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제 5회 규장각 한국학 국제심포지엄.10/18-19

굴어당 2012. 10. 17. 20:20

제 5회 규장각 한국학 국제심포지엄

= 일정 및 차례 =

** 10월 18일 목요일
10:00    개회사 및 축사
10:10 – 11:30   제1부 대표연설 규장각 강당
주제: 자존과 타존, 공존과 평화   박희병 (서울대)
12:00 – 13:30 -점심 (소담마루) 
14:00 – 17:00  
제2부 (제1 패널) 신양학술정보관 III 세미나실 404호 
* 사회자: 강문식 (서울대)
* 조직자: Sem Vermeersch (서울대)
* 주제: 전근시대의 한-중 문화교류: 고려-조선초기 종교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 발표자:
1.태종 대 명태종 (성조): 15세기 초 조선과 명나라의 상반된 불교 정책
Yannick Bruneton (University of Paris Diderot)
2. 곽산의 효녀: 사절시, 도덕적 제국, 조선의 효심
Wang Sixiang (Columbia University)
3. 『고려도경』에 나타난 고려불교의 이미지
Sem Vermeersch (서울대)
4. 태실(胎室) 풍수를 통해본 고려-조선 풍수의 독특성
장지연 (대전대)
5. 조선초기의 정벌: 천명, 달력, 시계, 화약무기, 그리고 의례
정다함 (상명대)
토론자: 이미지 (국사편찬위원회)

- 제2부(제2 패널) 신양학술정보관 III 세미나실 406호 
* 사회자: 신욱희 (서울대)
* 주제: 현대 한중 외교의 기원: 한국전쟁
* 발표자:
1.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한국학계를 중심으로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2. 중국군의 한국전쟁 참전 전후 국제사회의 대응
김계동 (연세대)
3. 한국전쟁 전후 중국의 대 한국인식과 한국전쟁 참전
하립평 (상해 동제대)
4. 중국문헌으로부터 본 건국초기 중조 관계와 중국의 조선 파병 원인
방수옥 (상해 복단대) 
토론자: 오규열 (서울 디지털대),
박태균 (서울대)

** 10월 19일 금요일
09:30 – 12:30 
- 제 3부(메인세션) 규장각 회의실 1층 
* 사회자 및 조직자: 이종묵 (서울대)
* 주제: 조선이 본 중국 / 중국이 본 조선
* 발표자:
1. 강왈광의 사행 문학
 이창숙 (서울대)
2. 허난설헌 시의 일본 전파 - 중국•조선 여류시인평을 둘러싸고
 마사에 구라카즈 (니혼대학)
3.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남명 왕조에 대한 인식
우경섭 (인하대) 
4. 임오군란 시기 중국인의 한국 기행록 연구
유보전 (산동대) 
5. 18세기 대청복수이념의 단면: 최효일 인물전을 중심으로
김유진 (서울대) 
토론자: 김남기 (안동대),
김시덕 (고려대),
허태구 (서울대), 
Wang-guangyi (길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