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스크랩] 草訣百韻歌 譯解 (12)

굴어당 2012. 10. 13. 15:15

 

            35

             34

            33

 

                                                             - 26 -

 

---------------------------------------------------------------------------------------------------------------

 

 

 

                        상    향     과     우     시       계     회    하     자    선  

 

  33.   顙向戈牛始 雞湏下子先

 

                顙-이마 상,   向-향할 향,   戈-창 과,   牛-소 우,   始-비로소 시,

                雞-닭 계,  湏-흐물흐물할 회,  下-아래 하,  子-아들 다,  先-먼저 선,

 

 

    譯解      顙자의 흘려쓰기 순서는 戈, 牛 순으로 시작해야 하는 것이고

                雞의 흘려쓰기 순서는 下, 子가 먼저다.

 

 

     評        이 句節의 韻文的 要素는 向과 湏, 始와 先이다. 前後句 ‘顙湏向’과 ‘雞湏向’

                이어야 하나, 前句에서는 ‘湏’를 後句에서는 ‘向’을 각각 省略, 변화를

                꾀했으며, ‘始와 先’은 다 같이 ‘먼저’라는 뜻으로 쓰인 것인데, 같은 글자가

                반복되지 않게 한 것이 돋보인다.

                                                    

 

 

                        별    지     비     시    핍         구     목    가     성    촌  

 

  34.   撇之非是乏 勾木可成村

 

            撇-당길 별(丿同), 之-갈 지, 非-아닐 비, 是-이 시, 옳을 시, 乏-모자랄 핍,

           勾-글귀 구(句同), 굽을 구, 木-나무 목, 可-옳을 가, 成-이룰 성, 村-마을 촌,

 

 

 

    譯解     丿과 之를 이어 쓰는 것이 乏자 되는 게 아니지만, 

 

                勾를 木의 아래부분에서 합쳐 쓴 것은 村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句節에서 韻文的 特徵은 前後句 否定文과 肯定文의 對稱으로 되어있어서

               韻致를 한층 돋게 하고 있다. 前句의 ‘是’의 用法은 ‘~이다’로 쓰이는데, 만일

               ‘非乏’이라고 하면 ’乏자가 아니다‘이지만, ‘非是乏’으로 쓰면 ‘乏자 되는 게

               아니다’가 되기 때문에 後句의 ‘成’과 같은 역할이 되는 것이다.

                                              

 

 

                        소     서    두     선     변        인    빈     복     리     추

 

  35.   蕭鼠頭先辨 寅賓腹裏推

 

            蕭-쓸쓸할 소, 鼠-쥐 서, 頭-머리 두, 先-먼저 선, 辨-분별할 변,

            寅-셋째지지 인, 賓-손 빈, 腹-배 복, 裏-속 리, 推-천거할 추, 가릴 추, 밀 퇴,

 

 

    譯解       蕭와 鼠의 차이는 字의 머리에서 먼저 변별되지만,

                寅과 賓의 차이는 字의 뱃속에서 가려내야 한다.

 

 

            이 句節에서 韻文的 要素는 斷然 先辨과 裏推다. 만일 前後句를 ‘頭先辨’,

               ‘腹裏辨’으로 썼더라면 韻文的 맛이 날 것인가를 생각하면 후구에서 ‘推’의

               가치를 實感할 것이다.

               寅賓의 머리는 宀으로 똑같아 변별할 수가 없기 때문에 腹裏推라고 한 것이다.

               여기서의 '腹'이라 함은 寅賓에서 '宀'을 머리로, 아래의 '八'을 다리라고

               가정하고는 그 가운데 부분을 일컫는 것임.

 

               推-推問 : 어떤 사실을 자세히 캐내기 위해 묻는 것.

                                                               

                                                                        - 27 -

출처 : 굴어당의 漢詩(唐詩.宋詩.漢文)
글쓴이 : 봉명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