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수퍼 파워' 중국의 內面을 읽는다] 공자를 앞세워, 西歐에 맞서다

굴어당 2011. 1. 19. 15:33

공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자
Confucius Tang Dynasty.jpg
중국 당나라의 화가 오도자가 그린 초상
이름 공구(孔丘)
출생 기원전 551년
중국 노나라 곡부 창평향(昌平鄕) 추읍(郰邑)
사망 기원전 479년
중국 노나라 곡부
시대 춘추 시대
지역 동양 철학
학파 유교의 창시자
연구 분야 윤리학, 정치학, 사회철학
주요 업적 유교

공자(孔子, 기원전 551년~기원전 479년)는 유가철학의 비조,유교의 시조(始祖)로 떠받들어지는 고대 중국의 정치가, 사상가이다. 노나라의 무관 숙랑흘의 둘째 아들이자 서자로 태어났다.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 공자의 자(子)는 경칭으로 '선생'이라는 뜻이 된다.

목차

[숨기기]
//

생애 [편집]

출생과 가계 [편집]

산둥 성의 공자 묘

공자는 노나라 곡부(曲阜)에서 떨어진 시골인 창평향(昌平鄕) 추읍(郰邑)에서 아버지 숙량흘과 어머니 안징재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숙량흘(叔梁紇)과 어머니 안징재는 결혼하지 않은 관계로, 그는 서자였다. 그러나 후대의 유학자들은 이를 정면으로 언급하기를 꺼리거나, 완곡한 표현으로 덮었다.

안징재는 숙량흘의 동료 무사이자 친구였던 안양(顔襄)의 셋째 딸이었다. 또한 숙량흘이 안징재를 만났을 당시 숙량흘은 70대였고 안징재는 13세의 소녀였다는 전설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공자의 조상은 전왕조인 은의 자손이 봉함을 받은 송나라의 공족이었으며 공자의 3대 전에 노나라로 옮겨왔다. 그의 집안은 송나라 왕실에서 연유된 명문 가문이었으나 몰락하여 노나라에 와서 살게 되었으며, 아버지는 시골의 무사였다. 아버지 숙량흘과 숙랑흘의 본부인 시씨(施氏) 사이에는 딸 아홉을 두고, 아들 하나를 두었다. 몸이 불편했던 이복 형 맹피(孟皮)는 딸 하나를 남기고 일찍 사망했다.

그의 자(字)가 중니(仲尼)가 된 것 역시 장남인 맹피에 이은 둘째 아들이라는 뜻이었다. 흔히 소개되는 공자의 가계는 보통 그의 아버지 숙량흘과 증조부 공방숙까지 언급되나, 후대에는 보통 공자를 시조로 간주하기도 한다.

소년 시절 [편집]

《사기》의 '공자세가'에는 공자의 키가 9척6촌(약288센티미터)으로 '장인'이라 불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공자는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아가 되었다.

기원전 549년 3세에 아버지 숙량흘이 사망하였다. 공자는 어머니 안징재를 따라 궐리로 이사하였다. 기원전 536년 결혼, 기원전 535년 어머니 안징재가 사망했다. 어머니가 사망하자 3년상을 마친 뒤 아버지 숙량흘의 묘소 옆에 안장하였다.

집안이 몹시 가난하였으나 마을의 늙은 선생 밑에서 열심히 공부를 하였다. 어릴 때부터 제사 흉내를 내며 놀았다고 하며 고실, 즉 예로부터의 종교의례·제도·관습에 밝았다고 한다. 이윽고 17세 때부터 말단 관리가 되어 일을 보면서 노나라의 대학에서 《시경》과 《서경》 등을 배웠고, 또 여러 가지 의식을 맡아보는 관리에게서 예법도 배웠으며, 음악도 배웠다. 공자는 《시경》과 《서경》의 저자인 주공을 청년 시절부터 사모하였고, 평생 동안 마음의 스승으로 모시게 되었다.

관료 생활 [편집]

공자는 30세쯤 되자 관리로서의 지위도 오르고, 또한 학문도 많은 진전을 보였다. 공자는 정치는 법률보다는 덕으로 다스려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무슨 일이든지 사람을 중심으로 생각하였다. 주공이 다스리던 시대처럼 예의가 바르고 평화로운 세상이 공자의 이상이었다.

중국 유랑 [편집]

36세 때 노나라에 삼환(맹손·숙손·이손의 권세가)의 난이 일어나 노나라의 왕 소공이 신하인 계씨에게 쫓겨나 제나라로 도망갔다. 공자도 그 뒤를 따라 기원전 517년에 제나라에 갔다. 공자는 제나라의 왕과 신하들에게도 여러 가지로 진리를 가르쳤다. 거기서 음악을 논하고 경공에게 정명주의적 정치 이상을 말하였다. 경공은 공자를 고문으로 용하여 이를 실시하려 했으나, 예절의 번잡함과 비현실적임을 지적하여 반대하는 대부 안영의 진언으로 좌절되었다. 이에 실망하여 2년 만에 귀국하여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46세 때 중도재가 되었다. 공자는 52세가 되었을 무렵 대사구로 지위가 올랐다. 그 이듬해에는 노나라의 정공을 따라 제나라와의 강화 회의에 참석하여 제나라에 빼앗긴 노나라의 땅을 돌려주도록 하였으며, 난신인 대부 소정묘를 죽였다(기원전 496년. 실제로는 그러한 적이 없다는 주장도 있다.). 이때 제나라에서는 사람을 몰래 숨어들어가게 하여 노나라를 위협하려고 하였으나 공자는 그것을 꿰뚫어보고 회의 장소에 들어가려고 하는 남자를 잡아서 화를 미리 막고 노나라에 유리하게 강화를 맺었다. 삼환씨의 세력을 꺾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계환자가 주위 나라의 계략에 속아 쾌락에 빠진 것을 만류하다가 대립하게 되었다. 이에 그의 큰 뜻을 이루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여 벼슬직을 사직한 후, 14년 동안 제자들과 온갖 고초를 무릅쓰고 위·송·조·정·진·태 등 여러 나라를 여행하였다.

정치 활동 [편집]

공자의 인망은 갑자기 높아져서 기원전 499년에는 최고 재판관으로 임명되었고 또한 외교관도 겸하게 되었다.

공자는 국정을 쇄신하기 위해 제멋대로 권세를 휘두르는 계씨를 타도하려고 여러 가지로 계책을 꾸몄으나 일이 막 성사되려는 단계에 가서 실패하고 말았다. 그 때문에 공자는 기원전 496년에 노나라를 떠나, 대여섯 명의 제자와 함께 자기를 등용해 줄 왕을 찾아 여행을 떠났다. 10년이나 걸린 이 방랑 생활은 공자에겐 가장 괴로운 기간이었다.

그러나 어느 나라에서도 공자를 오래 등용하지 않았다. 왕들은 올바른 길보다도 효과가 빠른 부국강병을 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공자는 자신의 이상이 지금 당장 실현되지 않을 것을 알자 미래에 희망을 거는 수밖에 없었다. 여기서 공자의 정치가로서의 생활은 끝나고, 교육가로서의 생활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교육 활동 [편집]

공자는 중국에서 예부터 전해 내려오던 고서들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수많은 제자들 중에서 안회, 자하, 자로 등이 유명하다. 또 원래 노나라에 있던 연대기를 《춘추》라는 으로 다시 편찬했다고 한다.

공자는 만년을 불행하게 지내다가(아들인 백어[1]가 50세로 죽고, 그 후에 가장 사랑하는 제자인 안회자로도 잇달아 죽었다. 공자는 "나를 이해해 주는 사람은 없어졌다"고 하며 슬퍼하였다.[2]) 애제자인 안자, 자로 등을 잃고 상심에 빠지기도 했다.

아들 백어가 사망하자 그는 며느리를 개가시켰고, 어린 손자를 양육하였다. 그의 손자 자사는 뒤에 공자의 애제자의 한사람인 증자를 스승으로 받들고 문하생이 되어 공자의 사상과 학맥을 이어나갔다.

만년 [편집]

아들과 애제자들을 잃고 상심에 빠진 공자는 고향인 곡부로 돌아와 후학 양성으로 만년을 보냈다.

72세가 된 해인 기원전 479년에 제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숨을 거두었다. 공자가 세상을 떠난 후 제자들은 스승이 남긴 어록을 모아서 《논어》라는 책을 저술하였다. 그리하여 공자의 가르침은 오랜 세월에 걸쳐 전해 내려와 천 수백 년에 걸쳐 중원과 동북아 사회의 정치, 윤리 도덕의 규범이 되었다.

사후 [편집]

738년 당나라 현종은 공자를 왕으로 추봉하여 '문선왕'(文宣王)의 시호를 내렸다. 1008년 송나라 진종은 시호 지성(至聖)을 추시하여 '지성문선왕'(至聖文宣王)이 되었다. 원나라에와서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이 되었다.

명나라 건국 이후에는 '지성선사'(至聖先師)라는 다른 별칭도 수여되었다. 1645년 '대성지성문선선사'(大成至聖文宣先師)의 칭호가 수여되었다.

사상 [편집]

정치관 [편집]

공자가 스승으로서 제자들의 교육에 임할 때 목표로 삼은 것은 '군자(君子)'의 양성이었다. 군자란 원래는 한 나라의 정치에 참여하는 능력과 자격을 겸비한 귀족계층의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었으나, 공자는 그러한 지위에 어울리는 도덕적 인격·정치적 능력을 지닌 사람으로 뜻을 확대하여 이러한 인재의 육성을 자기 교육의 목표로 삼았다. 교과서로는 춘추시대 이전의 여러 나라 민요나 주나라의 조정에서 의식이나 제사를 지낼 때 부르던 가요 등을 편집한 <시경(詩經)> 또는 주가 천명(天命)을 받아 왕조를 창시할 시기의 왕조의 기록류를 정리한 <서경(書經)> 등 전통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 쓰였으나, 한편 공자는 주의 권위가 쇠퇴하여 이윽고 땅에 떨어지는 춘추시대의 노나라 연대기 <춘추(春秋)>를 편술(編述)했다는 말이 있듯이 영고성쇠가 거듭되는 난세(亂世)를 지켜본 사람이기도 했다. 전통문화를 내용으로 하는 교과서와 난세의 양상을 띠기 시작한 현실을 응시하는 눈, 이 두 가지가 공자의 교육을 설명하고 있다.

인의예지 [편집]

공자의 군자교육(君子敎育)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인의예지'였다. 공자의 경우 '예'란 아직 훗날의 유교처럼 덕목(德目)의 하나는 되지 못했었다. 그것은 공자가 존경했던 주공에 의해서 대성한 중국 고대의 전통문화라는 것과 가깝고 종교의례·제도·관습을 그대로 개괄하는 말이었다. 공자는 주공의 시대, 즉 주왕조 창시기의 사회 본연의 모습을 재현시킴을 이상적 목표로 삼았다. 그는 그 이상목표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예(禮)의 학습·습득(習得)을 제자들에게 부과했던 것이다. 그러나 난세(亂世)에 살고 인간을 응시하는 눈을 가졌던 공자는 예가 지니는 의미를 그것을 실천하는 인간에게서 추구했으며 예를 실천하는 인간에게서 인간의 주체성, 즉 '인(仁)'을 발견했다. 공자 교육의 중심은 '인'의 완성이나 혹은 인간형성을 궁극목표로 했던 것이다. 이전 문헌에 나오는 인이라는 말은 남자답다든가 훌륭한 풍채, 외모의 아름다움을 뜻함에 불과했으나 여기서 비로소 공자에 의해서 특별한 뜻을 지니게 되었다고 하겠다.

공자의 사상의 핵심은 '인'으로서 스스로 이를 명백하게 규정하지는 않았으나, 대체로 박애,도(道),덕,선 등의 뜻을 지니고 있는 심오한 휴머니즘으로서, 정치적으로는 이름을 바르게 하고,이에 따라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책임과 본분을 다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 사회 생활에 있어서는 자기의 도리를 다하고[3] 남을 부축하며[4], 내가 싫은 것은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다는 것을 비롯한 여러 가지 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인을 지향하고 예에 정진하는 사람이 군자요, 그렇지 못한 사람은 소인으로서, 군자가 덕을 생각할 때 소인은 이익만을 생각하며, 군자가 보편적임에 비하여 소인은 상대적이라고 역설, 인간을 인간적으로 이분하여 생각하였다. 그러나 인은 공자 스스로도 감당하기 어렵다고 할 만큼 어려운 것임을 시사하였다.

'인'은 공자가 생각하는 인간의 최고 도,덕(德)이었다. 덕이란 인간에게서 기대되는 개개의 훌륭한 자질이라고 중국인은 생각하며, 동시에 그것은 영향력 내지는 인격력으로서 남에게 감화를 미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인의 정치사상에서 근간을 이루는 덕치주의(德治主義) 내지 정치에서의 도덕중심주의의 근거라고 하겠으며, 공자의 정치사상 근저에도 이 직관(直觀)이 있다. 그는 처음에 위정자 특히 최고 책임의 소재자(所在者)인 군주에 기대를 걸어 각국을 역방하면서 자기 주장을 설명했었다. 뛰어난 덕(德)으로써 백성을 다스리고 백성의 덕을 높여 그 결과 도덕이 고루 퍼져 세상이 저절로 평화가 된다는 바로 그것이 공자의 정치사상이었다. 그러나 이 사고방식은 난세(亂世) 아래의 제후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제자를 교육하고 제자들에게 '인'의 학습을 시킴으로써 고전(古典)의 지식이나 정치기술과 함께 인격적인 '덕을 겸비하는 군자가 되도록 하고, 그들로 하여금 정치의 요로에 참여케 함으로써 난세를, 유혈이 따르는 강권주의가 아니라 평화적인 방법으로 평정하려 했던 것이다.

그 자신은 예에 엄격하여 절도가 있었고, 엄숙, 온화, 원만한 성품을 지니고 있었다. 사상이 현실적이어서 상식적인 듯하면서도 매우 심오하며, 제자들을 교육함에 있어서 개인의 능력과 이해도에 따라서 적합한 방법으로 유도하여 성품을 개발시켰다. 그의 사상은 살아 있을 때 실현되지 못한 채 증자, 자사[5]를 거쳐 맹자에 이르러 활기를 띠고, 한 무제 이후 중국 사상계를 지배한 가장 커다란 조류를 이루었으며, 한국·일본 등 중국의 주변 국가에게도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

가정의 불행 [편집]

공자는 3세에 아버지를 잃고 생모 안징재와 살았으나 안징재 역시 소년기에 사망했다. 만년에 그의 아내는 제사상에 육포(肉脯)를 올리지 않았다는 이유로 출처하였다. 그러나 외아들인 백어 마저 공자 자신보다 일찍 사망했다.

백어의 두 부인 역시 이름과 성씨, 친정에 대한 기록이 없다. 백어의 가정생활 역시 순탄치 못하여 첫 며느리를 출처하였고, 그 뒤에 얻은 며느리에게서 손자 공급을 본다. 그러나 백어가 사망하면서 새 며느리 역시 어린 손자를 그에게 남겨두고 서씨(庶氏) 집안으로 재혼하였다.

기타 [편집]

  • 공자의 문하에서 성선설(맹자)과 성악설(순자)이 탄생하였다.
  • 보통 유교는 제자 중 증자-자사로 이어지는 학파를 유교의 적통 학파로 간주한다. 맹자는 공자의 손자이자 증자의 제자였던 자사의 손제자(제자의 제자) 중의 한사람을 스승으로 하여 학맥을 이어나갔다. 따라서 공자-증자-자사-맹자로 이어지는 학파가 형성되었다.
  • 공자의 제자 중의 한사람인 자궁(子弓)의 제자로 이어지는 학파에서 순자가 나왔다. 유교의 한 학파를 형성하였으나 자궁순자 등으로 이어지는 학맥에서는 전국시대이사, 상앙 등의 법가로 발전했다.
  • 곡부 공씨는 공자 이전에도 선조가 있었으나, 가문을 본격적으로 일으킨 공자를 시조로 간주한다.
  • 한국의 공씨는 원나라 때 고려로 건너온 공자의 후손 공소(孔紹)를 시조로 한다. 원나라 순제의 조정에서 한림원학사를 지낸 공소는 원나라의 멸망의 조짐이 보이자 고려로 건너왔고 한국 공씨들의 선조가 되었다.
  • 당나라 현종 때 문선왕으로 추존된 이후 공자를 모신 사당은 문묘(文廟)로 부른다. 신라시대에 한국으로 문묘가 전래되었으며, 이후 고려, 조선에 가서는 성균관에 공자의 사당을 모시므로 문묘는 한국에서는 성균관의 다른 별명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공자의 제자 [편집]

공자의 친족관계 [편집]

곡부 공씨.png

  • 증조부 : 공방숙
  • 아버지 : 숙량흘
  • 어머니 : 시씨, 아버지 숙량흘의 본부인
    • 이복 누나 9명
    • 이복 형 : 맹피
      • 조카딸 1명
  • 어머니 : 안징재
  • 처 :
    • 아들 : 공리, 자는 백어, 50세에 그보다 일찍 사망하였다.
    • 며느리 : 미상, 공리의 사후 개가하였다.
  • 외조부 : 안양, 노나라의 무사
    • 이모 2명

관련 인물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위키인용집
위키인용집에 이 글과 관련된 인용문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주석 [편집]

  1. 혹은 리라고도 한다
  2. 顔淵死.子曰,"噫! 天喪予! 天喪予! 非夫人之爲慟而誰爲慟"
    안연이 죽었다. 공자 왈, "하늘이 나를 버렸구나, 하늘이 나를 버렸구나. 그 사람(안연)을 위해서 애통해 하지 않고 누구를 위해 애통해 하겠는가.

    – 《論語》, 先進第十一:9-10장

  3. 진기(盡己)
  4. 추기(推己)
  5. 공자의 손자:<중용>의 저자로 알려졌다.
Crystal Clear app linneighborhood.png 이 문서에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수퍼 파워' 중국의 內面을 읽는다] [4] 부활하는 전통사상
'儒·佛·道' 전통학문 열풍
베이징大 國學 최고위 과정 1500만원 들여 論語 공부
"서방의 경영이론은 術뿐… 道가 없어 중국에 안맞아"
中은 지금 '공자 르네상스' 전통 중화문명 회귀하는 중지난 14일 오후 베이징 교외 창핑(昌平)의 룽청리궁(龍城麗宮)국제호텔. 중국 전역에서 온 기업 CEO와 지방정부 간부 등 100여명이 2층 회의장에 모였다. 강사는 '천하체계(天下體系)' '나쁜 세계 연구' 등의 저서를 갖고 있는 자오팅양(趙汀陽·50) 중국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연구원. "천하이론은 국가가 아니라 세계 전체를 하나의 정치 단위로 파악한다. 칸트의 구상이 현실화된 UN은 민족·국가 간의 협상기구일 뿐 정치 단위가 아니다." 자오 연구원은 고대 중국의 '천하' 관념을 현대 국제정치에 적용, "천하를 얻기 위해선 패권이 아니라 민심을 얻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학원의 철학·국제정치학 과목 같은 이 강좌는 베이징대가 2009년 8월 기업인을 위한 1년짜리 국학(國學) 최고위 과정으로 개설한 '삼지도상국학원'의 하나다. '삼지도상국학원'은 "서방의 기업 관리이론이 '술(術)'에 치우치고 '도(道)'가 결핍돼 중국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많았다"면서 "유교와 불교, 도교의 세 가지 전통학문[三智道]을 학습·실천함으로써 인생과 우주에 대한 성현(聖賢)의 통찰력을 배운다"는 목표를 내세운다.

베이징 천안문광장 근처 중국국가박물관 앞에 들어선 높이 9.5m 청동 공자상 앞에서 관광객이 사진을 찍고 있다. /최유식 특파원 finder@chosun.com

수업은 한 달에 사흘씩 모두 12번을 하는데 중국 유명 대학뿐 아니라 타이완·홍콩·미국 등의 저명한 학자들까지 강사로 모신다. 중국에서 '국학의 대부(代父)'로 꼽히는 탕이제(湯一介) 베이징대 철학과 종신교수를 비롯해 두웨이밍(杜維明) 미국 하버드대 교수, 자오린링(趙琳玲) 타이완 동우(東吳)대 교수 등이 강사진에 포함돼 있다. 강좌 내용에는 '논어' '맹자' '도덕경' '주역' '금강경' 독해는 물론 공자의 고향 산둥성(山東省) 취푸(曲阜)의 공자 사당을 비롯한 불교·도교 성지를 방문하고 참선과 양생법을 배우는 현장 학습도 들어 있다.

수업료는 1년에 8만위안(약 1500만원)으로 매우 비싼데도 강좌를 들으려는 기업인들로 붐빈다. 소프트웨어 회사 SAP 차이나의 장시아(張俠) 총경리는 2009년 10월에 2기반으로 입학, 1년간 강의를 들었다. 장 총경리는 "당대 최고의 학자들로부터 직접 국학을 배우기 때문에 매우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삼지도상국학원 관계자는 "모집 대상을 한정했는데도 매기(期) 50명씩 이제까지 450명이 등록했다"며 "오는 3월 한 반을 더 모집하는데 벌써 절반 넘게 충원됐다"고 말했다. 이날 수업을 참관한 변호사 마쑤앙치앙(馬雙强)씨도 "기회를 봐서 나도 등록하고 싶다"고 했다.

지난 11일 베이징 천안문광장 옆 국가박물관 앞에 새로 들어선 높이 9.5m짜리 청동 공자(孔子)상은 벌써 이름난 사진 촬영 장소가 됐다. 마오쩌둥 초상화가 걸린 천안문과 비스듬히 마주 보는 공자상 근처를 지나는 행인들은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동상을 담기에 바빴다. 50대 후반의 관광객은 "허리 아래를 저렇게 거칠게 처리하다니 조각이 잘못됐어!"라며 즉석 논평을 내놓았다.

베이징대가 개설한‘삼지도상국학원’을 수강하는 기업인들이 산둥성 취푸(曲阜)의 공자 사당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지난 2001년 베이징의 런민(人民)대에 세워진 높이 3.3m의 청동 공자상은 중국의 공자 르네상스를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당시 결단을 내렸던 지바오청(紀寶成) 인민대 총장은 "공자상을 세우는 것은 정치적 용기가 필요했다. 어떤 분이 전화를 걸어와 공자상을 세우는 돈을 기증하고 싶은데, 세울 수 있겠느냐고 물었다. 바로 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대학 캠퍼스 내에 공자상이 들어선 것은 런민대가 처음이었고, 이듬해 산둥(山東)대에서 좀 더 큰 대리석 공자상을 세웠다. 런민대는 한 걸음 더 나아가 2005년 9월 '국학원(國學院)'을 세워 철학·역사 등 전통 학문 전문가를 길러내기 시작했다. 유가(儒家), 도가(道家), 불가(佛家), 묵가(墨家) 등을 연구하는 6년짜리 학·석사 통합 과정이다. 칭화(淸華)대, 베이징대도 잇따라 국학원을 만들었다. "요즘 젊은이들은 할리우드 영화는 많이 보지만 사마천이 누구인지, 굴원이 누구인지는 모른다. 그래 놓고 토플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면 뭐하나." 국학원장을 겸직하는 지 총장은 기회 있을 때마다 전통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중국은 작년에 350억원을 들여 블록버스터 영화 '공자'를 만들었고, 중국 언론은 잇달아 '공자 신드롬' 특집을 쏟아냈다. 지난 2008년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은 공자 부활의 정점이었다. 공자의 3000명 제자들이 논어를 외우며 등장하는 장면은 장관이었다. 21세기 '국학 열풍'의 특징은 공자와 유교뿐 아니라 불교와 도교까지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점이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 100년 동안 서방으로부터 마르크스주의와 자본주의를 배워온 중국이 이제 전통적 중화문명으로 유턴하고 있는 셈이다.


['수퍼파워' 중국의 內面을 읽는다] 인사이드 ☞ 바로가기

,,,,,,,,,,,,,,,,,,,,,,,,,,,,,,,,,,,,,,

공자가 팔린다… 중국 고전 베스트셀러로

 

요즘 중국 서점들의 베스트셀러 코너에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연설과 인터뷰에서 인용한 중국 고전시문(古典詩文)을 편집한 신간 '온문이아'가 쌓여 있다. 작년 9월 출간된 이 책엔 '고전시문을 읽고, 정치의 지혜를 깨닫자'는 부제가 달렸다. 지난 2006년 중국 관영 CCTV의 교양 프로그램 '백가강단(百家講壇)'에서 '논어' 강의로 일약 스타가 된 위단(于丹) 베이징사범대 교수의 '논어심득(論語心得)' '장자(莊子)심득'도 아직 인기리에 팔리고 있다.

'논어심득'은 해적판까지 포함해 1000만부가 팔렸다. '인생의 길' '마음의 길' '처세의 길' '교우의 길' 등 일곱 가지 주제 아래 논어의 주요 내용을 현대인의 생활과 접목시키고 적절한 사례를 곁들여 설명하는 점에서 이 책은 자기계발을 강조하는 실용서의 성격을 갖는다. 논어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하면서 초등학교에서 논어(論語)를 읽고, 공자의 삶과 논어의 내용을 담은 청소년용 교양 만화·애니메이션도 활발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위단에 앞서 이중톈(易中天) 샤먼(厦門)대학 교수가 역시 '백가강단'에서 했던 '품삼국(品三國)'이라는 제목의 삼국지 강의도 전통사상에 대한 중국 사회의 높아진 관심에 힘입어 큰 반향을 일으켰고 책으로 출간됐다. 이중톈은 이 강연에서 중국 정사(正史)에 기록된 사료를 바탕으로 나관중 소설 '삼국지연의'의 허구를 지적하는 등 소설적 재미보다는 삼국시대 중국사를 대중에게 정확히 이해시키는 데 무게를 두었다.

,,,,,,,,,,,,,,,,,,,,,,,,,,,,,,,,,,,,,,,,,,,,,,,,,

논어

세계 공자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