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두보 배율 연구,강민호 지음,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굴어당 2014. 9. 29. 13:31

 

 

두보 배율 연구

 

두보 배율 연구

저자
강민호 지음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14.06.05
형태
판형 규격外 | 페이지 수 625 | ISBN
ISBN 10-8952114175
ISBN 13-9788952114174
정가
35,000

《두보 배율(排律) 연구》는 그간 간과되어온 두시의 형식미를 꼼꼼히 짚어낸 책이다. 시적 기법을 시문 하나하나 예로 들어 쉽게 설명하고 있어서, 두시 연구자뿐만 아니라 두보의 시를 온전히 이해하려는 일반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저자 : 강민호
저자 강민호(姜旼昊)는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전임대우강의교수로 재직중이다. 《두보 시의 전범화(典範化) 양상과 영향》, 《중국 고전시의 대장(對仗) 미학에 대한 재고(再考)》, 《압운(押韻)의 미학으로 본 차운시(次韻詩)의 특성에 대한 연구》 외 다수의 소논문이 있다.

[교보문고 제공]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기존의 연구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배율의 형성과 초성당 배율의 발전
1. 배율의 발생
1) ‘배율’이라는 명칭의 유래와 의미
2) 배율의 발생 배경: 대우 존중의 전통, 부와 변려문의 영향
3) 위진남북조시대 배율의 초기 형태
2. 배율의 발전과 시체상의 특징
1) 당대 배율의 발전 배경: 궁정시와 과거제도
2) 배율 격률의 발전과 완성
3) 배율에 대한 인식과 시체상의 특징
3. 초당의 배율
1) 초당 전기 작가와 작품 경향
2) 초당 후기 작가와 작품 경향
4. 성당의 배율

제3장 두보 배율의 제재상의 성취
1. 기증?교유시류: 기증 대상의 확대, 제재의 일상화
1) 간알시
2) 화답시와 유연시
3) 기증시
4) 송별시
5) 만가
2. 사경?영회시류: 서정성의 강화
1) 기행?사경시
2) 영회시
3. 시사?의론시류: 의론의 시도
1) 시사(時事)?의론시
2) 제화시
3) 논시시(論詩詩)
4. 소결: 배율 운용의 일상화?다양화

제4장 두보 배율의 형식 운용상의 특징
1. 장법: 정제 속의 변화
1) 엄정한 장법의 추구: ‘서두-본문-결미’의 구조
2) 변화의 추구: ‘돌올-번등-일탕’지필의 가미
2. 대장: 관대의 미학
1) 대장의 지향과 파괴
2) 다양한 대장구의 활용
3. 평측과 압운
1) 평측의 운용
2) 압운의 양상
4. 용전
1) 전고 사용의 확대
2) 제재에 따른 전고의 다과
3) 전고의 다양한 활용
4) 전고 사용 위치상의 특징: 끝 2구에서의 다용
5. 소결: 배율 난점의 미학적 승화

제5장 두보 배율의 영향 및 평가
1. 두보 이후 배율의 전개와 두보 배율의 영향
1) 중만당의 배율
2) 송대 이후의 배율
3) 한국의 배율
2. 두보 배율에 대한 평가
1) 배율의 압권?관지
2) 포폄의 공존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