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571215 굴어당의 漢詩
주자십회(朱子十悔)효부모사후회(不孝父母死後悔) 부모님께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뉘우친다불친가족소후회(不親家族疎後悔) 가족에게 친절치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소불근학로후회(少不勤學老後悔) 젊을 때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뉘우친다
3분 전 관심글 담기 답글 지우기 » js571215 굴어당의 漢詩
刻鵠不成尚類鶩각곡불성상류목 고니를 새기려다 오히려 집오리 종류도 못 새겼고, 畫虎不成反類狗화호불성반류구 범을 그리려다 도리어 개 종류도 못 그렸다. 고니 곡,집오리 목.
http://www.한시.한국/22분 전 관심글 담기 답글 지우기 » js571215 굴어당의 漢詩
... "낙양성 동쪽 복숭아꽃 오얏꽃은 날아오고 날아가서 누구 집에 떨어지나(洛陽城東桃李花 飛來飛去落誰家)…. 해마다 피는 꽃은 비슷하지만 해마다 사람 얼굴 같지 않네(年年歲歲花相似 歲歲年年人不同)" 당나라 시인 유희이(劉希夷)의 〈대비백두옹(代悲白頭翁)〉
55분 전 관심글 담기 답글 지우기 » js571215 굴어당의 漢詩
孟子曰: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得天下英才而敎育之, 三樂也. 군자에게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君子有三樂(군자유삼락)].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넣지 않다而王天下不與存焉
6시간 전 관심글 담기 답글 지우기 » js571215 굴어당의 漢詩 @
@js571215 이 일을 어이할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