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주자평전 - 전2권,수징난 (지은이) | 김태완 (옮긴이) | 역사비평사 | 2015-09-30

굴어당 2015. 10. 1. 21:29



수징난 (지은이) | 김태완 (옮긴이) | 역사비평사 | 2015-09-30


교조적 관념적 사상가가 아닌, 남송의 현실 세계에 살았던 인간으로서 주희를 그려낸 평전. 주자학은 교조적이고 비현실적인 공리공담의 공허한 형이상학, 관념론적 학문이 아니며, 주희 또한 교조주의자, 관념론자, 봉건적 전제군주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이데올로그가 아니라 삶의 현실에서 치열하게 문제의식을 깨닫고 대결한 삶을 산 현실에 살아 있던 사람이었다. 널리 배우고, 깊이 묻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명하게 분석하고, 독실하게 실천했던, 살아 숨 쉬던 주희를 실제로 발견할 수 있다.

주희의 탄생에서 청소년기를 거쳐 학자로서의 삶,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의 인생이 상세히 펼쳐진다. 그의 위대한 학문이 여러 학자와의 논변을 거쳐 완성되어가는 과정은 물론이고, 과거에 급제한 뒤 외직으로 보임되어 지방관으로서 펼친 행정, 그리고 평생 고종, 효종, 광종, 영종이라는 네 황제를 섬겼지만 조정에서 경연관으로 실제로 근무한 것은 고작 46일에 불과한 기간에 펼친 정치 이론이 생생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우리가 그동안 잘 몰랐던 행정개혁가로서의 주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사실 짧은 기간에 주희가 펼친 행정은 중국사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음에도, 우리는 사상가로서 주희의 면모에 치중한 나머지 그가 남긴 행정적 업무 능력은 간과하고 있다. 수많은 자료의 발굴을 통해 엄밀하게 고증해낸 당시의 정치 사회 모습, 그리고 셀 수 없이 주고받은 많은 편지 속에서 드러난 열띤 학문 논쟁이 생생하게 복원된다.



[주자평전 - 상]

일러두기 / 한국어판 서문 / 장다이녠張岱年의 서문 / 찬윙칫陳榮捷의 서문 / 자서自序

제1장 몰락한 세가의 부침
쇠락한 세상에 탄생한 성인
우계尤溪와 포성浦城에서 수도로
건구建? 환계環溪에서

제2장 무이의 세 선생을 사사하다
담계潭溪에 거주를 정하다
‘세 글자 부적(三字符)’과 ‘소소영령한 선(昭昭靈靈底禪)’
백수白水와 적계籍溪를 통해 호상파湖湘派로 향하다

제3장 불교와 도교에 드나든 정신적 역정
심학心學의 길을 걷다
목재牧齋를 통하여
“겸개선謙開善에게서 공부를 하다”

제4장 유가적 심리 상태의 방황과 복귀
고사헌高士軒의 세속 주부主簿
현학縣學을 주관하면서 자아 반성을 하다
천남불국泉南佛國에서 어렴풋한 각성

제5장 연평을 따라 배우다 : 주오에서 주정으로
외루암外壘庵의 이학 신도
‘곤학困學’의 간난한 길을 걷다
공문恐聞에서 빠져나오다

제6장 융흥 연간, 북벌과 화의의 소용돌이 가운데서
연평 사사의 마지막 장면
도성에 들어가 ‘온갖 일을 꾸짖으며(?詞百事)’ 항쟁하다
구차한 안정의 분위기 속에서 자아 분발

제7장 이통에서 정이로
종고宗?와 무구無垢를 청산하는 불학 논전
중화구설中和舊說의 역정歷程
형악衡岳에서 노닐다
중화신설中和新說 탄생

제8장 한천의 저술 : 이학의 검을 벼리다
초연히 태극太極을 만나다
호상파를 청산하는 논전
『사서집주四書集注』 이전의 경학 체계
도통道統과 정통正統

제9장 세 거인의 만남 : 주희, 여조겸, 육구연의 세 차례 회합
한천寒泉의 회합
아호鵝湖의 회합
삼구三衢의 회합

제10장 정유년(1177) : 평생 학문의 제1차 총결
단숨에 진보한 공부
『사서집주』 경학 체계의 탄생
오경학五經學 사상의 비약

제11장 광려의 유종
유학자의 효용을 보이다
봉사封事와 진황賑荒
관음사 회합에서 백록동 회합까지
강서江西에 부는 주학朱學의 회오리바람

제12장 절동 제거 : 도학 인격의 풍채
‘와룡臥龍’의 재기
여섯 차례 당중우唐仲友를 탄핵한 ‘인간희극’
절동 세 학파의 각축

제13장 무이산 속에 엎드리다
무이정사武夷精舍의 도학 선생님
반도학反道學 문화의 역풍 속에서

찾아보기 1148

[주자평전 - 하]

일러두기

제14장 전방위적인 문화 논전
의리義理, 왕패王覇 논변
절학浙學과 육학陸學의 균형을 유지한 도학의 지주
도서상수圖書象數의 점학占學으로 통하다

제15장 무신 연화주사의 풍파
서책을 버리고 봄을 찾으러 가다
연화주사延和奏事
주희와 임률이 번갈아 올린 주차의 배후에서 벌어진 당쟁

제16장 전통 반성에서 현실 비판으로
‘무극으로부터 태극이 된다’는 수수께끼
주희와 육구연의 태극 논전
무신봉사戊申封事 : 반성과 비판의 이정표

제17장 기유년(1189) : 평생 학문의 제2차 총결
선천학先天學과 태극학太極學의 절묘한 결합
전통적인 경 해석 체계를 벗어난 새로운 경학 체계
인본주의의 사서학四書學 체계

제18장 임장으로 남하하다
상당相黨 분쟁의 희극 가운데 산을 나오다
‘경계經界’의 풍운
또 한 차례 실패한 지방 개혁
남쪽 구석 민간 학술의 소왕素王

제19장 고정에 숨어 살다
거센 물살에 홀로 맞서다 : 절학浙學과 새로이 벌인 논전
주희와 신기질이라는 쌍둥이자리
내 바라기는 임금이 하늘의 조화를 본받아

제20장 두 번째로 호상에 들어가다
장사長沙에서 백 일 동안 펼친 ‘정확하고 치밀하며 엄격하고 너그러운’ 새 정치
궁정 내선內禪의 소극笑劇에 말려들다

제21장 경연에 입시한 46일
‘제왕의 스승’ 도성에 들어오다
새 군주가 싫증을 낸 경연의 노유老儒
도성 문에서 쫓겨난 ‘천하의 대로大老’

제22장 경원당금 : 문화전제의 연옥 가운데서
창주정사滄洲精舍 : 내 도를 창주에 맡긴다
도학道學 ― 위도僞徒 ― 역당逆黨
위적僞籍에 든 역당의 우두머리

제23장 나의 태현을 지킨다 : 평생 학문의 제3차 총결
한유의 문장과 굴원의 부賦 사이에서 마음을 노닐다
공동 도사空同道士와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
경학 대사와 경학의 제자들

제24장 남 앞에 변명하지 말지니, 세상의 참 거짓을 그 누가 알랴
마지막 정신적 표류
도학당 우두머리의 죽음

맺음말
다차원 문화의 시야로 돌아와서

부록 1
후기後記 / 후발後跋 / 주요 참고도서 / 역자 후기

부록 2
연보 / 주희의 저술 목록 / 주희와 관련 있는 사람들 /
주희와 관련된 고적 / 찾아보기





세트도서는 개별 서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각 권의 상세 페이지를 참고하시거나
1:1 상담을 이용해 주십시오.


최근작 :<주자평전 박스 세트 - 전2권>,<주자평전 - 하>,<주자평전 - 상> … 총 4종 (모두보기)
소개 :
최근작 :<책문, 이 시대가 묻는다>,<우화로 떠나는 고전산책>,<3000년 세상읽기 중국고전우화> … 총 20종 (모두보기)
소개 :



교조적 관념적 사상가가 아닌,
남송의 현실 세계에 살았던 인간으로서 주희를 그려내다


고려 때 들여와서 조선시대에 꽃을 피운 주자학은 정치, 사상, 문화에서 일상생활까지 지배한 학문이었다. 그런데 이 학문은 높은 경지의 학술적 발전을 거친 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점차 공리공담의 학문으로 변질되어버리고, 교조적이고 관념론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인식은 오늘날까지도 일정 정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주자학의 창시자, 주희라는 위대한 사상가를 배출해낸 중국에서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특히 사회주의혁명을 거친 중국에서 급진 혁명가가 본 주희는 공가점(孔家店, 중국의 도덕 문화 정신 체계에 형성된 공자의 학설 또는 공자의 유교 사상을 선전하는 거점을 뜻하는 말로서 희화한 표현)의 부사장이고, 좌파 철학가가 본 주희는 유심주의의 파편을 흩뿌리는 도학 사기꾼이었다.(저자의 후기. (하)권 967쪽)
저자는 바로 이 같은 인식을 깨기 위해 ‘종합적인 주희의 전기’를 썼다. 교조적이고 관념적인 사상가로서 주희가 아니라 피와 살이 있는 주희를 힘껏 그려냈다.
모든 사상이나 철학은 당대의 현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상징적인 형식이다. 주희의 주자학 역시 남송이라는 사회 현실의 문제와 직면하여 형성되었다. 주자학이 학문 권력으로 되면서 낳은 동아시아 전근대 사회의 여러 문제는 주자학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주자학을 통해 권력을 획득한 권력 집단의 기득권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주자학은 우리가 상투적으로 이해하듯이 교조적이고 비현실적인 공리공담의 공허한 형이상학, 관념론적 학문이 아니며, 주희 또한 교조주의자, 관념론자, 봉건적 전제군주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이데올로그가 아니라 삶의 현실에서 치열하게 문제의식을 깨닫고 대결한 삶을 산 현실에 살아 있던 사람이다.
요컨대, 학문 이론뿐만 아니라 자기 이상의 실현에서도 철저한 삶을 살았던 이론(인식)과 실천의 조화를 추구한 인물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널리 배우고, 깊이 묻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명하게 분석하고, 독실하게 실천했던, 살아 숨 쉬던 주희를 실제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혹은 주목하지 않았던 주희의 삶
: 행정개혁가로서 주희


중국어판으로 1082쪽, 한국어판으로 2400쪽(중국어판에 없는 260여 쪽의 부록 포함)에 이르는 분량이 말해주듯, 이 책은 어마어마한 두께의 책이다. 주희의 탄생에서 청소년기를 거쳐 학자로서의 삶,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의 인생이 아주 상세히 펼쳐진다. 그의 위대한 학문이 여러 학자와의 논변을 거쳐 완성되어가는 과정은 물론이고, 과거에 급제한 뒤 외직으로 보임되어 지방관으로서 펼친 행정, 그리고 평생 고종, 효종, 광종, 영종이라는 네 황제를 섬겼지만 조정에서 경연관으로 실제로 근무한 것은 고작 46일에 불과한 기간에 펼친 정치 이론이 생생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우리가 그동안 잘 몰랐던 행정개혁가로서의 주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사실 짧은 기간에 주희가 펼친 행정은 중국사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음에도, 우리는 사상가로서 주희의 면모에 치중한 나머지 그가 남긴 행정적 업무 능력은 간과하고 있다.
주희의 과거시험 성적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그가 맡은 직책도 고위직은 아니었다. 그의 나이 24세 때 천주 동안현의 주부(主簿)로 부임하여 판적과 전세를 조사한 뒤 경계(經界, 토지 측량, 토지 경계 정비)를 시행하고자 했지만, 성사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나이 쉰(1179년)에 이르러 남강에 부임해서는 세금 감면과 부역 면제, 그리고 가뭄으로 인해 피폐해진 백성의 삶을 진작시키는 진황 정책을 눈부시게 성공시킨다. 1190년 장주에 부임해서는 경계가 시행되지 않는 것이 지방행정의 전체 폐단이라고 생각하고 조정에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렸다. 그가 올린 주장(奏章)은 통렬하고 절절하다. “관에서 이미 불법을 저지르고 아전이 또 간사한 짓을 합니다. 이 때문에 가난하고 약한 백성이 받는 피해가 더욱 큽니다. …… 만약 경계를 시행하지 않는다면 결코 이러한 병폐의 근원을 혁파할 방법이 없습니다.”(하권 18장. 460~461쪽) 마침내 그의 의견은 절충된 형태로 조정에 받아들여지지만, 얼마 안 있어 그마저도 조정 신료의 저지와 방해로 곧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논전의 일생 :
여러 학자들과 벌인 서신 논쟁에서 세 거인(주희, 여조겸, 육구연)의 역사적 회합까지


주희는 평생의 지기인 장식(張?), 여조겸(呂祖謙)뿐 아니라 진량(陳亮), 육구연(陸九淵)을 비롯한 당대의 학자들과 크고 작은 학술 논전을 거치면서 그의 이학 사상 체계를 집대성하였다. 주희는 한당의 경학, 송대의 이학(理學)을 두로 통섭하여 송대(宋代)의 신유학을 구축한 사상가로서 떠받들리고 있는데, 저자 수징난은 무엇보다 주희의 이학이 ‘인본주의 인간학’이라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에 따르면 주희는 낡은 천인합일의 문화 모형을 빌려 ‘인본(人本)’과 ‘이본(理本)’을 통일하였으며, 그의 체계에서 인본(人本)·심본(心本)·이본(理本)은 같은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주희에 대한 저자의 평가를 염두에 두고 주희가 펼친 논전을 살펴보면 그의 사상이 좀 더 새롭게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주희는 도가와 불가의 학문을 받아들이고 깊이 공부하여 ‘삼교합일(三敎合一)’을 이뤄냈다고 평가되는데, 저자는 주희가 젊은 시절 도가와 불교에 심취한 과정과 이를 각성하고 자아 반성을 하면서 도교와 불교를 날카롭게 비판한 일에 대해 서술한다.(물론 이 같은 비판은 주희 자신이 불교와 도교를 심도 있게 공부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요컨대 저자 수징난은 주자학이 불교와 도교를 융회했다는 사실에만 천착하지 않고, 역으로 당시 사회에 범람하던 불교와 도교에 반대하여 나왔다고 본 것이다.
장식의 호상학(湖湘學), 여조겸의 절학(浙學)과 끊임없이 논전하며 청산하는 과정, 한천(寒泉)·아호(鵝湖)·삼구(三衢)에서 여조겸, 육구연과 만나 유교·불교에 대한 논변을 거치면서 이학 사상의 일치와 경학 사상의 대립을 확인하는 과정, 진량과 벌인 의리(義理)·왕패(王覇) 논변, 그리고 육구연과 벌인 태극(太極) 논전 등, 수많은 논쟁은 그의 사상이 결코 홀로 완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수많은 시편에 나타난 주희의 고뇌와 학문적 총결
날카로운 정치 비판이 담긴 차자와 봉사


저자 수징난은 한당 유학과 북송 유학을 뛰어넘는 주희의 새로운 경학 체계가 완성해 나가는 과정뿐 아니라, 주희가 남긴 수많은 시편을 통해 그의 고뇌와 학문적 진보를 발견한다. 우리는 보통 경학사에서 『대학』·『중용』·『논어』·『맹자』 네 경을 오경학(五經學) 외에 독립적인 사서학(四書學)의 체계로 확립한 주희의 학문적 성취에 주목한다. 특히 『사서집주(四書集注)』의 경학 체계는 당시 전통적인 경(經) 해석 체계를 벗어난 독창적인 해석학이었기 때문에, 주희의 경부(經部) 저술이나 어류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 책은 주희의 학문 발전 과정에 대한 서술은 물론이고, 그동안 소개되지 않았던 다양한 시편을 통해 주희의 생각의 흐름을 잡아낸다. 주희를 비롯하여 그와 관계한 문인이나 제자들의 시편도 감상할 수 있다. 은유와 비유로 지어진 시는 자칫 그 뜻을 헤아리기 어려운데, 저자는 이 시들에 담긴 뜻까지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젊은 시절 도교와 불교에 드나들면서 선(禪)의 기운이 충만한 시를 읊고, 자신의 학문적 성취를 정리한 시를 지으며, 육구연과 논쟁을 벌이면서 그의 심학을 비판하는 시를 짓고, 제자들과 함께 무이구곡을 유람하며 전원시의 간결하고 고상하며 생기 넘치는 「무이도가(武夷櫂歌)」(이 시는 당대의 많은 이들이 따라 지을 정도로 유명했다)를 원문과 함께 보여준다.
정치개혁가로서 주희의 모습은 그가 올린 차자(箚子)와 봉사(封事) 등을 통해 볼 수 있다. 특히 남송 사회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지적이고 냉정하게 비판한 「무신봉사(戊申封事)」뿐 아니라, 남강군의 지군으로서 효종에게 차자를 올려 읊어가는 장면은 그 자체로 긴박감이 감돈다. 주희는 이때의 장면을 위염지(魏?之)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6일에 등대하여서 처음에 치지격물(致知格物)의 도를 논한 첫째 차자를 읽었더니 임금의 얼굴빛이 온화하고 순수하며 메아리처럼 호응하셨습니다. 다음으로 복수의 의리를 논한 둘째 차자를 읽고, 언로가 꽉 막히고 영행(?幸, 아첨하면서 군주의 총애를 받는 신하)이 들끓는 문제를 논한 셋째 차자를 읽었더니 다시는 임금의 말이 들려오지 않았습니다.”(『문집』 권24 「여위원리」 서1)

수많은 자료의 발굴을 통해 엄밀하게 고증해낸 당시의 정치 사회 모습, 그리고 셀 수 없이 주고받은 많은 편지 속에서 드러난 열띤 학문 논쟁이 이 책에 생생하게 복원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주희에 대한 전기, 그 이상의 평전

이학을 구축한 사상가로서뿐만 아니라
피와 살을 가진 한 인간으로서의 인간 주희.

그의 위대한 사상이 어떻게 발전하고 완성되었는지,
그 역사적 장면이 불꽃 튀는 논전을 통해 낱낱이 드러난다.


기존의 해설서들이 추상적이고 차가운 철학 개념을 동원하여 주자사상의 형이상학적 골격을 세우는 일에 치중하였다면, 수징난의 [주자평전]은 피와 살을 가진 실존 인물로서의 주희를 구체적인 삶의 궤적을 따라가며 생생하게 재현해내고 있다. 주자가 제시했던 성인이라는 도학적 이상은 그동안 숭배자들 사이에서 불변하는 인격적 실체처럼 숭앙되어왔지만, 이 책에서는 이러한 문화심리를 송이라는 역사적 환경을 통해 배태되고 형성되어간 역동적인 시스템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고고하고 완전무결한 '성리학자 주자' 대신에, 절절한 삶의 맥락 속에서 문제의식을 부둥켜안고 고뇌하는 '인간 주희'를 만나게 될 것이다.


저자 소개

저자 : 수징난

1945년 12월 생이며, 중국 강소성(江蘇省) 단양(丹陽) 사람이다. 1968년에 난징대학(南京大學)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1978년에 푸단대학(復旦大學) 중문과에 입학하여 중국 고대문학을 전공하였다. 쑤저우대학(蘇州大學)에서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1995년부터 저장대학(浙江大學)으로 옮겨서 저장대학 고적연구소, 중외문화교류센터, 송학연구센터의 교수를 지냈다.
문학, 역사, 철학, 과학 등 연구 분야가 광범위하며, 1968~1978년에는 문학 창작에도 종사하여 문학작품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문학, 철학, 미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 업적을 남겼다.
특히 주자학 연구에 헌신하여 주희의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여러 글을 수집해서 엮은 『주희일문집고(朱熹佚文輯考)』, 주희의 생애와 관련한 방대한 직접 자료와 방계 자료를 분석하고 정리하여 주희의 생애를 엄밀하게 재구성한 『주희연보장편(朱熹年譜長編)』, 주희의 일생, 학문과 사상, 문학 창작, 정치 활동을 수많은 문헌 자료를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다차원적 사유의 시각에서 해석하여 재조명한 주희의 전기인 『주자대전(朱子大傳)』 3부작을 완성하였다. 이 3부작은 주희의 생애와 학문 사상에 관한 한 전무후... 펼처보기

역자 : 김태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로 올라와 숭실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으며, 특히 퇴계와 율곡에 깊은 관심을 두었다. 공부할수록 조선 성리학의 심오한 매력에 빠져들어 마침내 율곡 이이의 책문을 텍스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이의 책문을 통해 조선의 지식인들이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어떻게 추구하고 풀어 나가려 했는지를 보면서 감탄하고, 이를 알리고자 하였던 노력이 『책문, 이 시대가 묻는다』와 『율곡문답』으로 결실을 맺었다.
그 밖에 지은 책으로는 『경연, 왕의 공부』, 『우화로 떠나는 고전산책』, 『살기 좋은 세상을 향한 꿈, 맹자』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성학집요』, 『중국의 고대 축제와 가요』 등이 있다.


목차

일러두기 / 한국어판 서문 / 장다이녠張岱年의 서문 /
찬윙칫陳榮捷의 서문 / 자서自序

제1장 몰락한 세가의 부침
쇠락한 세상에 탄생한 성인
우계尤溪와 포성浦城에서 수도로
건구建 환계環溪에서

제2장 무이의 세 선생을 사사하다
담계潭溪에 거주를 정하다
‘세 글자 부적(三字符)’과 ‘소소영령한 선(昭昭靈靈底禪)’
백수白水와 적계籍溪를 통해 호상파湖湘派로 향하다

제3장 불교와 도교에 드나든 정신적 역정
심학心學의 길을 걷다
목재牧齋를 통하여
“겸개선謙開善에게서 공부를 하다”

제4장 유가적 심리 상태의 방황과 복귀
고사헌高士軒의 세속 주부主簿
현학縣學을 주관하면서 자아 반성을 하다
천남불국泉南佛國에서 어렴풋한 각성

제5장 연평을 따라 배우다 : 주오에서 주정으로
외루암外壘庵의 이학 신도
‘곤학困學’의 간난한 길을 걷다
공문恐聞에서 빠져나오다

제6장 융흥 연간, 북벌과 화의의 소용돌이 가운데서
연평 사사의 마지막 장면
도성에 들어가 ‘온갖 일을 꾸짖으며( 詞百事)’ 항쟁하다
구차한 안정의 분위기 속에서 자아 분발

제7장 이통에서 정이로
종고宗 와 무구無垢를 청산하는 불학 논전
...펼처보기


주자평전(하)

일러두기


제14장 전방위적인 문화 논전
의리義理, 왕패王覇 논변
절학浙學과 육학陸學의 균형을 유지한 도학의 지주
도서상수圖書象數의 점학占學으로 통하다

제15장 무신 연화주사의 풍파
서책을 버리고 봄을 찾으러 가다
연화주사延和奏事
주희와 임률이 번갈아 올린 주차의 배후에서 벌어진 당쟁

제16장 전통 반성에서 현실 비판으로
‘무극으로부터 태극이 된다’는 수수께끼
주희와 육구연의 태극 논전
무신봉사戊申封事 : 반성과 비판의 이정표

제17장 기유년(1189) : 평생 학문의 제2차 총결
선천학先天學과 태극학太極學의 절묘한 결합
전통적인 경 해석 체계를 벗어난 새로운 경학 체계
인본주의의 사서학四書學 체계

제18장 임장으로 남하하다
상당相黨 분쟁의 희극 가운데 산을 나오다
‘경계經界’의 풍운
또 한 차례 실패한 지방 개혁
남쪽 구석 민간 학술의 소왕素王

제19장 고정에 숨어 살다
거센 물살에 홀로 맞서다 : 절학浙學과 새로이 벌인 논전
주희와 신기질이라는 쌍둥이자리
내 바라기는 임금이 하늘의 조화를 본받아

제20장 두 번째로 호상에 들어가다
장사長沙에서 백 일 동안 펼친 ‘
...펼처보기



출판사 리뷰

교조적 관념적 사상가가 아닌,
남송의 현실 세계에 살았던 인간으로서 주희를 그려내다


고려 때 들여와서 조선시대에 꽃을 피운 주자학은 정치, 사상, 문화에서 일상생활까지 지배한 학문이었다. 그런데 이 학문은 높은 경지의 학술적 발전을 거친 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점차 공리공담의 학문으로 변질되어버리고, 교조적이고 관념론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인식은 오늘날까지도 일정 정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주자학의 창시자, 주희라는 위대한 사상가를 배출해낸 중국에서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특히 사회주의혁명을 거친 중국에서 급진 혁명가가 본 주희는 공가점(孔家店, 중국의 도덕 문화 정신 체계에 형성된 공자의 학설 또는 공자의 유교 사상을 선전하는 거점을 뜻하는 말로서 희화한 표현)의 부사장이고, 좌파 철학가가 본 주희는 유심주의의 파편을 흩뿌리는 도학 사기꾼이었다.(저자의 후기. (하)권 967쪽)

저자는 바로 이 같은 인식을 깨기 위해 ‘종합적인 주희의 전기’를 썼다. 교조적이고 관념적인 사상가로서 주희가 아니라 피와 살이 있는 주희를 힘껏 그려냈다.

모든 사상이나 철학은 당대의 현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상징적인 형식이다. 주희의 주자학 역시 남송이라는 사회 현실의 문제와 직면하여 형성되었다. 주자학이 학문 권력으로 되면서 낳은 동아시아 전근대 사회의 여러 문제는 주자학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주자학을 통해 권력을 획득한 권력 집단의 기득권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주자학은 우리가 상투적으로 이해하듯이 교조적이고 비현실적인 공리공담의 공허한 형이상학, 관념론적 학문이 아니며, 주희 또한 교조주의자, 관념론자, 봉건적 전제군주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이데올로그가 아니라 삶의 현실에서 치열하게 문제의식을 깨닫고 대결한 삶을 산 현실에 살아 있던 사람이다.

요컨대, 학문 이론뿐만 아니라 자기 이상의 실현에서도 철저한 삶을 살았던 이론(인식)과 실천의 조화를 추구한 인물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널리 배우고, 깊이 묻고, 신중하게 생각하고, 분명하게 분석하고, 독실하게 실천했던, 살아 숨 쉬던 주희를 실제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혹은 주목하지 않았던 주희의 삶
: 행정개혁가로서 주희


중국어판으로 1082쪽, 한국어판으로 2400쪽(중국어판에 없는 260여 쪽의 부록 포함)에 이르는 분량이 말해주듯, 이 책은 어마어마한 두께의 책이다. 주희의 탄생에서 청소년기를 거쳐 학자로서의 삶,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의 인생이 아주 상세히 펼쳐진다. 그의 위대한 학문이 여러 학자와의 논변을 거쳐 완성되어가는 과정은 물론이고, 과거에 급제한 뒤 외직으로 보임되어 지방관으로서 펼친 행정, 그리고 평생 고종, 효종, 광종, 영종이라는 네 황제를 섬겼지만 조정에서 경연관으로 실제로 근무한 것은 고작 46일에 불과한 기간에 펼친 정치 이론이 생생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특히 우리가 그동안 잘 몰랐던 행정개혁가로서의 주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사실 짧은 기간에 주희가 펼친 행정은 중국사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음에도, 우리는 사상가로서 주희의 면모에 치중한 나머지 그가 남긴 행정적 업무 능력은 간과하고 있다.

주희의 과거시험 성적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그가 맡은 직책도 고위직은 아니었다. 그의 나이 24세 때 천주 동안현의 주부(主簿)로 부임하여 판적과 전세를 조사한 뒤 경계(經界, 토지 측량, 토지 경계 정비)를 시행하고자 했지만, 성사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나이 쉰(1179년)에 이르러 남강에 부임해서는 세금 감면과 부역 면제, 그리고 가뭄으로 인해 피폐해진 백성의 삶을 진작시키는 진황 정책을 눈부시게 성공시킨다. 1190년 장주에 부임해서는 경계가 시행되지 않는 것이 지방행정의 전체 폐단이라고 생각하고 조정에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렸다. 그가 올린 주장(奏章)은 통렬하고 절절하다. “관에서 이미 불법을 저지르고 아전이 또 간사한 짓을 합니다. 이 때문에 가난하고 약한 백성이 받는 피해가 더욱 큽니다. …… 만약 경계를 시행하지 않는다면 결코 이러한 병폐의 근원을 혁파할 방법이 없습니다.”(하권 18장. 460~461쪽) 마침내 그의 의견은 절충된 형태로 조정에 받아들여지지만, 얼마 안 있어 그마저도 조정 신료의 저지와 방해로 곧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논전의 일생 :
여러 학자들과 벌인 서신 논쟁에서 세 거인(주희, 여조겸, 육구연)의 역사적 회합까지


주희는 평생의 지기인 장식(張?), 여조겸(呂祖謙)뿐 아니라 진량(陳亮), 육구연(陸九淵)을 비롯한 당대의 학자들과 크고 작은 학술 논전을 거치면서 그의 이학 사상 체계를 집대성하였다. 주희는 한당의 경학, 송대의 이학(理學)을 두로 통섭하여 송대(宋代)의 신유학을 구축한 사상가로서 떠받들리고 있는데, 저자 수징난은 무엇보다 주희의 이학이 ‘인본주의 인간학’이라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에 따르면 주희는 낡은 천인합일의 문화 모형을 빌려 ‘인본(人本)’과 ‘이본(理本)’을 통일하였으며, 그의 체계에서 인본(人本)·심본(心本)·이본(理本)은 같은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주희에 대한 저자의 평가를 염두에 두고 주희가 펼친 논전을 살펴보면 그의 사상이 좀 더 새롭게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주희는 도가와 불가의 학문을 받아들이고 깊이 공부하여 ‘삼교합일(三敎合一)’을 이뤄냈다고 평가되는데, 저자는 주희가 젊은 시절 도가와 불교에 심취한 과정과 이를 각성하고 자아 반성을 하면서 도교와 불교를 날카롭게 비판한 일에 대해 서술한다.(물론 이 같은 비판은 주희 자신이 불교와 도교를 심도 있게 공부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요컨대 저자 수징난은 주자학이 불교와 도교를 융회했다는 사실에만 천착하지 않고, 역으로 당시 사회에 범람하던 불교와 도교에 반대하여 나왔다고 본 것이다.

장식의 호상학(湖湘學), 여조겸의 절학(浙學)과 끊임없이 논전하며 청산하는 과정, 한천(寒泉)·아호(鵝湖)·삼구(三衢)에서 여조겸, 육구연과 만나 유교·불교에 대한 논변을 거치면서 이학 사상의 일치와 경학 사상의 대립을 확인하는 과정, 진량과 벌인 의리(義理)·왕패(王覇) 논변, 그리고 육구연과 벌인 태극(太極) 논전 등, 수많은 논쟁은 그의 사상이 결코 홀로 완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수많은 시편에 나타난 주희의 고뇌와 학문적 총결
날카로운 정치 비판이 담긴 차자와 봉사


저자 수징난은 한당 유학과 북송 유학을 뛰어넘는 주희의 새로운 경학 체계가 완성해 나가는 과정뿐 아니라, 주희가 남긴 수많은 시편을 통해 그의 고뇌와 학문적 진보를 발견한다. 우리는 보통 경학사에서 『대학』·『중용』·『논어』·『맹자』 네 경을 오경학(五經學) 외에 독립적인 사서학(四書學)의 체계로 확립한 주희의 학문적 성취에 주목한다. 특히 『사서집주(四書集注)』의 경학 체계는 당시 전통적인 경(經) 해석 체계를 벗어난 독창적인 해석학이었기 때문에, 주희의 경부(經部) 저술이나 어류에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 책은 주희의 학문 발전 과정에 대한 서술은 물론이고, 그동안 소개되지 않았던 다양한 시편을 통해 주희의 생각의 흐름을 잡아낸다. 주희를 비롯하여 그와 관계한 문인이나 제자들의 시편도 감상할 수 있다. 은유와 비유로 지어진 시는 자칫 그 뜻을 헤아리기 어려운데, 저자는 이 시들에 담긴 뜻까지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젊은 시절 도교와 불교에 드나들면서 선(禪)의 기운이 충만한 시를 읊고, 자신의 학문적 성취를 정리한 시를 지으며, 육구연과 논쟁을 벌이면서 그의 심학을 비판하는 시를 짓고, 제자들과 함께 무이구곡을 유람하며 전원시의 간결하고 고상하며 생기 넘치는 「무이도가(武夷櫂歌)」(이 시는 당대의 많은 이들이 따라 지을 정도로 유명했다)를 원문과 함께 보여준다.

정치개혁가로서 주희의 모습은 그가 올린 차자(箚子)와 봉사(封事) 등을 통해 볼 수 있다. 특히 남송 사회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지적이고 냉정하게 비판한 「무신봉사(戊申封事)」뿐 아니라, 남강군의 지군으로서 효종에게 차자를 올려 읊어가는 장면은 그 자체로 긴박감이 감돈다. 주희는 이때의 장면을 위염지(魏?之)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6일에 등대하여서 처음에 치지격물(致知格物)의 도를 논한 첫째 차자를 읽었더니 임금의 얼굴빛이 온화하고 순수하며 메아리처럼 호응하셨습니다. 다음으로 복수의 의리를 논한 둘째 차자를 읽고, 언로가 꽉 막히고 영행(?幸, 아첨하면서 군주의 총애를 받는 신하)이 들끓는 문제를 논한 셋째 차자를 읽었더니 다시는 임금의 말이 들려오지 않았습니다.”(『문집』 권24 「여위원리」 서1)

수많은 자료의 발굴을 통해 엄밀하게 고증해낸 당시의 정치 사회 모습, 그리고 셀 수 없이 주고받은 많은 편지 속에서 드러난 열띤 학문 논쟁이 이 책에 생생하게 복원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束景南 집필… 中 긍정적 평가, 신안 주씨 종친회의 후원 받아


주희의 초상 그림
주희의 초상.

수징난 저장(浙江)대 명예교수가 1992년 펴낸 '주자(朱子)평전' 중국어판은 중국 학계에서도 주자 재평가의 계기가 됐다. 1960~1970년대 문화대혁명까지만 해도 주자는 "유심주의(唯心主義)의 파편을 흩뿌리는 도학 사기꾼"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이 책 출간 이후 '인본주의 인간학'이나 '중국 전통문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 반드시 연구해야 할 사상'이라는 긍정적 평가가 뒤따랐다.

이 책의 중국어판 출간 당시 한국의 '신안 주씨 중앙종친회(新安 朱氏 中央宗親會)'가 후원을 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신안 주씨의 시조가 주희의 증손인 주잠(朱潛·1194~1260)이라는 인연 때문에 당시 종친회장을 맡고 있던 주창균(1921~2012년) 일신제강(현 동부제철) 창업주가 재정적 지원에 나섰던 것이다. 주잠은 원의 침공으로 남송이 멸망하자, 동료 학사들과 함께 고려로 건너와 정착한 뒤 신안 주씨의 시조가 됐다. 수징난 교수는 난징(南京)대와 푸단(復旦)대에서 역사학과 중국 고대문학을 전공하고 저장대에서 송학(宋學)연구센터 교수를 지냈다. '주자평전'을 집필할 당시에는 단칸방에 살았는데, 집필 당시 딸이 태어나서 고서로 가득한 집이 더욱 좁아졌다고 한다. 저자는 책 후기에서 "딸아이에게 작은 놀이터 공간이나마 확보해주려고 부득불 늘 서서 글을 썼다"고 회고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박태근님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