도 또한 온아한 사를 지었다. 한편, 통속가곡으로 시민 세계에 유행시킨 사람은 북송의 유영(柳永)이다. 소식은 지금까지 주로 원정을 노래하는 여성적 문예로서 생각되고 있던 사를 인간의 일반적인 심정을 표현하는 것으로까지 끌어올렸다. 소식은 “시를 가지고 사를 만든다”고 평했으며 사의 호방파(豪放派)라고 칭해졌다. 소식에 의해서 높여진 사는 주방언(周邦彦, 1056~1121), 이청조(李淸照), 신기질(辛棄疾), 강기(1155?~1221?), 오문영(吳文英, 1200~1260) 등이 전개해 나갔다.
,,,,,,,,,,,,,,,,,,,,,,,,,,,,,,,,,,,,,,,,,,,,,,,
사 詞
당시(唐詩).송사(宋詞).원곡(元曲)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당대(當代)는 시의 전성기였고 송대(宋代)는 사(詞)의 전성기였으며 원대(元代)는 곡(曲)의 전성기였다는 말이다.
사(詞)는 다른 나라 문학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중국문학 특유의 문학양식인데, 쉽게 말해 악곡을 위하여 지어진 노랫말이라 할 수 있다.
사는 민요와 비슷하지만 구별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형성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주어진 악곡에 노랫말을 써넣거나 주어진 노랫말에 악곡을 붙인 것이 아니라 맨 처음 노래 부른 사람이 머릿속으로 노랫말을 생각하면서 그 것에 나름대로의 가락을 붙여 길게 읊조리는 형식으로 부른 후 그것이 만족스러우면 스스로 그것을 반복하여 노래하고 다시 그것이 주위 사람의 공감을 얻어 그들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노래 불려짐으로써 차츰 범위를 넓혀 나간 것이 마침내 민요가 되었다.
사는 악곡에 맞추어서 노랫말을 메워넣는 형식으로 의성전사(依聲塡詞: 가락에 맞추어 가사를 메워넣는다는 뜻) 또는 전사(塡詞)라고 부른다. 주(周)나라 때의 시경(詩經)의 시나 한(漢)나라 때의 악부시와는 성격을 달리한다.
악곡과 표리관계에 있고 음악적 성분인 악곡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고려와 조선의 적지 않은 문인학사들이 뛰어난 작품을 남기고 있다.
‘곡사자’,‘악부’‘시여’‘장단구’등으로도 불리며, 사인들이 자신의 사집에 각자 나름데로 이름을 붙여서 사의 명칭은 다양하다.
그 밖에 사의 전문용어로 ‘사조.궁조‘ ’사패.사제‘’단조.중조.장조.소령.만사‘’편.단.결‘’과편.환두‘등도 외워 두면 좋겠다.
언제 발생했는지 단정하기 어렵지만 사가 외래음악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었음을 짐작할 수있다 한다. 한대 이후 중국의 변방에 있는 소수민족의 음악이 꾸준히 중국으로 유입되었는데 이들 외래음악은 중국의 음악문화에 상당한 변화를 초래했다.
점점 많아지는 노랫말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의성전사’의 기풍이 생겨 났을 것이다
사는 원대와 명대의 잠복기를 거쳐 청대에 다시 일대 부흥의 기운을 맞아 송대에 못지않은 성황을 이루었지만 이미 한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 양식으로서의 지위는 상실했다.
파일 형식: HWP/Hancom Hanword - HTML 버전 데 명확한 전사(塡詞)의 기록이라 볼 수있다. 같은 곡조 사이에 ... 2) 사체(詞體) 자체의 발전 : 중국시는 당대에서 내용과 형식을 막론하고 더 이상 ...
,,,,,,,,,,,,,,,,,,,,,,,,,,,,,,,,,,,,
사보 [ 詞譜 ]
요약
중국 송나라 때 유행한 가사문예인 사의 복잡다양한 운문형식을 정리하고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
본문
중국 송(宋)나라 때 유행한 가사문예(歌辭文藝)인 사(詞)의 복잡다양한 운문형식을 정리하고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 강희제칙찬(康熙帝勅撰)의 사보가 단순히 《사보》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책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흠정사보(欽定詞譜, 40권, 1715)》). 사란 가사인 동시에 정형적인 운문이지만 율시(律詩)나 절구(絶句)와 달리 그 정형은 악곡(樂曲)마다 정해지기 때문에 악곡의 수만큼 형식의 종류가 있게 된다. 그 수는 셈하는 방법에 따라서 2000을 넘는다. 사보는 그 하나하나에 대하여 곡명(曲名), 즉 사패(詞牌)를 들어 전형적인 작례(作例)를 보이고 이것을 따라 구법(句法), 압운법(押韻法), 평측(平仄)의 배치 등을 주기(註記) 또는 도시(圖示)한다. 사는 오언시나 칠언시와는 달리 한 수 중에 장단이 가지각색인 구를 쓰고, 운도 도중에 바뀌는 일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운을 교착시키거나(abab) 끼워넣기(abba)도 한다. 또 평성·측성의 배치도 근체시(近體詩)처럼 단일한 규칙대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들을 각 사패마다 표시할 필요가 있게 된다. 송나라 때에는 악곡에 맞추어 사를 작성하였으나 원(元)나라 이후에는 악곡이 전승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사(作詞)의 규준(規準)을 보여 주는 뜻에서 사보가 생겼다. 사를 만드는 것을 <전사(塡詞)>라고 한다. 전(塡)이란 끼워 넣는다는 뜻으로, 원래는 곡(曲)에 맞추어 작사한다는 것이나 후세에는 사보에 맞추는 것을 뜻하게 되었다. 사보의 저술로서는 명(明)나라 장연의 《시여도보(詩餘圖譜;시여는 사와 같은 뜻)》, 정명선(程明善)의 《시여보》, 청(淸)나라 초 뇌이빈의 《전사도보》 등이 비교적 일찍 나온 것인데, 이들은 사의 연구가 미숙하였기 때문에 착오가 적지 않았다. 그 다음에 나온 만수(萬樹)의 《사율(詞律, 20권, 1687)》은 종합적이고 정밀하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며 사의 연구와 사학에 새로운 단계를 가져와 당시 이미 움터 있던 사의 유행을 크게 촉진시켰다. 이 책은 약 660조(調)의 사패를 실었고 같은 사패이면서 형식이 다른 것(同調異體)을 합하면 1800정도에 이른다. 이 다음에 나온 것이 강희제칙찬의 《사보》로 826조(調), 2306체(體)를 수록, 가장 종합적이었으나 내부간본(內府刊本;궁정출판)이었기 때문에 그다지 유포되지 않았다. 청나라 말기 1876년 두문란(杜文瀾)과 은복(恩復)이 만수의 《사율》 교정본에 서본립(徐本立)의 《사율습유(詞律拾遺)》을 첨가하여 간행하였고 그 후 이것이 사보의 표준교본처럼 되어 왔다. 이들은 너무나 세밀하므로 청나라 때에는 더 간략한 것이 널리 유포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서몽란(舒夢蘭)의 《백향사보(白香詞譜)》로서 이것은 100조(調) 각 1체(體), 이를테면 가장 대중적인 100가지 형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또한 보기로 든 사가 읽을거리로서도 많이 읽혔는데, 평측도(平仄圖) 등을 생략해버리고, 작자별로 다시 편집을 하였다. 또 여기에 전주(箋註)를 첨가한 것도 있으나(《백향사보전》),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는 이미 사보가 아니라고 하겠다.
,,,,,,,,,,,,,,,,,,,,,,,,,,,,,,,,,,,,
장단구(長短句)장단구(長短句)사(詞)의 별칭. 매구(每句)의 자수가 전편에 걸쳐 일정한 것을 원칙으로 하는 제언체(齊言體)의 시(詩)와는 달리, 사(詞)는 형식상으로 구법(句法)의 장단이 일정하지 않은 점을 따서 장단구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여(詩餘) 전사(塡詞) 악부(樂府) 등의 별칭도 있다. 여기에 실려 있는 이제현의 장단구는 익재사(益齋詞)라는 명칭으로 청 나라 주효장(朱孝臧 : 본명 조모〈祖謀〉)이 편찬한 중국 역대사총집인 《강촌총서(彊村叢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