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당척언(상하)당대 과거에 대한 다양한 기술,김장환 옮김,학고방| 2013.05.15

굴어당 2013. 6. 8. 22:04

당척언(상하)당대 과거에 대한 다양한 기술,김장환 옮김,학고방| 2013.05.15

 

당척언(상)

저자
왕정보 지음
역자
김장환 옮김 역자평점 0.0
출판사
학고방 | 2013.05.15
형태
판형 규격外 | 페이지 수 464 | ISBN
ISBN 10-8960713031
ISBN 13-9788960713031
정가
32,000원            

 

당대 과거에 관한 다양한 기술 『당척언』 상편. 오대의 왕정보가 찬한 역사쇄문류 필기집으로, ‘당나라 때의 주워 모은 이야기’라는 뜻이다. 당나라의 과거제도 및 그것과 연관된 활동을 기술하여, 당시 과거시험장의 기풍을 잘 반영하고 있다.

저자소개

역자 : 김장환
역자 김장환은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세설신어연구(世說新語硏究)」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위진남북조지인소설연구(魏晉南北朝志人小說硏究)」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객원교수(2004~2005), 같은 대학교 페어뱅크 센타(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객원교수(2011~2012)를 지냈다. 전공분야는 중국 문언소설과 필기문헌이다. 그동안 쓰고 옮긴 책으로는 『중국문학의 벼리』, 『중국문학의 갈래』, 『중국문학의 숨결』, 『중국문언단편소설선』, 『유의경(劉義慶)과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연극사』, 『중국유서개설(中國類書槪說)』, 『중국역대필기(中國歷代筆記)』, 『봉신연의(封神演義)』(전9권), 『세상의 참신한 이야기―세설신어』(전3권),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전4권), 『세설신어성휘운분(世說新語姓彙韻分)』(전3권), 『태평광기(太平廣記)』(전21권),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전8권), 『열선전(列仙傳)』, 『서경잡기(西京雜記)』, 『고사전(高士傳)』, 『소림(笑林)』, 『어림(語林)』, 『곽자(郭子)』, 『속설(俗說)』, 『담수(談藪)』, 『소설(小說)』, 『계안록(啓顔錄)』, 『신선전(神仙傳)』, 『옥호빙(玉壺氷)』, 『열이전(列異傳)』, 『제해기(齊諧記)ㆍ속제해기』 등이 있으며, 중국 문언소설과 필기문헌에 관한 여러 편의 연구논문이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당척언』 -당대 과거에 관한 다양한 기술

卷1
1-1(001) 과거에 대한 총서(總序) / 統序科第
1-2(002) 인재 천거의 개혁과 향음주례의 시행 / 貢擧釐革幷行鄕飮酒
1-3(003) 회창 5년(845)의 선발 규정 절록 / 會昌五年擧格節文
1-4(004) 진사에 대한 기술(상편) / 述進士上篇
1-5(005) 진사에 대한 기술(하편) / 述進士下篇
1-6(006) 진사에 대한 자유로운 서술 / 散序進士
1-7(007) 양감 / 兩監
1-8(008) 서감 / 西監
1-9(009) 동감 / 東監
1-10(010) 향공 / 鄕貢
1-11(011) 광문관 / 廣文
1-12(012) 양도의 공거 / 兩都貢擧
1-13(013) 잡문시 / 試雜文
1-14(014) 천자를 알현함 / 朝見
1-15(015) 선사를 배알함 / 謁先師
1-16(016) 진사가 예부에 귀속됨 / 進士歸禮部
1-論(017)

卷2
2-1(018) 경조부의 해송 / 京兆府解送
2-2(019) 원화 원년 등과기의 경조부 등제방 서문 / 元和元年登科記京兆等第?序
2-3(020) 등제를 폐지함 / 廢等第
2-4(021) 등제를 존치함 / 置等第
2-5(022) 부시(府試)의 장원이 진사시에서 낙방함 / 府元落
2-6(023) 등제의 꼴찌가 장원이 됨 / 等第末爲狀元
2-7(024) 등제자가 진사시에 응시하지 않음 / 等第罷擧
2-8(025) 등제하고 나서 오랜 뒤에 비로소 진사에 급제함 / 爲等第後, 久方及第
2-9(026) 해송에 대해 폭넓게 기술함 / 海述解送
2-10(027) 해원을 다툼(뒤늦게 도착하여 공원의 문을 두드려 시험보기를 청한 경우를 첨부함) / 爭解元(叩貢院門求試後到附)
2-11(028) 바른 길로써 득실을 헤아림 / 得失以道
2-12(029) 분노와 원한 / ?恨
2-論(030)

卷3
3-1(031) 산서 / 散序
3-2(032) 사은 / 謝恩
3-3(033) 기집 / 期集
3-4(034) 문장 점검 / 點檢文書
3-5(035) 과당 / 過堂
3-6(036) 관시 / 關試
3-7(037) 연회 명칭 / ?名
3-8(038) 금년 급제, 내년 등과 / 今年及第明年登科
3-9(039) 자은사 탑에 성명을 적고 연회를 즐기면서 시를 짓는 것에 관한 잡다한 기록 / 慈恩寺題名遊賞賦詠雜紀
3-論(040)

卷4
4-1(041) 절조 / 節操
4-2(042) 사문(師門)의 옛 벗 / 與恩地舊交
4-3(043) 사우 / 師友
4-4(044) 의기 / 氣義
4-贊(045)

卷5
5-1(046) 절차탁마 / 切磋
5-2(047) 그 사람만으로는 재주를 가늠할 수 없어 시험한 후에 놀람 / 以其人不稱才, 試而後驚
5-論(048)

卷6
6-1(049) 공정한 추천(문생이 좌주를 추천하거나 사우가 서로 추천한 경우를 첨부함) / 公薦(門生薦坐主師友相薦附)
6-贊(050)

卷7
7-1(051) 빈한함에서 가문을 일으킴(급제하지 않고 바로 부귀해진 경우를 첨부함) / 起自寒苦(不第卽貴附)
7-2(052) 빈한한 출신을 발탁함 / 好放孤寒
7-3(053) 후진을 출세시키거나 몰락시킴 / 升沈後進
7-4(054) 자기를 알아줌 / 知己
7-論(055)

卷8
8-1(056) 통방 / 通?
8-2(057) 주고관의 고민 / 主司撓悶
8-3(058) 음계에서 정한 일이 양계에서 이루어짐 / 陰注陽受
8-4(059) 꿈에서 급제를 예시함 / 夢
8-5(060) 소리를 듣고 급제를 점침 / 聽響卜
8-6(061) 자신을 장원으로 선발함 / 自放狀頭
8-7(062) 주고관을 우연히 만나 급제함 / 遭遇
8-8(063) 친구 덕에 급제함 / 友放
8-9(064) 착오로 급제함 / 誤放
8-10(065) 근심 중에 기쁨이 찾아옴 / 憂中有喜
8-11(066) 동향 사람에게 무시당하다가 급제한 사람 / 爲鄕人輕視而得者
8-12(067) 어진 부인의 격려로 급제한 사람 / 以賢妻激勸而得者
8-13(068) 이미 낙방했다가 다시 급제함 / 已落重收
8-14(069) 늙어서 급제함 / 放老
8-15(070) 급제와 오래 바라던 임관이 서로 이어짐 / 及第與長行拜官相次
8-16(071) 별두 급제 / 別頭及第
8-17(072) 급제 후에 은거함 / 及第後隱居
8-18(073) 도문에 들어감 / 入道
8-論(074)

 

옮긴이의 말

卷9
9-1(075) 조심해서 방비해도 부족함 / 防愼不至
9-2(076) 악명을 잘못 덮어씀 / 誤?惡名
9-3(077) 좋은 지기를 만났지만 급제한 뒤에 미움 받음 / 好知己惡及第
9-4(078) 진사 급제는 좋아하지만 다른 과목의 등제는 싫어함 / 好及第惡登科
9-5(079) 칙명으로 급제를 하사함 / ?賜及第
9-6(080) 표문으로 추천하여 급제함 / 表薦及第
9-7(081) 볼썽사납게 급제함 / 惡得及第
9-8(082) 방림의 십철(지금 기록한 사람은 8명임) / 芳林十哲(今記得者八人)
9-9(083) 사흉(지금 기록한 사람은 3명임) / 四凶(今所記者三)
9-論(084)

卷10
10-1(085) 과거에 응시하여 급제하지 못했지만 명성은 더욱 떨침 / 載應不捷, 聲價益振
10-2(086) 불우함을 폭넓게 서술함 / 海敍不遇
10-3(087) 위장이 진사 추증을 주청한, 급제하지 못한 근대 사람들 / 韋莊奏請追贈不及第人近代者
10-論(088)

卷11
11-1(089) 환속하여 급제함 / 反初及第
11-2(090) 환속하여 낙제함 / 反初不第
11-3(091) 관직을 얻지 못하고 퇴출당함 / 無官受黜
11-4(092) 천거했지만 급제하지 못함 / 薦擧不捷
11-5(093) 이미 급제했다가 다시 낙방함 / 已得復失
11-6(094) 은덕으로 원한을 갚음 / 以德報怨
11-7(095) 잘못된 변명 / 惡分疎
11-8(096) 원망과 분노(고지식한 경우를 첨부함) / 怨怒(戇直附)
11-論(097)

卷12
12-1(098) 자부함 / 自負
12-2(099) 경박함(희학하고 조롱하는 경우를 첨부함) / 輕?(戱謔嘲?附)
12-3(100) 특이함을 보여 명성을 얻음 / 設奇沽譽
12-4(101) 술로 인한 실수 / 酒失
12-論(102)

卷13
13-1(103) 민첩함 / 敏捷
13-2(104) 맞겨룸 / 矛盾
13-3(105) 명성을 아낌 / 惜名
13-4(106) 무명자의 비방 / 無名子謗議
13-論(107)

卷14
14-1(108) 주고관의 득의 / 主司稱意
14-2(109) 주고관의 실의 / 主司失意

卷15
15-1(110) 잡기 / 雜記
15-2(111) 진사 조례 / 條流進士
15-3(112) 민중 출신 진사 / ?中進士
15-4(113) 어진 노복 / 賢僕夫
15-5(114) 옛 경험 / 舊話
15-6(115)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 / 切忌
15-7(116) 쓸모없는 사람 / 沒用處
15-論(117)

역대 저록
송 왕요신(王堯臣) 『숭문총목(崇文總目)』
송 조공무(晁公武) 『군재독서지(郡齋讀書志)』
송 진진손(陳振孫)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
송 정초(鄭樵) 『통지(通志)』
『송사(宋史)』 「예문지(藝文志)」
원 마단림(馬端臨) 『문헌통고(文獻通考)』
명 도종의(陶宗儀) 『설부(說?)』
명 초횡(焦橫) 『국사경적지(國史經籍志)』
명 기승한(祁承?) 『담생당서목(澹生堂書目)』
청 영용(永瑢) 『흠정사고전서간명목록(欽定四庫全書簡明目錄)』
청 전대흔(錢大昕) 『십가재양신록(十駕齋養新錄)』
청 주중부(周中孚) 『정당독서기(鄭堂讀書記)』
청 무전손(繆?孫) 『예풍장서기(藝風藏書記)』
청 이자명(李慈銘) 『월만당독서기(越?堂讀書記)』
역대 서발
「흠정사고전서당척언제요(欽定四庫全書唐?言提要)」
「정방발(鄭昉跋)」
「주이존발(朱?尊跋)」
「왕사정발(王士禎跋)」
「노견증서(盧見曾序)」
「장해붕지(張海鵬識)」
「갈원후지(葛元煦識)」

과거 관련 용어
인용 시문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주요 참고문헌
당대 장안성 지도
당대 낙양성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