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춘추좌전(상)(중)(하) 장세후 옮김,을유문화사

굴어당 2013. 6. 30. 21:41

 

춘추좌전(상)

 

춘추좌전(상)

저자
좌구명 지음
역자
장세후 옮김 역자평점 0.0
출판사
을유문화사 | 2012.08.20
형태
판형 A5 | 페이지 수 1089 | ISBN
원제 : 春秋左傳
ISBN 10-8932452628
ISBN 13-9788932452623
정가
35,00031,500

,,,,,,,,,,,,,,,,,,,,,,,,,,,,,,,,,,,,,,,,,,,,,,,,,,,,,,,,,,,,,,,,,,,,,,,,,,,,

 

춘추좌전(중)

좌구명 지음
역자

장세후 옮김 역자평점 0.0
출판사

을유문화사 | 2013.01.15
형태

판형 A5 | 페이지 수 1774 | ISBN
원제 : 春秋左傳
ISBN 10-8932452636
ISBN 13-9788932452630
정가

40,00036,000원 
 
,,,,,,,,,,,,,,,,,,,,,,,,,,,,,,,,,,,,,,,,,,,,,,,,,,,,,,,,,,,,,,,,,,,,,,,,,,,,

춘추좌전(하)

 

좌구명 지음
역자

장세후 옮김 역자평점 0.0
출판사

을유문화사 | 2013.05.15
형태

판형 A5 | 페이지 수 1589 | ISBN
원제 : 春秋左傳
ISBN 10-8932452644
ISBN 13-9788932452647
정가

38,00034,200
,,,,,,,,,,,,,,,,,,,,,,,,,,,,,,,,,,,,,,,,,,,,,,,,,,,,,,,,,,,,,,,,,,,,,,,,,,,,,,,,,,,,,,,

 

    

 

 

동아시아 최초의 역사서 ≪춘추좌전≫을 쉽게, 그리고 깊게 읽는다!

중국 역사의 기원을 담은 인간 드라마『춘추좌전(상)』. 공자가 편수했다고 전해지는 중국 최초의 역사서 ≪춘추≫에 대한 주석서로,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연구원 장세후가 번역했다. 이 책은 기원전 722년부터 기원전 468년까지 총 12공 250여 년간 노나라의 역사와 춘추시대 열국의 역사를 편년체로 담고 있다. 동아시아 최초의 역사서이자 통치학과 인간학의 보고로 알려져 있으며, ≪사기≫ ≪자치통감≫에 큰 영향을 준 중국 역사서의 최고봉이다. 이번 번역본은 ≪춘추좌전≫ 의 본문만을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읽고자 하는 독자와, 좀 더 깊이 있게 읽고자 하는 독자를 모두 배려하여 번역문을 2단으로 구성했다. 또한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원문의 주해를 달았다.

저자소개

저자 : 좌구명
저자 좌구명(左丘明, ? ~?)은『춘추좌전』과 『국어(國語)』를 집필했다고 알려진 춘추시대 노나라의 유학자이자 사학자. 노나라에서 태사(太史)를 지낸 적이 있으며, 공자와 동시대 사람으로 전해지나, 자세한 일생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사기ㆍ12제후 연표서」에서는 “노나라의 군자 좌구명은 제자들이 각각 오류를 범하며, 제각기 주관에 집착하여 그 진의를 잃는 것을 염려하였다. 그래서 그는 공자의 기록에 연유하여 그 구절을 상세하게 논술하여 「좌씨춘추」를 지었다”고 하였다. 공자와는 의기(意氣)와 지취(志趣)의 좋음과 싫음을 같이 하여 『논어·공야장(公冶長)』에서 공자는 "말을 잘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며 공손함이 지나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 원망을 감추고 그 사람과 사귀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고 하였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만년에 시력을 잃은 뒤에 춘추시대 주나라와 노(魯)·제(齊)·진(晉)·정(鄭)·초(楚)·오(吳)·월(越)나라의 역사를 다룬 『국어』를 지었다고 한다.『춘추좌전』의 지은이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고 명확하지 않다. 또한 좌구명의 좌가 성이고 구명이 이름인지, 좌구가 복성(複姓)이고 이름이 명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한 사람의 온전한 작품으로 보기 어렵고,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사관들이 채취한 사료를 누군가가 체제를 통일하고 선택, 가공, 정리한 작품이라는 견해도 있다.

역자 : 장세후
역자 장세후(張世厚)는 1963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1986년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1988년과 1996년 같은 대학에서 각각 석ㆍ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영남대학교 겸임교수와 경북대학교 연구초빙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退溪硏究所)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한학 연구(漢學 硏究)의 길잡이―고적도독(古籍導讀)」〔취완리(屈萬里) 지음·이회문화사, 1998〕, 「초당시(初唐詩, The Poetry of the Early T'ang)」〔스티븐 오웬(Stephen Owen) 지음, 대구 중문출판사, 2000〕, 「퇴계시(退溪詩) 풀이 1~6」(공역,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2011), 「고문진보(古文眞寶)ㆍ전집(前集)」(황견 엮음, 공역, 을유문화사, 2001), 「주희 시 역주(朱熹 詩 譯註)ㆍ권지일(卷之一)」(이회문화사, 2004), 「주희 시 역주(朱熹 詩 譯註)ㆍ권지이(卷之二)」(이회문화사, 2006), 「당송팔대가문초-소순(唐宋八大家文抄-蘇洵)」(공역, 전통문화연구회, 2012) 등 다수가 있다.

목차

추천 서문
머리말
일러두기
『춘추좌전』을 읽기 전에

1. 은공(기원전 722년~기원전 712년)
은공 원년
은공 2년
은공 3년
은공 4년
은공 5년
은공 6년
은공 7년
은공 8년
은공 9년
은공 10년
은공 11년

2. 환공(기원전 711년~기원전 694년)
환공 원년
환공 2년
환공 3년
환공 4년
환공 5년
환공 6년
환공 7년
환공 8년
환공 9년
환공 10년
환공 11년
환공 12년
환공 13년
환공 14년
환공 15년
환공 16년
환공 17년
환공 18년

3. 장공(기원전 693년~기원전 662년)
장공 원년
장공 2년
장공 3년
장공 4년
장공 5년
장공 6년
장공 7년
장공 8년
장공 9년
장공 10년
장공 11년
장공 12년
장공 13년
장공 14년
장공 15년
장공 16년
장공 17년
장공 18년
장공 19년
장공 20년
장공 21년
장공 22년
장공 23년
장공 24년
장공 25년
장공 26년
장공 27년
장공 28년
장공 29년
장공 30년
장공 31년
장공 32년

4. 민공(기원전 661년~기원전 660년)
민공 원년
민공 2년

5. 희공(기원전 659년~기원전 627년)
희공 원년
희공 2년
희공 3년
희공 4년
희공 5년
희공 6년
희공 7년
희공 8년
희공 9년
희공 10년
희공 11년
희공 12년
희공 13년
희공 14년
희공 15년
희공 16년
희공 17년
희공 18년
희공 19년
희공 20년
희공 21년
희공 22년
희공 23년
희공 24년
희공 25년
희공 26년
희공 27년
희공 28년
희공 29년
희공 30년
희공 31년
희공 32년
희공 33년

 

추천 서문
머리말
일러두기
『춘추좌전』을 읽기 전에

6. 문공(기원전 626년~기원전 609년)
문공 원년
문공 2년
문공 3년
문공 4년
문공 5년
문공 6년
문공 7년
문공 8년
문공 9년
문공 10년
문공 11년
문공 12년
문공 13년
문공 14년
문공 15년
문공 16년
문공 17년
문공 18년

7. 선공(기원전 608년~기원전 591년)
선공 원년
선공 2년
선공 3년
선공 4년
선공 5년
선공 6년
선공 7년
선공 8년
선공 9년
선공 10년
선공 11년
선공 12년
선공 13년
선공 14년
선공 15년
선공 16년
선공 17년
선공 18년

8. 성공(기원전 590년~기원전 573년)
성공 원년
성공 2년
성공 3년
성공 4년
성공 5년
성공 6년
성공 7년
성공 8년
성공 9년
성공 10년
성공 11년
성공 12년
성공 13년
성공 14년
성공 15년
성공 16년
성공 17년
성공 18년

9. 양공(기원전 572년~기원전 542년)
양공 원년
양공 2년
양공 3년
양공 4년
양공 5년
양공 6년
양공 7년
양공 8년
양공 9년
양공 10년
양공 11년
양공 12년
양공 13년
양공 14년
양공 15년
양공 16년
양공 17년
양공 18년
양공 19년
양공 20년
양공 21년
양공 22년
양공 23년
양공 24년
양공 25년
양공 26년
양공 27년
양공 28년
양공 29년
양공 30년
양공 31년

 

추천 서문
머리말
일러두기
『춘추좌전』을 읽기 전에

10. 소공(기원전 541년~기원전 510년)
소공 원년
소공 2년
소공 3년
소공 4년
소공 5년
소공 6년
소공 7년
소공 8년
소공 9년
소공 10년
소공 11년
소공 12년
소공 13년
소공 14년
소공 15년
소공 16년
소공 17년
소공 18년
소공 19년
소공 20년
소공 21년
소공 22년
소공 23년
소공 24년
소공 25년
소공 26년
소공 27년
소공 28년
소공 29년
소공 30년
소공 31년
소공 32년

11. 정공(기원전 509년~기원전 495년)
정공 원년
정공 2년
정공 3년
정공 4년
정공 5년
정공 6년
정공 7년
정공 8년
정공 9년
정공 10년
정공 11년
정공 12년
정공 13년
정공 14년
정공 15년

12. 애공(기원전 494년~기원전 468년)
애공 원년
애공 2년
애공 3년
애공 4년
애공 5년
애공 6년
애공 7년
애공 8년
애공 9년
애공 10년
애공 11년
애공 12년
애공 13년
애공 14년
애공 15년
애공 16년
애공 17년
애공 18년
애공 19년
애공 20년
애공 21년
애공 22년
애공 23년
애공 24년
애공 25년
애공 26년
애공 27년

 

중국 역사의 기원을 담은 인간 드라마
수많은 고사성어의 출전이자 「삼국지」 관우의 평생 지침서
원문의 상세한 주해(註解)를 수록

동아시아 최초의 역사서이자 통치학과 인간학의 보고
「사기」, 「자치통감」에 큰 영향을 준 중국 역사서의 최고봉


공자가 편수했다고 전해지는 중국 최초의 역사서 「춘추(春秋)」에 대한 주석서 『춘추좌전』이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退溪硏究所) 전임연구원 장세후의 번역으로 을유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기원전 722년(은공 원년)부터 기원전 468년(애공 27년)까지 총 12공(公) 250여 년간 노나라의 역사와 춘추시대 열국의 역사를 편년체로 담고 있다. 공자가 쓴 경문(經文)[원전]인 「춘추」에 후대의 작자가 전문(傳文)[해설]을 붙인 것이며, 이 책이 다룬 시기를 춘추 시대라고 부른다.

「춘추」는 노나라 사관들이 남긴 역사를 공자가 제자들에게 가르치고자 재정리한 책이다. 수백 년의 역사를 너무나 간결하게 정리한 「춘추」의 이해를 돕기 위한 대표적인 해설서로 ‘춘추삼전(春秋三傳)’이라 불리는 「춘추좌전」, 「공양전(公羊傳)」, 「곡량전(穀梁傳)」 이 나오게 되었다. 「공양전」과 「곡량전」이 글자 한 자 한 자에 대한 공자의 의도와 의리(義理)를 밝히는 데 주력한 반면, 「춘추좌전」은 구체적인 사실(史實)을 들어 경문을 설명하고 보정하였으며 나아가 바로잡기까지 하였다. 「춘추좌전」은 문장이 간결하고 굳세며 유창하여 위진(魏晉) 시대 이후에는 「공양전」과 「곡량전」을 압도하게 되었다.

체재와 서사가 완전한 최초의 고대사 책으로 평가받는 「춘추좌전」은 유가 사회의 공직자가 필독해야 하는 한자 문화권의 대표적인 역사 교과서이자 사서오경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대의멸친, 순망치한, 결초보은 등 무수한 고사성어의 원전이기도 하다. 「춘추」의 내용을 풍부하게 했고, 또 중국 최초로 대화체 서술 방식을 사용했으며, 사료가 상세하고 예술성이 강해 사학사 및 문학 사상의 대표작이 되었다. 「춘추좌전」은 「춘추」 또는 「좌씨춘추」라고도 한다.

이번 번역본은 『춘추좌전』의 본문만을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읽고자 하는 독자와 『춘추좌전』을 깊이 있게 읽고 혼자서 고서를 읽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독자에 맞게 원문과 번역문을 2단으로 구성하였고,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가능한 한 상세하게 원문의 주해를 달았다.

“세상이 쇠하고 도가 미약해져서 부정한 학설과 포학한 행동이 일어나 군주를 죽이는 신하가 있으며 아비를 죽이는 자식이 있었다. 공자가 두려워하여 「춘추」를 지으니 「춘추」는 천자의 일이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나를 알아주는 것은 오직 「춘추」일 것이며, 나를 죄주는 것도 오로지 「춘추」일 것이다!”고 말씀하였다.”
-「맹자ㆍ등문공(騰文公) 하(下)」

* 이 책은 고전의 현대적 접근을 표방하여 기획된 《을유세계사상고전시리즈》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