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과 함께 우리의 대표적인 민요이면서 우리의 심성과 문화 및 생활현장에 뿌리 깊이 녹아있는 아리랑을 위한 국제학술대회를 아래와 같이 공동개최하오니 많은 참여 있으시기 바랍니다. 아리랑국제학술대회 ○주제: 한국문화 속의 아리랑 <분과주제 > - 음악의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 문학과 대중문화의 시각으로 바라 본 아리랑 - 북한과 해외 동포사회의 아리랑 - 아시아의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 아시아 밖의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 아리랑 음악회 ○곳: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강당
○때: 2011년 12월 14일(수) 09:00 ~ 15일(목) 18:00
○주최: 한국학중앙연구원,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2011년 12월 14일(수)
09:00~09:30 |
등록 |
09:30~10:30 |
개회식 사회: 신대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개회사: 정정길(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환영사: 이영후(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이사장) 축 사: 전택수(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기조발표: 조동일(서울대, 한국) - 아리랑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10:45~11:00 |
휴게 |
11:00~12:30 |
제1발표: 음악의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사회: 황준연(서울대, 한국)
이보형(고음반연구회, 한국) - 아리랑의 기원과 전파 김영운(한양대, 한국) - 전통음악 입장에서 바라 본 아리랑 민은기(서울대, 한국) - 현대음악으로 다시 태어나는 <아리랑> |
|
점심 |
|
제2발표: 문학과 대중문화의 시각으로 바라 본 아리랑 사회: 김병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강등학(강릉원주대, 한국) - 아리랑의 부류별 국면과 문화형질의 전승맥락 김익두(전북대, 한국) - 현대문학에 나타난 ‘아리랑’ 박애경(연세대, 한국) - 아리랑과 K-pop: 아리랑의 월드뮤직으로서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
|
휴게 |
|
제3발표: 북한과 해외 동포 사회의 아리랑 사회: 김우진(단국대, 한국)
정팔용(평양민속예술단, 한국) - 북한의 아리랑 장익선(연변대, 중국) - 중국에서의 “아리랑”이 지닌 상징성 김보희(한양대, 한국) - 중앙아시아 고려인과 북한동포 아리랑 | | 2011년 12월 15일(목)
09:00~09:15 |
등록 |
09:15~10:45 |
제3발표: 아시아인의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사회: 송혜진(숙명여대, 한국)
우에무라 유키오(동경예술대, 일본) - <이츠키 자장가>의 <아리랑>기원설 : 그 형성과 계승 왕인펀(대만대, 대만) - 대만의 아리랑: 그 수용 역사에 대한 개요 트랑 콩 하이(국립과학원, 프랑스) - 동남아시아의 아리랑: 베트남의 경우 |
10:45~11:00 |
휴게 |
11:00~12:30 |
제4발표: 아시아 밖의 시각으로 바라본 아리랑 사회: 조세린(배재대, 미국)
이병원(하와이대, 미국) - 미국에서의 아리랑 상징의 변화: 개인적 단상 사이몬 밀(더람대, 영국) - 유럽의 아리랑 진 키둘라(미국 조지아대, 케냐) - 문화적 표상으로서의 민요 : 한국 아리랑으로부터의 교훈 |
|
점심 |
|
아리랑 음악회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 아리랑 연곡 숙명여대 가야금합주단 - 가야금으로 듣는 아리랑 연곡 외 평양민속예술단 - 북한 아리랑연곡: 통일아리랑, 영천아리랑 트랑 콩 하이 - 구금(口琴)과 후미로 연주되는 아리랑
한국학중앙연구원 풍물패 ‘판’ - 사물놀이와 아리랑 |
|
휴게 |
|
종합토론 사회: 채현경(이화여대, 한국) - 아리랑을 위한 자유토론 |
17:30~18:00 |
폐회식 사 회: 신대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 폐회사: 정정길(한국학중앙연구원 원장)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