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6回, 遁村 漢詩白日場 開催 要綱
경기도 옛 廣州郡을 本鄕으로 하는 廣州李氏의 중시조 遁村 李 集(1327~1387 / 고려말 성리학자, 墓所. 경기도기념물 제219호) 선생의 孝行과 忠節을 추모하는 ‘제6회, 遁村 漢詩白日場’을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江湖諸賢과 漢詩 同好人 및 漢學者 여러 분께서 다수 참여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1. 日 時 : 2011. 5. 21(토) 11:00~
2. 場 所 : 둔촌 사당 추원제(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소재)
※우천시 둔촌 사당 입구 중원청소년수련관 체육관
3. 主 催 : 성남문화원
4. 後 援 : 성남시, 한국한시협회, 광주이씨 대종회
광주문화권협의회(광주․성남․하남문화원), 둔촌 연구회
5. 詩 題 : 初夏訪追遠齋
6. 押 韻 : 天, 連, 筵, 0, 傳 (미발표 押韻은 행사 당일 발표)
7. 考選基準 : (사)韓國漢詩協會 考選 準則에 따름.
8. 作詩磨勘 : 當日 11時부터 作詩하여 12時30分까지 執行部에 提出
9. 考選試官 : 斯界 權威者
10. 申請書 提出 : 전화, 팩스, 우편, 방문 제출 ( 5. 13일까지 150명 先着 마감)
- 전화 : 031) 756-1082, 1028 / 팩스 : 031) 756-1056
- 주소 : (461-161)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신흥1동 6926 성남문화원
- 이메일 주소 : culture1082@hanmail.net
11. 施 賞 :
장 원 |
차 상 |
차 하 |
참 방 |
1 명 |
2 명 |
3 명 |
20 명 |
12. 賞狀 및 賞金 :
구 분 |
장 원 (성남문화원장) |
차 상 (한국한시협회장) |
차 하 (광이도유사상) |
참 방 (광이도유사상) |
일반부 |
100만원 |
각 50만원 |
각 30만원 |
각 5만원 |
계 |
100만원 |
100만원 |
90만원 |
100만원 |
총합계 |
390만원 |
13. 施 賞 式 : 當日 現場 發表 및 施賞
14. 參 考 : 詩會場에는 字典 및 詩海韻珠만 持參 許容됨.
15. 問議 및 參加 方法 案內
- 試紙 및 筆記具는 提供함
- 當日 參加者 全員에게 中食 및 紀念品 提供
- 本 要綱을 받으신 분은 同好人에게 권하시어 많은 분이 參加하도록
協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仔細한 事項은 성남문화원(031-756-1082)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성남문화원 홈페이지 http://www.seongnamculture.or.kr 자료실에
제6회, 둔촌 한시백일장 참가 신청서 (양식) 게재
- 전화 : 성남문화원 031)756-1082, 1028
한국한시협회 02)765-5675, 5677
성 남 문 화 원
제6회, 둔촌 한시백일장 참가 신청서 | |||
주 소 |
| ||
성 명 |
(한글) (한문) | ||
아 호 |
(한글)
(한문)
|
생년월일 |
|
전화번호 |
|
핸드폰 |
|
상기와 같이 제6회, 둔촌 한시백일장에 참가하고자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2011년 월 일
성 명 (인)
성남문화원장 귀하
|
城南文化院 NO. |
|
|
NO. | ||||||||||||||||||
尾 聯 |
頸 聯 |
頷 聯 |
首 聯 |
※ 詩 文 右 側 吐 音 ․ 解釋을
반 드 시
기재할 것 |
|
電話 |
姓名 |
住所 |
詩 題 ‥ 初 夏 訪 追 遠 齋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傳 |
전 |
|
|
○ |
|
|
|
筵 |
연 |
|
|
連 |
연 |
天 |
천 | ||||||
郵便 番號 |
雅號 | ||||||||||||||||||||
|
|
|
|
|
|
|
| ||||||||||||||
|
|
성남 둔촌 사당 찾아오시는 길
▣ 주 소 :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 75 (아튼빌아파트 뒤)
▣ 교통편 : 분당선ㆍ8호선 모란역 하차 버스로 환승
2번 출구 : 55, 55-1, 60
7번 출구 : 88, 31-3, 52, 3-3(마을버스)
- 아튼빌 아파트 정문 하차 둔촌 사당 방향 도보로 500m
둔촌 사당 추원제 |
대원공원 |
▣ 성남문화원 : 전화 031) 756-1082, 1028 / 팩스 031) 756-1056
이집(李集) (1327~1387)
자 : 호연(浩然), 호 : 둔촌(遁村)
둔촌선생(遁村 先生)은 1327년 광주(廣州)에서 부친 당(唐)의 이자(二子)로 태어나시니, 초명(初名)은 원녕(元齡)이고, 자(字)는 성노(成老)요, 호(號)를 묵암자(墨巖子)라 하였다.
충목왕3년(忠穆王3年) 21세(歲)에 진사시(進士試)에 급제(及第)하시고, 이어 공민왕4년(恭愍王4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시어 영주(寧州) 태수(太守)를 시작으로 여러 벼슬을 거치시어 봉순대부(奉順大夫)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이르셨다.
둔촌 선생의 효도(孝道)와 우애(友愛)하는 행실(行實)은 가정(家庭)에서 나타나셨고, 충의(忠義)와 절개(節槪)는 나라에 極盡하셨다.
학문(學問)이 높고 도학(道學), 성리학(性理學)의 유종(儒宗)으로 당시 선비들의 추앙(推仰)을 한 몸에 받고, 삼은(三隱: 목은<牧隱>, 포은<圃隱>, 도은<陶隱>)과 무불경중(無不敬重)하셨고, 팔청(八淸) 구일(九逸)과 도우(道友)로써 사귀시었다.
역승(逆僧) 신돈(辛旽)이 오역(忤逆)한 까닭으로 환난(患難)을 피하여 영천(永川) 천곡(泉谷) 최원도(崔元道)가(家)에 머무르시다 부친(父親)이 돌아가시니, 천곡(泉谷)은 친장(親葬)을 모시듯 정중히 장례(葬禮)하였다.
신돈(辛旽)이 주살(誅殺)된 후, 이름을 집(集)으로 자(字)를 호연(浩然)으로, 호(號)를 둔촌(遁村)으로 개명(改名)하시고,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봉직(奉職)하시다 벼슬을 사직(辭職)하시고, 천녕현(川寧縣)으로 낙향(落鄕)하시어 후학(後學)을 지도하시며, 주경야독(晝耕夜讀)하시다 우왕13년(禑王13年) 향수(享壽) 61세(歲)로 돌아가셨다.
슬하(膝下)에 세 아드님과 따님 한 분을 두셨는데, 큰 아드님은 청백리(淸白吏)로 형조참의(刑曹參議), 보문각직제학(寶文閣直提學)을 지내신 휘 지직(諱 之直)이시고, 둘째 아드님은 세종(世宗)의 스승이 되어 세종(世宗)을 성군(聖君)으로 인도한 문숙공(文肅公) 휘 지강(諱 之剛)이시고, 셋째 아드님은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지낸 휘 지유(諱 之柔)가 계시며, 따님은 강릉인(江陵人)으로 태조(太祖)를 도와 개국공신(開國功臣)이 된 옥천부원군(玉泉府院君) 유창(劉敞)이시다.
유고(遺稿)로는 둔촌잡영(遁村雜影)과 화해사(華海師)가 전하여져 내려오고 있다.
조선조(朝鮮朝) 성종(成宗)때 숭록대부(崇祿大夫)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追贈)되시고, 현종10년(顯宗10年) 광주(廣州) 사림(士林)이 암사강변(岩寺江邊)에 구암서원(龜巖書院)을 짓고, 주벽(主壁)으로 모시니, 숙종23년(肅宗23年) 사액서원(賜額書院)이 되었다.
遁村 李集 年表
高麗朝 忠肅王(14年) : 1327年 廣州에서 父親 唐의 二子로 태어나심
(初名은 元齡이었고, 字는 成老, 號는 墨巖子
또는 南川이라 했다)
忠穆王(3年) : 1347年 21歲 進士試 三等으로 及第
恭愍王(4年) : 1355年 文科 七等으로 及第
(李公遂, 安輔를 知公擧, 同知公擧로 함)
恭愍王(6年) : 1357年 寧州 太守(오늘의 天安)
(山寺에서 竹林 住持를 보내며......)
恭愍王(8年) ~ 恭愍王(12年) : 倭寇 侵入 및 紅巾賊의 難으로 隱居
恭愍王(14年) : 1365年 辛旽의 登用
恭愍王(17年) : 1368年 辛旽을 彈劾함으로써 永川 崔元道家로 避身
恭愍王(18年) : 1369年 父親 生員公 永川에서 卒
(崔元道 母夫人 傘下에 모심)
恭愍王(20年) : 1371年 辛旽의 誅殺로 永川에서 松都 玄化里로 住居를 옮김
(이름을 集으로, 字를 浩然으로, 號를 遁村으로 改名)
禑王(1年) : 1374年 合浦巡問使 田綠生 幕府에 幕僚로 從軍
禑王(2年) : 1375年 奉順大夫 判典校寺事
禑王(4年) : 1377年 벼슬을 辭職하고 川寧縣으로 落鄕
禑王(6年) : 1380年 長子 之直 文科 亞元 及第
禑王(8年) : 1382年 次子 之剛 文科 及第
禑王(13年) : 1387年 川寧縣에서 돌아가시다
恭讓王(1年) : 1389年 三子 之柔 文科 及第
太宗(8年) : 1410年 長子 之直에 의하여 遁村雜影 發刊
(浩亭 河崙이 序文을 짓다)
朝鮮朝 成宗 : 崇祿大夫 議政府 左贊成에 追贈
顯宗(10年) : 1669年 岩寺 江邊에 士林에서 龜巖書院 建立
肅宗(23年) : 1697年 賜額書院으로 되다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조·광해군·인조 때도 궁궐로 사용 일제 때 전각 없애고 절반 크기 축소. 경기여고 자리에 복원되는 덕수궁 (0) | 2011.04.30 |
---|---|
낙시대 없이 고기잡기 (0) | 2011.04.30 |
송가황조(宋家皇朝)를 이룬 찰리 송 .송애령과 공상희.송경령과 손문.송미령과 장개석 (0) | 2011.04.29 |
미국 턱밑까지 오른 일취월장 중국 군사력 (0) | 2011.04.29 |
중원을 품은 인재의 보금자리 .한국의 신 인맥 지도 | 충북 보은·옥천·영동·증평·진천·괴산·음성 (0) | 201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