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소우(小雨) |
이색(李穡)
가랑비 보슬보슬 작은 마을 어두운데 / 細雨濛濛暗小村
남은 꽃 한 잎 한 잎 빈 동산에 떨어지네 / 餘花點點落空園
한가로이 살매 유연한 흥을 한껏 얻나니 / 閑居剩得悠然興
손님 있으면 문을 열고 가면 도로 닫는다 / 有客開門去閉門
,,,,,,,,,,,,,,,,,,,,,,,,,,,,,,,,,,,,,,,,,
| ||||
![]() | ||||
소우(小雨) |
가랑비는 자욱이 내려 작은 마을 어둑하고 / 細雨濛濛暗小村
남은 꽃들은 점점이 빈 정원에 떨어지는데 / 餘花點點落空園
한가한 가운데 유연한 흥취 진진도 해라 / 閑居剩得悠然興
손이 오면 문 열고 손이 가면 문 닫노라 / 有客開門去閉門
길고 가벼운 옷자락 바람 살살 일으킬 제 / 長袖輕裾細細風
관현악 소리에 화려한 집 떠나갈 듯하여라 / 管絃聲動畫堂中
선생은 꽃 앞에서 술 마시긴 익숙지 않아 / 先生不慣花前飮
가랑비가 시 재촉하니 흥이 절로 농후하네 / 小雨催詩興自濃
밭갈기 알맞은 비가 도롱이에 가득한데 / 一犁微雨滿簑衣
농부가 행화촌 밖에서 돌아오는구나 / 人自杏花村外歸
농사에 힘써 나라에 바침을 한하지 마소 / 莫恨力田供國用
예로부터 추환은 한 몸만 살찌게 한다네 / 古來芻豢一身肥
[주D-001]행화촌(杏花村) : 두목(杜牧)의 〈청명(淸明)〉 시에, “얘야 술집이 어드메 있느냐고 물으니, 목동이 멀리 살구꽃 핀 마을을 가리키네.[借問酒家何處在 牧童遙指杏花村]” 한 데서 온 말로, 술집을 가리킨다.
[주D-002]추환(芻豢) : 추는 초식(草食)하는 가축이고 환은 곡식 먹는 가축으로서 모두 육류(肉類)를 가리킨 것으로, 전하여 녹봉(祿俸) 먹는 벼슬아치를 의미한다.
[주D-002]추환(芻豢) : 추는 초식(草食)하는 가축이고 환은 곡식 먹는 가축으로서 모두 육류(肉類)를 가리킨 것으로, 전하여 녹봉(祿俸) 먹는 벼슬아치를 의미한다.
,,,,,,,,,,,,,,,,,,,,,,,,,,,,,,,,,,,,,,,,,,,,,,,
小雨(소우) - 李穡(이색)
가랑비는 내리는데
細雨濛濛暗小村(세우몽몽암소촌) : 보슬비 보슬보슬 마을은 어둑하고
餘花點點落空園(여화점점낙공원) : 남은 꽃들 여기저기 빈 뜰에 떨어진다
閑居剩得悠然興(한거잉득유연흥) : 한가히 사노라니 여유로운 이 멋
有客開門去閉門(유객개문거폐문) : 손님 오면 문 열고, 손님 가면 문 닫네
'http:··blog.daum.net·k2g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靑剛'은 '백청강'이다 (0) | 2011.06.28 |
---|---|
세계의 산맥 (0) | 2011.06.27 |
일본이 8,15 패망 전후의 생생한 기록사진 (0) | 2011.06.27 |
12회 김경식의 <역사문학기행>공지 -- 경남 함양 (0) | 2011.06.27 |
Re 陸龜蒙詩全集共五百四十一首 (0) | 2011.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