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경성부 옛지명

굴어당 2013. 8. 21. 13:17

 

http://www.searchland.co.kr/info/info3_view.asp?no=391

제목경성부 옛지명

서울 행정구역(行政區域)의 변천 우리문화우리역사 

1394년 한양으로 천도한 이태조는 다음해인 1395년 6월 6일에는 한양부를 한성부라 하였으며 9월에는 종묘 · 사직 · 궁궐을 완성하였고, 다음해인 1396년에는 백악산 · 낙산 · 목멱산 · 인왕산을 연결하는 약 18㎞의 도성을 쌓았으며 한성부의 행정구역을 5부(동부 · 서부 · 남부 · 북부 · 중부) 52방으로 하고 각 방에는 방명표를 세우게 하였다.[註38] 이 때에 각 부의 방명은 다음과 같다.

「동부 12방:연희방(燕喜坊), 숭교방(崇敎坊), 천달방(泉達坊), 창선방(彰善坊), 건덕방(建德坊), 덕성방(德成坊), 서운방(瑞雲坊), 연화방(蓮花坊), 숭신방(崇信坊), 인창방(仁昌坊), 관덕방(觀德坊), 흥성방(興盛坊)
남부 11방:광통방(廣通坊), 호현방(好賢坊), 명례방(明禮坊), 대평방(大平坊), 훈도방(勳陶坊), 성명방(誠明坊), 악선방(樂善坊), 정심방(貞心坊), 명철방(明哲坊), 성신방(誠身坊), 예성방(禮成坊)
서부 11방:영견방(永堅坊), 인달방(仁達坊), 적선방(積善坊), 여경방(餘慶坊), 인지방(仁智坊), 황화방(皇華坊), 취현방(聚賢坊), 양생방(養生坊), 반석방(盤石坊), 신화방(神化坊), 반송방(盤松坊)
북부 10방:광화방(廣化坊), 양덕방(陽德坊), 가회방(嘉會坊), 안국방(安國坊), 관광방(觀光坊), 진정방(鎭定坊), 순화방(順化坊), 명통방(明通坊), 준수방(俊秀坊), 의통방(義通坊)
중부 8坊:정선방(貞善坊), 광행방(廣幸坊), 관인방(寬仁坊), 수진방(壽進坊), 징청방(澄淸坊), 장통방(長通坊), 서린방(瑞麟坊), 견평방(堅平坊)」

그런데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서부의 영견방과 인지방, 취현방의 3방을 폐지하여 49방으로 하였다.[註39] 이와 같은 49방제도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변동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중종때까지는 변동이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어느 때에 변동되었는지 확실한 것은 알 수 없으나[註40] 동부에서 연희방 · 천달방 · 덕성방 · 서운방 · 흥성방 등 6개방을 폐지하여 12개방에서 6개방으로 되었으며, 남부는 성신방 · 정심방 · 예성방 등 3개방을 폐지하고 두모방 · 한강방 · 둔지방 등 3개의 방을 신설하여 방수는 변함없이 11개방이었다. 서부에는 신화방을 폐지하고 용산방과 서강방을 신설하여 9개방이 되었으며, 북부에는 명통방을 폐지하고 새로 상평방 · 연은방 · 연희방[註41]을 신설하여 12개방이 되었고 중부에는 8개방이 변함없었다. 따라서 영조시대의 한성부는 5부 46방이었으며 그 밑에 328계(契)를 두었다. 그 후 고종 2년에 반포한 육전조례에는 동부에 경모궁방(景慕宮坊)이 신설되어 47방이 되었으며 계도 11개가 증가되어 339계가 되었다.
조선 초기의 한성부 관할구역은 도성으로부터 사방 10리까지로 하였으나 대부분의 인구가 도성내에 집중되어 있었으므로[註42] 각 방들도 도성내에 많았으며 도성외에는 서대문 밖의 서부 반송방과 서소문 밖의 서부 반석방 그리고 동대문 밖의 개천이북 일대에 동부 숭신방 · 인창방과 그 이남에 남부 예성방 · 성신방 등 6방이 있을 정도였다. 즉 도성으로부터 10리내의 지역에는 국초부터 산림보호의 목적으로 개발을 제한하여 집을 짖는 것은 물론 장례와 벌목을 금했으며 입산금지의 표를 세워 목근(木根), 초근(草根)의 채취나 토석굴취(土石堀取) 등을 모두 금했으므로[註43] 동대문 밖과 서대문 밖의 대로변과 거주가 편리한 평탄한 곳에만 취락을 이루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많은 이농자들이 전국각지에서 서울로 모여들어 도성내에서 더 정착할 수 없어 성밖에 흩어져 살게 되었으며 또한 한강연안의 용산, 마포, 서강, 동작, 서빙고, 두모포 등이 경제적으로 크게 발달하면서 인구가 증가하여 인구가 희소한 종래의 방을 폐지하고 인구가 조밀한 성외에 새로운 방을 설치하게 되었던 것이다.[註44]
고종 2년(1864)에 발간된 『육전조례』에는 동부의 경모궁방이 신설되고 10여개의 계가 신설되어 있을 뿐이며 큰 변동은 없었다.
태조 5년(1396)에서 고종 2년(1865)까지의 한성부 5부의 방 · 계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표:한성부 5부 방 · 계의 변천표>와 같다.[註45]
이상과 같이 태조때는 한성부를 5부 52방으로 하였다가 세종시는 오부 49방으로 하였고 영조시는 5부 46방 328계로 하였으며 고종초에는 5부 47방 339계로 하였다. 그러나 1894년 갑오경장 때에는 5부를 오서(五署)로 고치는 동시에 계와 동을 늘려 47방 288계 775동으로 하였다.

「동서:연화방, 창선방, 건덕방, 숭인방, 숭교방(성내 5방), 숭신방, 창신방(성외 2방):7방 20계(성내 15계, 성외 5계) 165동(성내 92동, 성외 73동)
남서:광통방, 회현방, 명례방, 대평방, 훈도방, 악선방, 성명방, 명철방(성내 8방), 한강방, 둔지방, 두모방(성외 3방):11방, 100계(성내 82계, 성외 18계), 163동(성내 139동, 성외 24동)
서서:인달방, 여경방, 적선방, 양생방, 황화방, 반송방, 반석방(성내 7방), 용산방, 서강방(성외 2방):9방, 70계(성내 46계, 성외 24계), 190동(성내 150동, 성외 40동)
북서:순화방, 준수방, 통의방, 관광방, 안국방, 진장방, 가회방, 양덕방, 광화방(성내 9방), 상평방, 연은방, 연희방(성외 3방) 12방, 42계, 130동(성내 13계, 성외 29계, 성내 58동, 성외 72동)
중서:서린방, 견평방, 경행방, 징청방, 수진방, 관인방, 장통방, 정선방:8방, 56계, 127동」

이상의 한성부 오서(五署) 47방 288계 775동의 명칭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東署
연화방(燕花坊):통우계(統右契), 등자계(登子契), 승문계(承文契)의 신민동(新民洞), 감정동(甘井洞), 곤동(**洞), 상사동(相思洞), 순라동(巡邏洞), 통좌계(統左契)의 통화문전(通化門前), 신작로(新作路), 마전정동(麻田井洞), 함춘동(含春洞), 쌍봉동(雙棒洞), 황교(黃橋), 연지동(蓮池洞) · 중로계(中路契)의 이현(梨峴), 석수방동(石手房洞), 옥방동(玉房洞), 전문동(田門洞), 도덕동(道德洞), 효교(孝橋), 칠방동(漆房洞), 죽교(竹橋), 북천변동(北川邊洞), 중부동(中部洞), 연이계(蓮二契)의 이교(二橋), 하피마동(下避馬洞), 묘동(廟洞), 연삼계(蓮三契)의 태묘동(太廟洞), 후정동(後井洞), 신기동(新基洞).
창선방(昌善坊):어의동계(於義洞契)의 이교(二橋), 어의동(於義洞), 상북동(尙北洞), 연지동(蓮池洞) · 우교계(牛橋契)의 하대정동(下大井洞), 상북천변동(上北川邊洞), 상대정동(上大井洞), 하북천변동(下北川邊洞), 어의동(於義洞). 이교계(二橋契)의 연동(蓮洞). 동학계(東學契)의 도촌(島村), 양토동(養土洞), 동학동(東學洞).
건덕방(建德坊):어의동계(於義洞契)의 내교(內橋), 저교(杵橋), 신교(新橋), 경기동(經基洞), 괴천동(槐泉洞), 장원동(長垣洞), 연지동(蓮池洞), 냉정동(冷井洞). 경이계(景二契)의 독갑현(獨甲峴), 과동(果洞), 남미탑동(南彌塔洞), 반송정동(盤松井洞), 남장동(南墻洞), 북장동(北墻洞).
숭신방(崇信坊):경이계(景二契)의 쌍계동(雙溪洞), 이화정동(梨花亭洞), 장생전동(長生殿洞), 토교(土橋), 하백동(下柏洞), 어의동(於義洞), 신대동(新垈洞), 상백동(上柏洞). 경일계(景一契)의 토교(土橋), 혜화문내(惠化門內), 송동(宋洞).
숭교방(崇敎坊):성균관계(成均館契)의 전석현(**石峴), 이문동(里門洞), 영동(營洞), 홍문동(紅門洞), 서반동(西泮洞), 제옥동(濟玉洞), 피마동(避馬洞), 양현동(養賢洞), 도덕동(道德洞), 수지동(水之洞), 식당동(食堂洞), 흥덕동(興德洞), 선문동(旋門洞), 사현동(四賢洞), 동반동(東泮洞), 산천동(山泉洞), 사악동(思樂洞), 궁내동(宮內洞), 송동(宋洞). 경일계(景一契)의 상토교(上土橋), 광례교(廣禮橋), 궁내정동(宮內井洞), 이문동(里門洞), 한정동(寒井洞).
숭신방(城外):동문외계(東門外契)의 홍수동(紅樹洞), 복차교(伏車橋), 남교(藍橋), 대정동(大井洞), 편교(片橋), 장평리(場坪里), 미전동(米廛洞), 장거리(場巨里), 영미동(穎眉洞), 정자동(亭子洞), 신리(新里), 대종암(大鍾岩), 신리(新里), 신설동(新說洞), 원리(園里), 궁리(宮里), 상리(上里), 중리(中里), 우산각리(雨傘閣里), 소종암(小鍾岩), 돈암리(敦岩里), 삼선평(三仙坪). 동소문외계(東小門外契)의 성북동(城北洞), 소정릉동(小貞陵洞), 손가정(孫哥亭), 청수동(淸水洞), 미아동(彌阿洞), 번리(樊里), 대수유리(大水踰里), 가오리(加五里), 우이리(牛耳里).
인창방(仁昌坊)(城外):동문외계(東門外契)의 부정동(**井洞), 복차교(伏車橋), 남교(藍橋), 장거리(場巨里), 동묘동(東廟洞), 왕십리계(往十里契)의 전석현(**石峴), 율원(栗園), 판정동(板井洞), 상후동(上後洞), 하후동(下後洞), 하감정동(下甘井洞), 상감정동(上甘井洞), 편교(片橋), 관정동(**井洞), 개정동(盖井洞), 두정동(斗井洞), 중정동(中井洞), 하대정동(下大井洞), 이문동(里門洞), 장등리(長登里), 상대정동(上大井洞), 심정동(深井洞), 칠괴동(七槐洞), 당현(堂峴), 양지동(陽池洞), 단지동(端池洞), 무학동(舞鶴洞). 동소문외계(東小門外契)의 마장리(馬場里), 사근리(沙斤里), 용두리(龍頭里), 제기리(祭基里), 답십리(踏十里), 전농리(典農里), 청량리(淸凉里), 회기리(回基里), 휘경원(徽慶園), 이문동(里門洞), 월곡상리(月谷上里), 월곡하리(月谷下里), 석관리(石串里), 장위리(長位里). 이상 7방(坊) 20계(契) 165동(洞). (城內 5坊 15契 92洞. 城外 2坊 5契 73洞)

○ 西署
인달방(仁達坊):야주현계(夜珠峴契)의 훈조동(勳造洞), 창칠동(昌漆洞), 야주현(夜珠峴), 봉상시계(奉常寺契)의 남문동(南門洞), 내섬시(內贍寺), 봉상시전(奉常寺前), 비문동(比門洞). 대창동계(大昌洞契)의 대창동(大昌洞), 내수사계(內需司契)의 내사전(內司前), 누정동(樓井洞), 은행동(銀杏洞), 종교(宗橋), 도가동(都家洞), 사직동계(社稷洞契)의 승전교(承傳橋), 영빈동(英嬪洞), 사직동(社稷洞), 박정동(朴井洞), 무덕문(武德門), 창평동(昌平洞), 수성궁계(壽城宮契)의 송목동(松木洞), 도가동(都家洞), 남왕현(南往峴), 전립동(戰笠洞). 분선공계(分善工契)의 전정동(塡井洞), 필운대(弼雲臺), 귀동(龜洞). 장흥고계(長興庫契)의 은행동(銀杏洞), 장흥동(長興洞), 고간동(古澗洞).
여경방(餘慶坊):신문내계(新門內契)의 자문동(紫門洞). 장생동계(長生洞契)의 함춘원(含春園), 농포동(農圃洞), 방추동(芳楸洞), 비변사(備邊司), 야주동(夜珠洞), 염정동(廉井洞), 송교(松橋), 상방교(上坊橋), 오궁동(五宮洞), 정자동(亭子洞), 중방교(中坊橋), 동령동(東嶺洞), 원동(園洞). 서학현계(西學峴契)의 서학동(西學洞). 광제교계(廣濟橋契)의 구서부동(舊西部洞), 모교계(毛橋契)의 두죽동(豆粥洞), 국동(**洞), 사동(篩洞), 해풍군계(海豊君契)의 하방교(下坊橋) · 선공감계(繕工監契)의 선공동(繕工洞). 무교계(武橋契)의 도자동(刀子洞).
적선방(積善坊):당피동계(唐皮洞契)의 당피동(唐皮洞), 황토현계(黃土峴契)의 삼간동(三澗洞), 보민동(保民洞). 공조후동계(工曹後洞契)의 공후동(工後洞). 도칠동계(都漆洞契)의 의영동(義盈洞), 도칠동(都漆洞). 사온동계(司**洞契)의 사온동(司**洞), 도가동(都家洞). 월궁동계(月宮洞契)의 월궁동(月宮洞). 십자교계(十字橋契)의 魚橋(魚橋).
양생방(養生坊):창동계(倉洞契)의 창동(倉洞). 상동계(尙洞契)의 상동(尙洞). 태평동계(太平洞契)의 태평동(太平洞), 양동(陽洞), 전교(錢橋), 칠간동(七間洞), 관정동(館井洞), 생사동(生祠洞).
황화방(皇華坊):서소문내계(西小門內契)의 왜송동(倭松洞), 작교동(雀橋洞), 내천동(內泉洞), 복차교(卜車橋), 관정동(館井洞), 사창동(司倉洞), 군기사계(軍器事契)의 소정동(小貞洞), 대정동(大貞洞).
반송방(盤松坊)(城外):지하계(池下契)의 모화현(慕華峴), 곡정동(谷井洞), 신촌동(新村洞), 은행동(銀杏洞), 어수정동(御水井洞), 홍문동(紅門洞), 관전동(館前洞), 석교동(石橋洞), 파발동(把發洞), 월암동(月岩洞), 천변동(川邊洞), 송정동(松亭洞), 평동(平洞), 장원동(壯元洞), 관후동(館後洞), 옥폭동(玉瀑洞), 이판동(李判洞), 냉동(冷洞). 경구계(京口契)의 경교(京橋), 신문외(新門外). 균장리계(菌匠里契)의 고마동(雇馬洞) · 노첨정계(盧僉正契)의 미동(尾洞). 조판부사계(曺判府事契)의 유동(鍮洞), 팔각정(八角亭). 수근답계(水芹畓契)의 근동(芹洞). 청성군계(靑城君契)의 신교(新橋) · 권정승계(權政承契)의 아현(阿峴). 차자리계(車子里契)의 아현(阿峴). 형제정(兄弟井). 아현계(阿峴契)의 아현(阿峴), 광암(廣岩), 늑교(勒橋), 무암정(武岩亭), 삼호정(三湖井), 오부동(鰲浮洞), 행화동(杏花洞), 신정동(新井洞).
반석방(城外):미전하계(米廛下契), 차동(車洞), 냉동(冷洞), 개정동(盖井洞), 사거리(四巨里), 합동(蛤洞), 한림동(翰林洞), 한동(汗洞), 대동(帶洞), 포동(布洞), 반천동(半泉洞). 미전상계(米廛上契)의 신교(新橋), 양동대(凉洞臺), 서장동(西醬洞). 구순청계(舊巡廳契)의 순동(巡洞), 자암동(紫岩洞), 정자동(亭子洞), 연지계(蓮池契)의 굴정동(窟井洞), 양동(陽洞), 소리문동(小里門洞). 대리문동(大里門洞), 간동(簡洞), 매동(梅洞), 연지동(蓮池洞), 남정동(藍井洞), 분동(盆洞), 사거리(四巨里). 약전계(藥田契)의 중동(中洞), 상동(上洞), 하동(下洞). 조전계(租田契)의 만리현(萬里峴), 동산동(東山洞). 도저동계(桃楮洞契)의 도동(桃洞), 우수현(牛首峴). 석교계(石橋契)의 주교(舟橋), 신촌동(新村洞).
용산방(龍山坊)(城外):공덕리계(孔德里契)의 염동(鹽洞), 흥예동(興禮洞), 신동(新洞), 분장동(粉場洞), 한정동(汗井洞), 칠목동(漆木洞), 율산동(栗山洞), 선문동(旋門洞), 활인동(活人洞), 대현동(大峴洞), 옹리상계(瓮里上契), 중계(中契), 하계(下契), 청파(靑坡), 일계(一契), 이계(二契), 삼계(三契), 상사계(上四契), 사거리계(四巨里契). 동문외계(東門外契)의 동문외(東門外). 진휼창계(賑恤倉契)의 진휼창(賑恤倉). 신궁내계(新宮內契)의 신창내(新倉內). 탄항계(灘項契)의 탄항(灘項). 형제정계(兄弟井契)의 형제동(兄弟洞). 도화동계(桃花洞契)의 외동(外洞), 내동(內洞). 만리창계(萬里倉契), 토정리계(土亭里契), 마포계(麻浦契). 신촌리계(新村里契)의 신촌동(新村洞). 사촌리계(沙村里契)의 사촌리(沙村里).
서강방(西江坊)(城外):현석리계(玄石里契)의 현석리(玄石里), 신수철리계(新水鐵里契)의 신수철리(新水鐵里). 구수철리계(舊水鐵里契)의 구수철리(舊水鐵里). 창전리계(倉前里契)의 창전리(倉前里). 하중리계(賀中里契)의 하중리(賀中里). 신정리계(新井里契)의 신정리(新井里). 상수일리계(上水溢里契)의 상수일리(上水溢里). 하수일리계(下水溢里契)의 하수일리(下水溢里). 당인리계(唐人里契)의 당인리(唐人里). 율도계(栗島契)의 율도(栗島). 이상 9坊 70契 190洞(城內 7坊 46契 150洞, 城外 2坊 24契 40洞)

○ 중서(中署)
서린방(瑞麟坊):일영대계(日影臺契)의 신작로(新作路), 송교(松橋), 혜천(惠泉), 피마동(避馬洞), 낭후(廊後), 모교계(毛橋契)의 허병(許屛). 고색정계(古索井契)의 허병(許屛), 추동(椎洞). 황토현계(黃土峴契)의 피마동(避馬洞). 합동계(蛤洞契)의 모교(毛橋). 사기전계(砂器廛契)의 합동(蛤洞). 사기전동(砂器廛洞). 부정동계(富井洞契)의 부정동(富井洞). 전옥계(典獄契)의 사기정동(砂器井洞), 전옥후동(典獄後洞), 주전동(紬廛洞), 전옥전동(典獄前洞), 백목전계(白木廛契)의 백목전후동(白木廛後洞).
견평방(堅坪坊):전동계(典洞契)의 전동(典洞), 하괴동(下槐洞), 금포후동(禁布後洞), 동정동(銅井洞), 빙고동(氷庫洞). 전의감계(典醫監契)의 전동(典洞). 괴동(槐洞). 발리전계(鉢里廛契)의 발리동(鉢里洞). 어물전계(魚物廛契)의 이문동(里門洞), 후동(後洞), 향정동(香井洞), 수전동(水典洞), 승동(承洞). 이문동계(里門洞契)의 이문동(里門洞). 승동계(承洞契)의 권정동(權井洞). 상미전계(上米廛契)의 상미전전동(上米廛前洞), 상미전후동(上米廛後洞). 수동계(壽洞契)의 외상동(外相洞). 금부계(禁府契)의 금포후동(禁布後洞), 도서동(圖書洞).
경행방(慶幸坊):동구계(洞口契)의 주동(紬洞). 어의동계(於義洞契)의 어의동(於義洞). 교동(校洞). 교동계(校洞契)의 어의궁동(於義宮洞). 오순덕계(吳順德契)의 어의동(於義洞), 교동(校洞), 석정동(石井洞). 누동계(樓洞契)의 누동(樓洞). 탑동계(塔洞契)의 교동(校洞), 탑동(塔洞). 포병계(布屛契)의 교동(校洞), 탑동(塔洞).
징청방(澄淸坊):상동계(相洞契)의 상동(相洞). 사복계(司僕契)의 상사동(相思洞), 사복동(司僕洞), 중학교(中學橋). 두석동계(豆錫洞契)의 호교(戶橋), 두석동(豆錫洞). 상어물전계(上魚物廛契), 혜정교계(惠政橋契)의 두석동(豆錫洞), 상동(相洞).
수진방(壽進坊):수진궁계(壽進宮契)의 수동(壽洞), 전동(**洞), 괴정동(槐井洞). 송현계(松峴契)의 송현(松峴), 제용감계(濟用監契)의 수동(壽洞). 사복계(司僕契)의 수동(壽洞). 상동계(相洞契)의 상동(相洞).
관인방(寬仁坊):대사동계(大寺洞契)의 원동(園洞), 대사동(大寺洞), 하청석동(下靑石洞), 승동(承洞), 탑동(塔洞). 철물교계(鐵物橋契)의 대사동(大寺洞), 승동(承洞). 탑동계(塔洞契)의 대사동(大寺洞).
장통방(長通坊):정만석계(丁萬石契)의 광교(廣橋), 동곡(東谷), 혜전후동(鞋廛後洞), 정자동(丁字洞), 청포후동(靑布後洞), 염동(鹽洞). 서천수계(徐千壽契)의 동곡(東谷), 장교동(長橋洞), 염동(鹽洞), 철물교(鐵物橋), 입동(笠洞), 관자동(貫子洞). 관자동계(貫子洞契)의 관자동(貫子洞), 유자익계(兪子益契)의 소립동(小笠洞). 표교계(標橋契)의 대립동(大笠洞). 입동계(笠洞契)의 소립동(小笠洞), 포병동(布屛洞), 모곡동(帽谷洞). 입전계(笠廛契)의 피마동(避馬洞). 의성정계(義城正契)의 피마동(避馬洞), 중부동(中部洞), 하판교(下板橋), 판정동(板井洞), 대립동(大笠洞), 하교(河橋), 중곡(中谷). 중곡계(中谷契)의 묘전동(廟前洞). 광주주인계(廣州主人契)의 중부동(中部洞), 상판교(上板橋), 모곡동(帽谷洞), 비파동(琵琶洞)
정선방(貞善坊):대묘동계(大廟洞契)의 묘동(廟洞), 하묘동(下廟洞), 태정동(太井洞). 금만년계(金萬年契)의 대묘동(大廟洞), 마동(麻洞), 누동(樓洞), 동구(洞口). 승문계(承文契)의 승문동(承文洞), 임기손계(林己孫契)의 마동(麻洞), 누동(樓洞). 어의동계(於義洞契)의 어의동(於義洞). 돈녕계(敦寧契)의 돈녕동(敦寧洞), 장대장동(長大將洞), 한동(漢洞), 누동(樓洞), 익동(益洞), 궁동(宮洞), 이동(泥洞), 승문동(承文洞). 농포계(農圃契)의 농포동(農圃洞) 수문동(水門洞). 구병조계(舊兵曹契)의 이동(泥洞). 이상 城內 8坊, 56契, 27洞.

○ 남서(南署)
광통방(廣通坊):다동계(茶洞契)의 상다동(上茶洞), 중다동(中茶洞), 하다동(下茶洞). 소천변계(小川邊契)의 견정동(堅井洞). 무교계(武橋契)의 무교동(武橋洞). 유동계(由洞契)의 유동(由洞). 유동미동계(由洞美洞契)의 미동(美洞). 남천변계(南川邊契)의 남천변동(南川邊洞).
회현방(會賢坊):미동계(美洞契)의 휴지동(休紙洞), 숙수방동(熟手房洞), 미동(美洞), 석정동(石井洞). 소공동계(小公洞契)의 소공동(小公洞), 동현동(銅峴洞), 사축동(司畜洞). 양동계(陽洞契)의 전교동(錢橋洞). 예빈동계(禮賓洞契)의 예빈동(禮賓洞). 정동계(貞洞契)의 정동(貞洞), 내교동(內橋洞). 수교계(水橋契)의 수교동(水橋洞). 송현계(松峴契)의 송현동(松峴洞). 저경궁계(儲慶宮契)의 저경궁동(儲慶宮洞). 회동계(會洞契)의 회동(會洞), 장동계(長洞契)의 낙동(駱洞). 대용동계(大龍洞契)의 대용동(大龍洞). 구남부계(舊南部契)의 구남부동(舊南部洞). 소용동계(小龍洞契)의 소용동(小龍洞). 장흥동계(長興洞契)의 장흥동(長興洞).
명례방(明禮坊):동현계(銅峴契)의 동현동(銅峴洞), 사정동(絲井洞), 박궁동(朴宮洞), 조동(棗洞), 명동계(明洞契)의 명동(明洞). 장악원계(掌樂院契)의 장악원동(掌樂院洞), 소용동계(小龍洞契)의 소용동(小龍洞). 대용동계(大龍洞契)의 대용동(大龍洞). 남산동계(南山洞契)의 남산동(南山洞). 종현계(鍾峴契)의 종현동(鍾峴洞). 저동계(苧洞契)의 저동(苧洞)
대평방(大坪坊):대광교계(大廣橋契)의 광계동(廣契洞), 사자청동(寫字廳洞). 홍문동계(弘門洞契)의 홍문동(弘門洞). 선산계(善山契)의 천변동(川邊洞). 곡교계(曲橋契)의 곡교동(曲橋洞). 수하동계(水下洞契)의 수하동(水下洞). 보십계(甫十契)의 상리동(上犁洞), 하리동(下犁洞) 조동계(棗洞契)의 조동(棗洞). 광교계(廣橋契)의 동천변동(東川邊洞). 박궁계(朴宮契)의 갑동(甲洞). 동현계(銅峴契)의 동현동(銅峴洞). 석동계(席洞契)의 석동(席洞). 소광교계(小廣橋契)의 소광교동(小廣橋洞).
훈도방(薰陶坊):저동계(苧洞契)의 저동(苧洞). 죽동계(竹洞契)의 냉정동(冷井洞), 죽동(竹洞). 혜민서계(惠民署契)의 혜민서동(惠民署洞). 오천계(梧泉契)의 묵정동(墨井洞). 정승계(政承契)의 장교동(長橋洞), 수표교동(水標橋洞), 시동(詩洞), 표남교동(標南橋洞). 박정계(朴井契)의 갑동(甲洞). 입정계(笠井契)의 입정동(笠井洞), 박정계(朴井契)의 하교동(河橋洞), 마계동(馬契洞), 초동(草洞), 행동(杏洞), 초동(椒洞), 이동계(履洞契)의 이동(履洞), 궁기동계(宮基洞契)의 궁기동(宮基洞). 주동계(鑄洞契)의 주동(鑄洞).
악선방(樂善坊):필동계(筆洞契)의 필동(筆洞). 묵동계(墨洞契)의 묵동(墨洞). 연성위계(蓮城尉契)의 회동(晦洞). 일관동계(日館洞契)의 생민동(生民洞), 예동(藝洞), 와유두리계(瓦有豆里契)의 심교동(沈橋洞), 은동(銀洞), 오관동(五官洞), 후동(後洞), 원정동(園井洞), 오장동(五壯洞), 청녕위동(靑寧尉洞), 옹정동(甕井洞). 대인현계(大仁峴契)의 인현동(仁峴洞). 직소리계(直梳里契)의 평정동(坪井洞), 효교동(孝橋洞), 주교동(舟橋洞), 오교동(午橋洞).
성명방(誠明坊):초동계(草洞契)의 구조산동(舊造山洞), 초동(草洞), 사동(篩洞). 산림동계(山林洞契)의 소산림동(小山林洞). 상동계(桑洞契)의 상동(桑洞). 주동계(鑄洞契)의 주동(鑄洞), 남학동(南學洞). 필동계(筆洞契)의 필동(筆洞). 소필동계(小筆洞契)의 소필동(小筆洞). 대산림동계(大山林洞契)의 대산림동(大山林洞). 회동계(晦洞契)의 회동(晦洞). 일관동계(日館洞契)의 생민동(生民洞). 와유두리계(瓦有豆里契)의 예동(藝洞). 연성위계(蓮城尉契)의 도가동(都家洞), 소인현동(小仁峴洞). 대인현동(大仁峴洞), 판정동(板井洞), 원정동(園井洞), 직정동(直井洞), 석중동(石中洞), 연정동(鍊井洞), 후동(後洞), 효교동(孝橋洞), 삼태동(三台洞).
명철방(明哲坊):청녕위계(靑寧尉契)의 오교남변(午橋南邊), 남정동(藍井洞), 청교동(靑橋洞), 근동(芹洞), 복차교동(卜車橋洞), 대동(帶洞), 어교동(魚橋洞), 연방동(蓮坊洞), 남소동(南小洞). 남소동계(南小洞契), 훈련원(訓練院). 수구천내계(水口川內契)의 석교동(石橋洞), 배동(裵洞), 하도감동(下都監洞), 동산리동(東山里洞), 남성저동(南城底洞), 형제동(兄弟洞), 곡정동(谷井洞), 지례동(知禮洞), 수평리(藪坪里). 쌍림동계(雙林洞契)의 쌍림동(雙林洞), 오장동계(五壯洞契)의 오장동(五壯洞). 와유두리계(瓦有豆里契)의 후동(後洞). 일관동계(日館洞契)의 심교동(沈橋洞). 야현계(冶峴契)의 야현동(冶峴洞).
한강방(漢江坊)(城外):수성리계(銖城里契)의 점동(店洞), 보강리동(普江里洞), 한강(漢江) 상동(上洞), 중동(中洞), 하동(下洞)
둔지방(屯芝坊)(城外):전생내계(典牲內契)의 전생동(典牲洞). 갈어리계(葛於里契)의 갈어리동(葛於里洞), 와서계(瓦署契)의 와서동(瓦署洞). 이태원계(梨太院契)의 이태원동(梨太院洞). 둔지미계(屯芝味契)의 둔지미동(屯芝味洞). 서빙일계(西氷一契)의 서빙고동(西氷庫洞). 서빙이계(西氷二契)의 서빙고동(西氷庫洞).
두모방(豆毛坊)(城外):왕십리계(往十里契)의 신당리동(神堂里洞), 여계동(余契洞), 무학동(舞鶴洞), 단지동(端池洞). 전관계(箭串契)의 능동(陵洞). 신촌리계(新村里契)의 행당리동(杏堂里洞), 신촌리동(新村里洞). 두모포계(豆毛浦契)의 두모동(豆毛洞). 수철리계(水鐵里契)의 수철리동(水鐵里洞). 전관중계(箭串中契)의 면목리동(面牧里洞). 전관하계(箭串下契), 면목리동(面牧里洞). 전관일계(箭串一契)의 전관동(箭串洞). 전관이계(箭串二契)의 전관동(箭串洞). 이상 11坊 100契 163洞(城內 8坊, 82契, 139洞, 城外 3坊 18契, 24洞)

○ 북서(北署)
순화방(順化坊):사재감상패계(司宰監上牌契)의 효곡(孝谷), 신교(新橋), 백운동(白雲洞), 박정동(朴井洞), 육상궁동(毓祥宮洞), 온정동(溫井洞), 청풍계(淸風契), 동곡(東谷), 백구동(白狗洞), 창성동(昌城洞), 간곡(間谷), 왕정동(王井洞), 대동(帶洞). 사재감하패계(司宰監下牌契)의 장동(壯洞), 매동(梅洞), 구곡동(九曲洞), 체부동(體府洞), 금교(禁橋), 누각동(樓閣洞), 남척동(南隻洞), 장성동(長城洞), 유목동(柳木洞), 복조동(福祚洞), 대송정(大松井), 간곡(間谷), 오거리(五巨里).
준수방(俊秀坊):사포서계(司圃署契)의 인왕동(仁王洞), 옥동(玉洞), 통곡(通谷).
창의방(彰義坊):창의궁계(彰義宮契)의 창의동(彰義洞), 서문동(西門洞)
관광방(觀光坊):동십자교계(東十字橋契)의 수문동(水門洞), 내부계(內部契)의 예빈동(禮賓洞), 서천변동(西川邊洞), 동곡(東谷). 중학계(中學契)의 중학동(中學洞), 송현(松峴). 벽동(碧洞), 간동(諫洞). 대안동계(大安洞契)의 고리정동(古里井洞), 대안동(大安洞), 은행동(銀杏洞), 화개동(花開洞), 소격동(昭格洞)
안국방(安國坊):소안동계(小安洞契)의 소안동(小安洞), 홍현(紅峴), 안현(安峴)
진장방(鎭長坊):삼청동계(三淸洞契)의 삼청동(三淸洞), 팔판동(八判洞), 춘생문(春生門), 화개동(花開洞)
가회방(嘉會坊):재동계(齋洞契)의 재동(齋洞), 홍현(紅峴), 맹현(孟峴), 동곡(東谷).
양덕방(陽德坊):계산동계(桂山洞契)의 계동(桂洞)
광화방(廣化坊):관현계(觀峴契)의 관현(觀峴), 원동(苑洞)
상평방(常平坊)(城外):경리청계(經理廳契)의 무계동(武溪洞), 부암동(付岩洞), 백석동(白石洞), 홍지문내동(弘知門內洞), 삼지동(三芝洞), 구기동(舊基洞), 응암동(鷹岩洞), 왕정평(王亭坪), 신영동(新營洞), 남문동(南門洞). 선혜청계(宣惠廳契)의 평창(平倉), 금창계(禁倉契)의 중곡(中谷), 어창계(御倉契)의 상곡(上谷), 중곡(中谷),
연은방(延恩坊)(城外):훈창계(訓倉契)의 효자동(孝子洞), 사기동(沙器洞), 신둔(新芚). 홍제원계(弘濟院契)의 내동(內洞), 외동(外洞), 답동(畓洞), 백련동(白蓮洞), 갈현계(葛峴契)의 궁동(宮洞), 좌월동(坐月洞), 효경동(孝敬洞), 전석동(**石洞), 사계(私契)의 노지동(老芝洞), 귀산동(龜山洞), 토정동(土井洞), 대조동(大棗洞). 불광리계(佛光里契)의 불광리(佛光里), 전석동(**石洞). 사정동(射亭洞), 관동(**洞). 말흘산계(末屹山契)의 와산동(臥山洞), 응암동(鷹岩洞), 골반동(**半洞), 녹현동(碌峴洞), 신사동계(新寺洞契)의 신사동(新寺洞), 역계(驛契)의 역촌동(驛村洞). 양철리계(梁鐵里契)의 녹현(碌峴)
연희방(延禧坊)(城外):아현일계(阿峴一契)의 능동(陵洞), 아현동(阿峴洞), 거암동(踞岩洞), 늑교(勒橋), 복주산동(福主山洞), 광암(廣岩). 아현이계(阿峴二契)의 대현동(大峴洞), 신촌(新村). 아현삼계(阿峴三契)의 창천(滄川), 아현사계(阿峴四契)의 노고산(老姑山), 細石里(細石里), 마근동(麻根洞), 구리동(舊里洞), 증산리계(繒山里契), 증산상리(繒山上里), 구용동(九龍洞), 안양동(安陽洞). 수상리계(水上里契)의 수상리(水上里), 성산리계(城山里契)의 중동(中洞), 야지동(野芝洞), 후동(後洞), 무이동(武夷洞), 치동(治洞). 합정리계(合井里契)의 본동(本洞). 망원정계(望遠亭契)의 월사동(月沙洞). 가좌동일계(加佐洞一契)의 가좌동(加佐洞). 정자동계(亭子洞契)의 정자동(亭子洞). 염동일계(廉洞一契)의 염동(廉洞). 세교일계(細橋一契)의 세교동(細橋洞). 세교이계(細橋二契)의 궁동(宮洞), 세교동(細橋洞). 음월리계(陰月里契)의 음월리(陰月里), 휴암(休岩). 여의도계(汝矣島契)의 여의도(汝矣島), 이상 12坊 42契 130洞(城內 9坊 13契, 58洞 城外 3坊 27契, 72洞)」

이상과 같은 오서(五署) 47방 288계 755동 제도는 다음해인 1895년에 크게 변혁되었다.
고종 32년(1895) 5월 26일 칙령 제98호로써 지방제도를 공포하여 8도제도를 없애고 23부 336군으로 개혁하였다. 이 때에 한성부는 한성군으로 하였으며 한성판윤을 없애고 한성관찰사를 두었는데 한성관찰사는 한성군, 양주군, 광주군, 적성군, 포천군, 영평군, 가평군, 연천군, 고양군, 파주군, 교하군의 11군을 관할하였다. 그러나 다음해인 건양 원년(1896) 8월에는 다시 지방제도를 개정하여 전국을 13도로 하고 한성군은 다시 한성부로 하여 한성판윤(漢城判尹)이 관할하였다.[註46]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는 지방관제를 개혁하고 종래의 한성부를 경성부로 개칭하여 경기도에 예속시켰다. 일제가 이와 같이 한성부의 명칭을 개칭하고 관제를 격하하여 경기도에 예속시킨 것은 518년간이나 조선왕조의 수도였던 한성부의 모든 기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였으며 나아가서는 우리민족의 전통은 물론 민족정기를 말살하려는데 있었다. 그리고 다음해인 1911년 4월 1일에는 경기도령 제3호로써 경성부의 행정구역을 개정하여 도성내를 5부 36방으로 하고 도성외를 8면으로 하여 5부 8면제를 실시하고 부에는 부장을 면에는 면장을 두어 판임관(判任官) 대우를 하여 부윤의 지휘감독을 받게 하였다. 이 때의 5부 36방 8면은 다음과 같다.

「東部 4坊:연화방(蓮花坊), 숭교방(崇敎坊), 건덕방(建德坊), 창선방(昌善坊),
南部 8坊:명철방(明哲坊), 태평방(太平坊), 낙선방(樂善坊), 명례방(明禮坊), 성명방(誠明坊), 회현방(會賢坊), 훈도방(薰陶坊), 광통방(廣通坊),
西部 7坊:적선방(積善坊), 양생방(養生坊), 인달방(仁達坊), 황화방(皇華坊), 여경방(餘慶坊), 반석방(盤石坊), 반송방(盤松坊),
北部 9坊:광화방(廣化坊), 관광방(觀光坊), 양덕방(陽德坊), 준수방(俊秀坊), 가회방(嘉會坊), 진장방(鎭長坊), 안국방(安國坊), 순화방(順化坊), 통의방(通義坊),
中部 8坊:정선방(貞善坊), 경행방(慶幸坊), 장통방(長通坊), 서린방(瑞麟坊), 수진방(壽進坊), 견평방(堅平坊), 징청방(澄淸坊), 관인방(寬仁坊), 8面:서강면(西江面)(서강방(西江坊)), 숭신면(崇信面)(숭신방(崇信坊)), 두모면(豆毛面)(두모방(豆毛坊)), 인창면(仁昌面)(인창방(仁昌坊)), 은평면(恩平面)(연은방(延恩坊), 상평방(常平坊)), 연희면(燕禧面)(연희방(燕禧坊)), 한지면(漢芝面)(한강방(漢江坊), 둔지방(芚芝坊)), 용산면(龍山面)(용산(龍山))」

5부 8면제를 실시한지 2년 후인 1913년 12월 11일 조선총독부는 부령 제111호로써 5부의 행정구역을 확장하였는데 8면가운데 도성근처에 있는 지역을 5부로 편입하였다. 즉 숭신면의 송동, 상토교, 하토교, 상판동, 신대동, 하판동, 쌍계동, 이화동, 영미동, 미전동, 남교, 자지동, 정자동, 성저동, 신촌, 당현동, 인수동, 복차교, 홍수동, 대정동, 신설계의 일부(신설계에서 五間水로 통하는 작은 길 서쪽의 지역)와 인창면에서 장거리, 남교, 동묘동, 부어정동, 복차교를 동부에 편입하였고 한지면의 전성동, 갈월리, 신초리, 원흥동일부, 이태원동일부와 용산면 가운데서 청파이계, 청파삼계, 동문외, 형제정, 만리창, 하마비계, 신창내, 진휼창, 탄항, 도화외동, 도화내동, 마포, 사촌리, 신촌리, 청파일계, 청파사계의 일부를 서부에 편입하였으며 두모면 가운데서 신당리 일부를 남부에 편입하였다. 그러나 1914년 3월 13일 경기도는 도내 각면의 명칭과 구역을 새로 제정하고 동년 4월 1일부터 시행하도록 하였는데 경성부는 이 때에 5부 8면제도를 폐지하고 8면 중에서 일부는 경기도 고양군으로 편입하고 일부는 경성부에서 관할하였는데 당시 8면 중에서 고양군으로 편입된 지역은 용강면, 연희면, 은평면, 숭인면, 뚝도면, 한지면의 일부였다.[註47] 그리고 경기도는 고시 제7호로서 지금까지 실시해 오던 한성부 방, 계, 동 제도를 폐지하고 경성부 행정구역을 186개동으로 하여 경성부가 직할하게 하였다.
1914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경성부 186개 정, 정목, 동의 명칭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註48]

「예지동(禮智洞):중부동(中部洞) · 효교일부(孝橋一部) · 전간동(田間洞) · 하피마동일부(下避馬洞一部) · 상천변동(上川邊洞) · 이현일부(梨峴一部) · 옥방동(玉房洞) · 칠방동(漆房洞) · 석수방동(石手房洞)
종로사정목(鍾路四丁目):하피마동일부(下避馬洞一部) · 묘동(廟洞) · 후정동일부(後井洞一部) · 이현일부(梨峴一部) · 효교일부(孝橋一部) · 이교동일부(橋洞一部)
종로오정목(鍾路五丁目):이교동일부(二橋洞一部)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어의동(於義洞) · 하대정동(下大井洞) · 하천변동(下川邊洞) · 상대정동(上大井洞)
종로육정목(鍾路六丁目):간교동일부(杆橋洞一部) · 양사동(養士洞) · 동학동(東學洞) · 도촌(島村)
원남동(苑南洞):함춘동일부(含春洞一部) · 곤동(**洞)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순라동일부(巡邏洞一部) · 상사동(想思洞) · 감정동(甘井洞) · 승문동(承文洞) · 신민동(新民洞) · 마정동(麻井洞)
인의동(仁義洞):후정동일부(後井洞一部)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등자동(登子洞) · 신기동(新基洞) · 비석동(碑石洞) · 가정동(嘉井洞)
숭일동(崇一洞):송동일부(宋洞一部) · 흥덕동일부(興德洞一部) · 피마동일부(避馬洞一部) · 식당동(食堂洞) · 수지동(水之洞) · 도덕동(道德洞) · 포동(浦洞) · 상정동(上井洞)
숭이동(崇二洞):송동일부(宋洞一部) · 상토교동일부(上土橋洞一部) · 광례교동일부(廣禮橋洞一部) · 궁내정동(宮內井洞) · 사현동(四賢洞) · 피마동일부(避馬洞一部) · 선문동(旋門洞) · 산천동(山川洞) · 흥덕동일부(興德洞一部) · 궁내동(宮內洞) · 박정동(朴井洞) · 관기교동(觀**橋洞)
숭삼동(崇三洞):양현동(養賢洞) · 서반동(西伴洞) · 제옥동(濟玉洞) · 홍문동(紅門洞) · 영동(營洞) · 이문동(里門洞)
숭사동(崇四洞):한정동(寒井洞) · 광례교동일부(廣禮橋洞一部) · 사악교(思樂橋) · 전석현(**石峴)
충신동(忠信洞):경기동(經基洞) · 장원동(長垣洞) · 간교동일부(杆橋洞一部) · 신교동일부(新橋洞一部)
연건동(蓮建洞):과동(果洞) · 함춘동일부(含春洞一部) · 장동(墻洞) · 남미탑동(南彌塔洞) · 신교동일부(新橋洞一部) · 독갑현(獨甲峴) · 반송정동(盤松井洞)
연지동(蓮池洞):냉정동(冷井洞)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효제동(孝悌洞):신교동일부(新橋洞一部) · 내교동(內橋洞)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괴천동(槐泉洞) · 상북동(尙北洞)
혜화동(惠化洞):송동(宋洞) · 상토교(上土橋) · 하토교(下土橋) · 상백동일부(上柏洞一部)
동숭동(東崇洞):상백동일부(上柏洞一部) · 신대동(新垈洞) · 하백동(下柏洞) · 쌍계동일부(雙溪洞一部)
이화동(梨花洞):쌍계동일부(雙溪洞一部) · 이화동(梨花洞)
숭인동(崇仁洞):영미동(穎眉洞) · 미전동(米廛洞) · 남교일부(藍橋一部) · 신설계(新設契) · 장거리(場巨里) · 남교(藍橋) · 동묘동(東廟洞)
창신동(昌信洞):자지동(紫芝洞) · 정자동(亭子洞) · 성저동(城底洞) · 신촌(新村) · 남교일부(藍橋一部) · 당현동(堂峴洞) · 인수동(仁壽洞) · 복차교(伏車橋) · 홍교동(紅橋洞) · 대정동(大井洞) · 부어정동(**魚井洞) · 복차교(伏車橋)
와룡동(臥龍洞):이동일부(泥洞一部) · 누동일부(樓洞一部) · 수문동일부(水門洞一部) · 승문동일부(承門洞一部) · 마동일부(麻洞一部)
수은동(授恩洞):누동일부(樓洞一部) · 마동일부(麻洞一部) · 묘동일부(廟洞一部)
권농동(勸農洞):수문동일부(水門洞一部) · 농포동(農圃洞) · 승문동일부(承文洞一部) · 마동일부(麻洞一部)
봉익동(鳳翼洞):마동일부(麻洞一部) · 태정동일부(太井洞一部) · 묘동일부(廟洞一部)
훈정동(薰井洞):태정동일부(太井洞一部) · 순라동일부(巡邏洞一部) · 후정동일부(後井洞一部) · 묘전동(廟前洞) · 묘동일부(廟洞一部)
필운동(弼雲洞):필운대(弼雲臺) · 귀동(龜洞) · 전정동(塡井洞) · 대구도가동(大口都家洞) · 도가동(都家洞) · 송목동(松木洞) · 남정동일부(南征洞一部) · 사직동일부(社稷洞一部)
사직동(社稷洞):창평동(昌平洞) · 사직동일부(社稷洞一部) · 무덕문(武德門) · 박정동일부(朴井洞一部)
내자동(內資洞):남정동일부(南征洞一部) · 사직동일부(社稷洞一部) · 전립동(戰笠洞) · 고간동(古澗洞) · 장흥고동일부(長興庫洞一部) · 창염동(昌染洞) · 종교일부(宗橋一部) · 은행동(銀杏洞)
수창동(需昌洞):사직동일부(社稷洞一部) · 박정동일부(朴井洞一部) · 영빈동(英嬪洞) · 누정동(樓井洞) · 승전교(承傳橋) · 내수사전동(內需司前洞) · 종교일부(宗橋一部) · 대창동일부(大昌洞一部) · 북문동일부(北門洞一部)
당주동(唐珠洞):북문동일부(北門洞一部) · 봉상사전(奉常司前) · 대창동일부(大昌洞一部) · 내담동(內膽洞) · 남문동(南門洞) · 창례동(昌禮洞) · 훈조동일부(燻造洞一部) · 야주현일부(夜珠峴一部) · 당피동일부(唐皮洞一部)
서대문정일정목(西大門町一丁目):송교일부(松橋一部) · 하방교일부(下芳橋一部) · 상방교(上芳橋) · 중방교(中芳橋) · 선공동(繕工洞) · 원동(園洞) · 야주현일부(夜珠峴一部) · 염정동(廉井洞) · 비변사(備邊司) · 정자동(亭子洞) · 당피동일부(唐皮洞一部) · 훈조동일부(燻造洞一部) · 오궁동일부(五宮洞一部)
서대문정이정목(西大門町二丁目):자문동(紫門洞) · 신문내(新門內) · 함춘원(含春園) · 방추동(芳楸洞) · 장생동(長生洞) · 농포동(農圃洞) · 왕궁동일부(王宮洞一部)
무교정(武橋町):모교일부(毛橋一部) · 무교동일부(武橋洞一部) · 상다동일부(上茶洞一部) · 도자동(刀子洞) · 모교(毛橋) · 두죽동(豆粥洞) · 무교(武橋) · 대정동일부(大貞洞一部) · 사동일부(篩洞一部) · 국동(**洞)
태평통일정목(太平通一丁目):구서부동일부(舊西部洞一部) · 서학현일부(西學峴一部) · 서학동(西學洞) · 군기시(軍器寺) · 사동일부(篩洞一部) · 당주동(唐珠洞) · 대정동일부(大貞洞一部)
서소문정(西小門町):소정동일부(小貞洞一部) · 내천동(內泉洞) · 왜송동(倭松洞) · 학교동(鶴橋洞) · 서소문내동(西小門內洞) · 사창동(司倉洞) · 관정동일부(**井洞一部) · 태평동일부(太平洞一部) · 생사동일부(生祠洞一部)
태평통이정목(太平通二丁目):석정동일부(石井洞一部) · 복차교동(卜車橋洞) · 전교(錢橋) · 복차교(卜車橋) · 양동일부(陽洞一部) · 대정동일부(大貞洞一部) · 관정동일부(**井洞一部) · 생사동일부(生祠洞一部) · 상동일부(尙洞一部) · 태평동일부(太平洞一部) · 칠간동(七間洞)
정동(貞洞):대정동일부(大貞洞一部) · 소정동일부(小貞洞一部)
남대문통오정목(南大門通五丁目):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양동일부(陽洞一部) · 대리문동일부(大里門洞一部) · 소리문동일부(小里門洞一部) · 분동일부(盆洞一部) · 남정동일부(藍井洞一部)
어성정(御成町):양동일부(陽洞一部) · 대리문동일부(大里門洞一部) · 소리문동일부(小里門洞一部) · 지하(地下) · 도저동(桃楮洞)
길야정일정목(吉野町一丁目):도동일부(桃洞一部)
길야정이정목(吉野町二丁目):우수현(牛首峴) · 도동일부(桃洞一部) · 대리문동일부(大里門洞一部)
고시정(古市町):도동일부(桃洞一部) · 동자동(東子洞) · 신촌동일부(新村洞一部) · 주교일부(舟橋一部) · 갈월리일부(葛月里一部) · 석교동일부(石橋洞一部)
서계동(西界洞):주교일부(舟橋一部) · 신촌동일부(新村洞一部) · 청파일계일부(靑坡一契一部) · 석교동일부(石橋洞一部)
봉래정일정목(蓬萊町一丁目):굴정동(窟井洞) · 은행동(銀杏洞) · 순동일부(巡洞一部) · 자암동일부(紫岩洞一部) · 매동(梅洞) · 분동일부(盆洞一部)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남정동일부(藍井洞一部)
봉래정이정목(蓬萊町二丁目):약전중동일부(藥田中洞一部)
봉래정삼정목(蓬萊町三丁目):약전중동일부(藥田中洞一部) · 동산동일부(東山洞一部)
봉래정사정목(蓬萊町四丁目):동산동일부(東山洞一部)
중림동(中林洞):약전중동일부(藥田中洞一部) · 형제정동일부(兄弟井洞一部) · 한림동일부(翰林洞一部)
합동(蛤洞):한림동일부(翰林洞一部) · 합동일부(蛤洞一部) · 근동일부(芹洞一部)
미근동(渼芹洞):근동일부(芹洞一部) · 미동일부(尾洞一部)
의주통이정목(義州通二丁目):정자동(亭子洞) · 자암동일부(紫岩洞一部) · 치동일부(治洞一部) · 반천동(半泉洞) · 개정동(蓋井洞) · 포동(布洞) · 대동(帶洞) · 사거리일부(四巨里一部) · 한동(汗洞) · 합동일부(蛤洞一部)
화천정(和泉町):미전하차동일부(米廛下車洞一部) · 치동일부(治洞一部) · 구순청(舊巡廳) · 순동일부(巡洞一部) · 간동(簡洞) · 자암동일부(紫岩洞一部) 의주통일정목(義州通一丁目):미전하차동일부(米廛下車洞一部) · 서장동(西醬洞) · 양대동(凉臺洞) · 고마동일부(雇馬洞一部) · 미동일부(尾洞一部) · 근동일부(芹洞一部) · 사거리일부(四巨里一部) · 신교(新橋) · 미전상신동(米廛上新洞) · 경교일부(京橋一部)
죽첨정일정목(竹添町一丁目):평동일부(平洞一部) · 경구고마동일부(京口雇馬洞一部) · 신문외(新門外) · 경교일부(京橋一部)
죽첨정이정목(竹添町二丁目):미동일부(尾洞一部) · 유동(鍮洞) · 팔각동(八角洞) · 권정함계(權政函契) · 근동일부(芹洞一部) · 냉동일부(冷洞一部)
죽첨정삼정목(竹添町三丁目):형제정동일부(兄弟井洞一部) · 아현(阿峴) · 근동일부(芹洞一部)
평동(平洞):평동일부(平洞一部)
교남동(橋南洞):평남일부(平南一部) · 냉동일부(冷洞一部) · 석교일부(石橋一部) · 천변동일부(川邊洞一部)
냉동(冷洞):냉동일부(冷洞一部) · 이판동일부(李判洞一部)
천연동(天然洞):이판동일부(李判洞一部) · 석교일부(石橋一部)
옥천동(玉川洞):이판동일부(李判洞一部) · 옥폭동일부(玉瀑洞一部)
관동(**洞):옥폭동일부(玉瀑洞一部) · 관후동(**後洞) · 관전동일부(**前洞一部) · 장원정동일부(壯元亭洞一部)
교북동(橋北洞):장원정동일부(壯元亭洞一部) · 관전동일부(**前洞一部) · 신촌동일부(新村洞一部) · 홍화동(紅花洞) · 파발동일부(把撥洞一部) · 석교일부(石橋一部)
송월동(松月洞):송정동(松亭洞) · 천변동일부(川邊洞一部) · 월암동일부(月岩洞一部)
행촌동(杏村洞):신촌동일부(新村洞一部) · 곡정동(谷井洞) · 어수정동일부(御水井洞一部) · 은행동(銀杏洞)
홍파동(紅把洞):신촌동일부(新村洞一部) · 어수정동일부(御水井洞一部) · 홍문동(紅門洞) · 월암동일부(月岩洞一部) · 파발동일부(把撥洞一部) · 천변동일부(川邊洞一部)
현저동(峴底洞):모화현(慕華峴)
체부동(體府洞):구곡동(九曲洞) · 체부동(體府洞) · 누각동일부(樓閣洞一部)
누하동(樓下洞):오거리(五巨里) · 남척동(南隻洞) · 송목동(松木洞) · 장성동(長城洞) · 유목동(柳木洞) · 복정동(福井洞) · 누각동일부(樓閣洞一部)
누상동(樓上洞):누각동일부(樓閣洞一部)
다옥정(茶屋町):모교일부(毛橋一部) · 상다동일부(上茶洞一部) · 중다동(中茶洞) · 하다동일부(下茶洞一部) 황금정일정목(黃金町一丁目):유동(由洞) · 남천변동(南川邊洞) · 무교동일부(武橋洞一部) · 견정동(堅井洞) · 석정동일부(石井洞一部) · 미동일부(美洞一部) · 숙수방동(熟手房洞) · 휴지동(休紙洞) · 향목동(香木洞) · 궁내정동(宮內井洞) · 소공동일부(小公洞一部)
장곡천정(長谷川町):소공동일부(小公洞一部) · 저경궁동(儲慶宮洞) · 송현동일부(松峴洞一部) · 석정동일부(石井洞一部)
북미창정(北米倉町):사축동(司畜洞) · 송현동일부(松峴洞一部) · 양동일부(陽洞一部) · 태평동일부(太平洞一部) · 공대동(空垈洞)
남대문통사정목(南大門通四丁目):수교동일부(水橋洞一部) · 연지동일부(蓮池洞一部) · 태평동일부(太平洞一部) · 생사동일부(生祠洞一部) · 창동일부(倉洞一部)
남대문통삼정목(南大門通三丁目):상동일부(尙洞一部) · 수교동일부(水橋洞一部) · 송현동일부(松峴洞一部) · 장동일부(長洞一部) · 회동일부(會洞一部)
남대문통이정목(南大門通二丁目):소용동일부(小龍洞一部) · 대용동일부(大龍洞一部) · 장동일부(長洞一部) · 송현동일부(松峴洞一部) · 소공동일부(小公洞一部) · 동현일부(銅峴一部)
삼각정(三角町):대광교동일부(大廣橋洞一部) · 사자청동일부(寫字廳洞一部) · 홍문동(弘門洞) · 곡교동(曲橋洞) · 소광교동일부(小廣橋洞一部)
남대문통일정목(南大門通一丁目):미동일부(美洞一部) · 하다동일부(下茶洞一部) · 대광교동일부(大廣橋洞一部) · 사자청동일부(寫字廳洞一部) · 소광교동일부(小廣橋洞一部) · 석동일부(席洞一部) · 동현동일부(銅峴洞一部) · 광교동(廣橋洞) · 부정동일부(富井洞一部) · 백목전동일부(白木廛洞一部) · 청포후동일부(靑布後洞一部)
수하정(水下町):석동일부(席洞一部) · 수하동일부(水下洞一部) · 상리동일부(上犁洞一部) · 하리동일부(下犁洞一部)
장교정(長橋町):하리동일부(下犁洞一部) · 조동일부(棗洞一部) · 저동일부(苧洞一部) · 혜민동일부(惠民洞一部) · 묵정동일부(墨井洞一部) · 장교동(長橋洞)
수표정(水標町):혜민동일부(惠民洞一部) · 묵정동일부(墨井洞一部) · 수표교동(水標橋洞) · 죽동일부(竹洞一部) · 시동일부(詩洞一部) · 갑동일부(甲洞一部) 임정(林町):산림동일부(山林洞一部) · 삼대동(三臺洞) · 석중동(石中洞) · 연정동(鍊井洞) · 후동일부(後洞一部)
입정정(笠井町):시동일부(詩洞一部) · 하교동(河橋洞) · 갑동일부(甲洞一部) · 입정동일부(笠井洞一部) · 마계동(馬契洞) · 초동일부(草洞一部) · 구조산동(舊造山洞) · 사동일부(篩洞一部) · 산림동일부(山林洞一部)
주교정(舟橋町):후동일부(後洞一部) · 평정동(坪井洞) · 효교동(孝橋洞) · 창전동(昌廛洞)
방산정(芳山町):오교동일부(午橋洞一部) · 연방동일부(蓮坊洞一部)
황금정칠정목(黃金町七丁目):하도감동(下都監洞) · 동산리동일부(東山里洞一部) · 배동일부(裵洞一部) · 신당리(新堂里)
황금정육정목(黃金町六丁目):훈련원(訓練院) · 남소동일부(南小洞一部) · 남정동일부(藍井洞一部) · 연방동일부(蓮坊洞一部)
황금정오정목(黃金町五丁目):연방동일부(蓮坊洞一部) · 오교동일부(午橋洞一部) · 어교동일부(漁橋洞一部) · 대동일부(帶洞一部) · 근동(芹洞) · 청교동(靑橋洞) · 오장동일부(五壯洞一部)
황금정사정목(黃金町四丁目):청녕교동(靑寧橋洞) · 옹정동일부(甕井洞一部) · 원정동(園井洞) · 은동(銀洞) · 판정동일부(板井洞一部) · 직정동(直井洞) · 대인현동일부(大仁峴洞一部) · 산림동일부(山林洞一部)
황금정삼정목(黃金井三丁目):산림동일부(山林洞一部) · 초동일부(草洞一部) · 사동일부(篩洞一部) · 초동일부(椒洞一部) · 입정동일부(笠井洞一部) · 시동일부(詩洞一部) · 이동일부(履洞一部) · 죽동일부(竹洞一部)
황금정이정목(黃金町二丁目):죽동일부(竹洞一部) · 저동일부(苧洞一部) · 조동일부(棗洞一部) · 상리동일부(上犁洞一部) · 하리동일부(下犁洞一部) · 수하동일부(水下洞一部) · 동현동일부(銅峴洞一部) · 장악원동일부(長樂院洞一部) · 묵정동일부(墨井洞一部) · 냉정동일부(冷井洞一部) · 명동일부(明洞一部) · 구남부동일부(舊南部洞一部) · 소용동일부(小龍洞一部) · 혜민동일부(惠民洞一部)
명치정일정목(明治井一丁目):장악원동일부(掌樂院洞一部) · 명동일부(明洞一部) · 구남부동일부(舊南部洞一部) · 소용동일부(小龍洞一部) · 대용동일부(大龍洞一部) · 종현동일부(鍾峴洞一部) · 저동일부(苧洞一部)
명치정이정목(明治町二丁目):낙동일부(駱洞一部) · 대용동일부(大龍洞一部) · 명동일부(明洞一部) · 종현동일부(鐘峴洞一部) · 저동일부(苧洞一部)
영락정일정목(永樂町一丁目):저동일부(苧洞一部)
영락정이정목(永樂町二丁目):냉정동일부(冷井洞一部) · 죽동일부(竹洞一部) · 이동일부(履洞一部) · 궁기동일부(宮基洞一部) 약초정(若草町):궁기동일부(宮基洞一部) · 초동일부(椒洞一部) · 초동일부(草洞一部) · 이동일부(履洞一部)
앵정정일정목(櫻井町一丁目):필동일부(筆洞一部) · 상동(桑洞) · 산림동일부(山林洞一部) · 대인현동일부(大仁峴洞一部) · 회동일부(晦洞一部)
앵정정이정목(櫻井町二丁目):회동일부(晦洞一部) · 소인현동(小仁峴洞) · 대인현동일부(大仁峴洞一部) · 판정동일부(板井洞一部) · 인현동일부(仁峴洞一部) · 예동일부(藝洞一部) · 옹정동일부(甕井洞一部)
화원정(花園町):예동일부(藝洞一部) · 인현동일부(仁峴洞一部) · 옹정동일부(甕井洞一部) · 주교동일부(舟橋洞一部) · 심교동일부(沈橋洞一部) · 오궁동일부(五宮洞一部)
초음정(初音町):주교동일부(舟橋洞一部) · 심교동일부(沈橋洞一部) · 오장동일부(五壯洞一部) · 쌍림동일부(雙林洞一部) · 대동일부(帶洞一部)
광희정일정목(光熙町一丁目):어교동일부(漁橋洞一部) · 쌍림동일부(雙林洞一部) · 남정동일부(藍井洞一部) · 남소동일부(南小洞一部) · 석교동일부(石橋洞一部)
광희정이정목(光熙町二丁目):석교동일부(石橋洞一部) · 배동일부(裵洞一部) · 동산리동일부(東山里洞一部) · 남성저동(南城底洞) · 형제동(兄弟洞) · 곡정동(谷井洞) · 지례동일부(知禮洞一部) · 남소동일부(南小洞一部)
병목정(**木井):남소동일부(南小洞一部) · 쌍림동일부(雙林洞一部)
본정오정목(本町五丁目):쌍림동일부(雙林洞一部) · 오장동일부(五壯洞一部) · 심교동일부(沈橋洞一部) · 치현동일부(治峴洞一部) · 묵동일부(墨洞一部)
본정사정목(本町四丁目):오궁동일부(五宮洞一部) · 예동일부(藝洞一部) · 필동일부(筆洞一部) · 회동일부(晦洞一部) · 생민동(生民洞) · 묵동일부(墨洞一部)
본정삼정목(本町三丁目):초동일부(草洞一部) · 초동일부(椒洞一部) · 궁기동일부(宮基洞一部) · 필동일부(筆洞一部) · 주동일부(鑄洞一部)
본정이정목(本町二丁目):저동일부(苧洞一部) · 종현동일부(鐘峴洞一部) · 명동일부(明洞一部) · 주동일부(鑄洞一部)
본정일정목(本町一丁目):명동일부(明洞一部) · 대용동일부(大龍洞一部) · 낙동일부(駱洞一部) · 장동일부(長洞一部) · 회동일부(會洞一部)
남미창정(南米倉町):창동일부(倉洞一部) · 상동일부(尙洞一部)
욱정일정목(旭町一丁目):창동일부(倉洞一部) · 회동일부(會洞一部) · 호박동(琥珀洞)
욱정이정목(旭町二丁目):남산동일부(南山洞一部) · 회동일부(會洞一部) · 장동일부(長洞一部)
욱정삼정목(旭町三丁目):낙동일부(駱洞一部) · 남산동일부(南山洞一部)
남산정일정목(南山町一丁目):남산동일부(南山洞一部)
남산정이정목(南山町二丁目):남산동일부(南山洞一部)
남산정삼정목(南山町三丁目):남산동일부(南山洞一部)
왜성대정(倭城臺井):주동일부(鑄洞一部) · 남학동일부(南學洞一部)
수정(壽町):주동일부(鑄洞一部)
일지출정(日之出町):주동일부(鑄洞一部) · 남학동일부(南學洞一部)
대화정일정목(大和町一丁目):주동일부(鑄洞一部) · 필동일부(筆洞一部) · 남학동일부(南學洞一部)
대화정이정목(大和町二丁目):필동일부(筆洞一部) · 묵동일부(墨洞一部)
대화정삼정목(大和町三丁目):묵동일부(墨洞一部)
신정(新町):쌍림동일부(雙林洞一部) · 묵동일부(墨洞一部) · 치현동일부(治峴洞一部)
서사헌정(西四軒町):치현동일부(治峴洞一部) · 남소동일부(南小洞一部)
동서헌정(洞西軒町):남소동일부(南小洞一部) · 지례동일부(知禮洞一部) · 수평리(藪坪里)
원동(苑洞):원동(苑洞) · 관현(觀峴) · 계동일부(桂洞一部)
계동(桂洞):계동일부(桂洞一部)
가회동(嘉會洞):재동일부(齋洞一部) · 맹현(孟峴) · 동곡일부(東谷一部) · 계동일부(洞一部)
재동(齋洞):재동일부(齋洞一部) · 동곡일부(東谷一部) · 홍현일부(紅峴一部)
삼청동(三淸洞):삼청동(三淸洞) · 팔판동일부(八判洞一部)
팔판동(八判洞):팔판동일부(八判洞一部)
화동(花洞):화개동일부(花開洞一部) · 동곡일부(東谷一部) · 홍현일부(紅峴一部) · 소안동일부(小安洞一部)
안국동(安國洞):소안동일부(小安洞一部) · 홍현일부(紅峴一部) · 안현(安峴) · 재동일부(齋洞一部)
소격동(昭格洞):소격동(昭格洞) · 화개동일부(花開洞一部) · 대안동일부(大安洞一部)
송현동(松峴洞):대안동일부(大安洞一部) · 벽동일부(碧洞一部) · 송현일부(松峴一部) · 고리정동(古里井洞)
간동(諫洞):간동(諫洞) · 벽동일부(碧洞一部)
중학동(中學洞):송현일부(松峴一部) · 중학교동(中學橋洞) · 벽동일부(碧洞一部) · 수문동일부(水門洞一部) · 동곡(東谷)
광화문통(光化門通):수문동일부(水門洞一部) · 예빈동(禮賓洞) · 두석동일부(豆錫洞一部) · 황토현일부(黃土峴一部) · 사온동일부(司**洞一部) · 도염동일부(都染洞一部) · 공후동일부(工後洞一部) · 보민동(保民洞) · 삼간동(三澗洞) · 송교일부(松橋一部) · 구서부동일부(舊西部洞一部) · 서학현일부(西學峴一部) · 광제교(廣濟橋) · 동령동(東嶺洞) · 황토현(黃土峴) · 하방교일부(下芳橋一部) · 당피동일부(唐皮洞一部) · 송교일부(松橋一部)
통의동(通義洞):매동(梅洞) · 서문동(西門洞) · 대동일부(帶洞一部) · 장동일부(壯洞一部)
통동(通洞):통곡(通谷) · 사포동(司圃洞) · 옥동일부(玉洞一部)
옥인동(玉仁洞):옥동일부(玉洞一部) · 인왕동(仁王洞)
창성동(昌成洞):옥정동(玉井洞) · 대동일부(帶洞一部) · 간곡(間谷) · 창성동(昌成洞) · 장동일부(壯洞一部) · 백구동일부(白狗洞一部)
효자동(孝子洞):백구동일부(白狗洞一部) · 동곡일부(東谷一部) · 육상궁동일부(毓祥宮洞一部) · 장동일부(壯洞一部) · 효곡(孝谷) · 온정동일부(溫井洞一部) · 신교일부(新橋一部)
신교동(新橋洞):신교일부(新橋一部)
궁정동(宮井洞):육상궁동일부(毓祥宮洞一部) · 동곡일부(東谷一部) · 온정동일부(溫井洞一部) · 신교일부(新橋一部) · 박정동일부(朴井洞一部)
청운동(淸雲洞):백운동(白雲洞) · 청풍동(淸風洞) · 박정동일부(朴井洞一部) · 신교일부(新橋一部)
서린동(瑞麟洞):사기전동일부(砂器廛洞一部) · 피마동일부(避馬洞一部) · 혜천일부(惠川一部) · 모교합동일부(毛橋蛤洞一部) · 백목전동일부(白木廛洞一部) · 부정동일부(富井洞一部) · 전옥동(典獄洞) · 송교일부(松橋一部) · 허병일부(許屛一部) · 추동(椎洞)
관철동(貫鐵洞):청포후동일부(靑布後洞一部) · 혜전후동일부(鞋廛後洞一部) · 염동일부(鹽洞一部) · 동곡일부(東谷一部) · 장교동(長橋洞) · 관자동(貫子洞) · 입동일부(笠洞一部) · 정자동(丁字洞)
관수동(觀水洞):입동일부(笠洞一部) · 비파동일부(琵琶洞一部) · 모곡동일부(帽谷洞一部) · 상판교일부(上板橋一部)
장사동(長沙洞):상판교일부(上板橋一部) · 하판동일부(下板洞一部) · 모곡동일부(帽谷洞一部) · 하교(河橋) · 판정동(板井洞) · 중부동일부(中部洞一部)
종로일정목(鍾路一丁目):두석동일부(豆錫洞一部) · 피마동일부(避馬洞一部) · 혜천일부(惠川一部) · 상사동일부(想思洞一部) · 외상사동일부(外相思洞一部) · 황토현일부(黃土峴一部) · 허병일부(許屛一部) · 합동일부(蛤洞一部) · 주전동(紬廛洞)
종로이정목(鍾路二丁目):청포후동일부(靑布后洞一部) · 혜전후동일부(鞋廛後洞一部) · 염동일부(鹽洞一部) · 동곡일부(東谷一部) · 철물교(鐵物橋) · 입동일부(笠洞一部) · 포병동일부(布屛洞一部) · 전동일부(典洞一部) · 이문동일부(里門洞一部) · 향정동일부(香井洞一部) · 수전동일부(水典洞一部) · 승동일부(承洞一部) · 탑동일부(塔洞一部) · 교동일부(校洞一部) · 발리동일부(鉢里洞一部)
종로삼정목(鍾路三丁目):포병동일부(布屛洞一部) · 비파동일부(琵琶洞一部) · 모곡동일부(帽谷洞一部) · 상판교일부(上板橋一部) · 중부동일부(中部洞一部) · 교동일부(校洞一部) · 주동일부(紬洞一部) · 묘동일부(廟洞一部) · 하판동일부(下板洞一部) · 피마동(避馬洞) · 입동일부(笠洞一部)
수송동(壽松洞):수진동일부(壽進洞一部) · 송현(松峴) · 전동(**洞) · 중학교(中學橋) · 사복동(司僕洞) · 괴정동(槐井洞)
청진동(淸進洞):수진동일부(壽進洞一部) · 외상사동일부(外相思洞一部) · 상사동일부(想思洞一部) · 미전동(米廛洞) · 금부후동일부(禁府後洞一部) · 상동(相洞)
견지동(堅志洞):전동일부(典洞一部) · 청석동일부(靑石洞一部) · 대사동일부(大寺洞一部) · 금부후동일부(禁府後洞一部) · 빙고동(氷庫洞) · 도화동(圖畵洞) · 동정동(銅井洞)
공평동(公平洞):전동일부(典洞一部) · 금부후동일부(禁府後洞一部) · 괴동(槐洞) · 발리동일부(鉢里洞一部) · 이문동일부(里門洞一部)
관훈동(寬勳洞):대사동일부(大寺洞一部) · 청석동일부(靑石洞一部) · 훈동(勳洞)
인사동(仁寺洞):대사동일부(大寺洞一部) · 이문동일부(里門洞一部) · 향정동일부(香井洞一部) · 수전동일부(水典洞一部) · 승동일부(承洞一部) · 원동일부(園洞一部)
경운동(慶雲洞):교동일부(校洞一部) · 석정동(石井洞)
낙원동(樂園洞):교동일부(校洞一部) · 원동일부(園洞一部) · 탑동일부(塔洞一部) · 한동일부(漢洞一部) · 어의동일부(於義洞一部) · 주동일부(紬洞一部)
운니동(雲泥洞):이동일부(泥洞一部)
익선동(益善洞):궁동(宮洞) · 익동(益洞) · 돈녕동(敦寧洞) · 이동일부(泥洞一部) · 한동일부(漢洞一部)
돈의동(敦義洞):한동일부(漢洞一部) · 어의동일부(於義洞一部) · 장대장동(長大將洞) · 누동일부(樓洞一部) · 세동일부(細洞一部)
적선동(積善洞):사온동일부(司**洞一部) · 어교(魚橋) · 월궁동(月宮洞) · 십자교(十字橋) · 장흥고동일부(長興庫洞一部) · 종교일부(宗橋一部)
도염동(都染洞):의영고동(義盈庫洞) · 도염동일부(都染洞一部) · 사온동일부(司**洞一部) · 공후동일부(工後洞一部)
청엽정일정목(靑葉町一丁目):청파일계일부(靑坡一契一部) · 청파이계(靑坡二契)
청엽정이정목(靑葉町二丁目):청파이계일부(靑坡二契一部) · 청파사계일부(靑坡四契一部)
청엽정삼정목(靑葉町三丁目):청파삼계일부(靑坡三契一部) · 청파사계일부(靑坡四契一部)
원정일정목(元町一丁目):청파사계일부(靑坡四契一部) · 하마비계일부(下馬碑契一部)
원정이정목(元町二丁目):동문외일부(東門外一部)
원정삼정목(元町三丁目):동문외일부(東門外一部)
원정사정목(元町四丁目):형제정일부(兄弟井一部) · 탄항일부(灘項一部)
금정(錦町):하마비계일부(下馬碑契一部) · 만리창일부(萬里倉一部)
미생정(彌生町):만리창일부(萬里倉一部)
대도정(大島町):하마비계일부(下馬碑契一部) · 동문외일부(東門外一部)
영정(榮町):동문외일부(東門外一部)
청수정(淸水町):신창내일부(新倉內一部) · 동문외일부(東門外一部) · 진휼창(賑恤倉) · 형제정일부(兄弟井一部)
산수정(山手町):탄항일부(灘項一部) · 형제정일부(兄弟井一部) · 도화외동일부(桃花外洞一部)
암근정(岩根町):도화외동일부(桃花外洞一部) · 도화내동일부(桃花內洞一部)
도화동(桃花洞):도화내동일부(桃花內洞一部) · 마포일부(麻浦一部)
마포동(麻浦洞):마포일부(麻浦一部)
삼판통(三坂通):갈월리일부(葛月里一部) · 전생동(典牲洞)
이촌동(二村洞):신초리(新草里) · 사촌리(沙村里) · 신촌리(新村里)
경정(京町):청파사계일부(靑坡四契一部)」
경성부는 1914년 9월 27일 조례 제8호로서 동부, 서부, 북부, 용산에 4개의 출장소를 설치하고 각 동을 관할하게 하였으며 남부는 경성부가 직할하였는데 이 때의 4개 출장소의 관할구역을 살펴보면 <표:출장소의 관할구역>와 같다.[註49]
1915년 6월에는 용산출장소만 남기고 다른 3개의 출장소는 폐지하고 경성부가 직할하였다. 이와 같은 경성부의 행정구역은 22년간 내려오다가 1936년 2월 14일 조선총독부는 부령 제8호로서 경성부의 관할구역을 대대적으로 확장하여 고양군, 시흥군, 김포군 관내로부터 많은 지역을 편입하고 동년 4월 1일부터 시행하였다. 이 때에 편입된 지역을 살펴보면 <표:고양군 관내에서 편입된 지역>와 같다.[註50]
이상과 같이 1읍8면71개리와 5개리의 1부가 새로 경성부로 편입되었고 동시에 동부, 서부, 용산, 영등포에 출장소를 설치하여 관할하였다.
1943년 4월 1일에 출장소제도를 폐지하고 구제도를 실시하였는데 이 때에 설치된 구는 용산출장소를 용산구로, 동부출장소를 동대문구와 성동구로 서부출장소를 서대문구로 영등포출장소를 영등포구로 하고 도성내를 중구와 종로구로 하여 7구제도를 실시하였고, 다음해인 1944년에는 서대문구의 인접지역인 연희면의 일부를 경성부로 편입하고 서대문구를 재조정하여 마포구를 신설하였다.[註51]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여 열광적인 환희속에 서울은 다시 우리민족의 수도가 되었으나 한반도는 통일된 독립국가를 이룩하지 못하고 38선이 그어져 38선 이북에는 소련군이 진주하고, 38선 이남에는 1945년 9월 19일부터 미군정이 실시되어 경성부는 미군정치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동년 10월 25일 한성부윤으로 이범승(李範昇)이 부임하여 경성부 행정을 관할하였으며 다음해인 1946년 8월 15일에는 법령 제108호로서 경성부를 서울특별자유시라 개칭하고 경기도에 예속되었던 행정기구도 독립하여 서울특별자유시는 직능과 권한이 도와 동등하게 되었다.
1946년 10월 9일에는 서울특별자유시의 행정기구를 개편하여 종래에 1실 4부였던 것을 8개국으로 하는 동시에 서울특별자유시 헌장 제1조에 의하여 행정구역의 명칭을 변경하였는데 구제도는 종전과 같이 8구제를 실시하였고 동은 267동이었다. 동명은 종전의 일본식동명을 일소하는 동시에 한성부 때부터 내려오는 유서깊은 동명 또는 위인이나 선철(先哲)들의 이름을 따서 새로 제정하였는데 정목(丁目)은 가(街)로 통(通)은 로(路)로 동은 그대로 하였다. 이 때에 새로 제정된 동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註52]

「○ 中區
태평로일가(太平路一街)(태평통일정목(太平通一丁目)), 태평로이가(太平路二街)(태평통이정목(太平通二丁目)), 남대문로일가(南大門路一街)(남대문통일정목(南大門通一丁目)),, 남대문로이가(南大門路二街)(남대문통이정목(南大門通二丁目)),, 남대문로삼가(南大門路三街)(남대문통삼정목(南大門通三丁目)), 남대문로사가(南大門路四街)(남대문통사정목(南大門通四丁目)), 남대문로오가(南大門路五街)(남대문통오정목(南大門通五丁目)), 양동(陽洞)(어성정(御成町)), 도동일가(桃洞一街)(길야정일정목(吉野町一丁目)), 도동이가(桃洞二街)(길야정이정목(吉野町二丁目)), 동자동(東子洞)(고시정(古市町)), 봉래동일가(蓬萊洞一街)(봉래정일정목(蓬萊町一丁目)), 방산동(芳山洞)(방산정(芳山町)), 주교동(舟橋洞)(주교정(舟橋町)), 산림동(山林洞)(임정(林町)), 입정동(笠井洞)(입정정(笠井町)), 수표동(水標洞)(수표정(水標町)), 장교동(長橋洞)(장교정(長橋町)), 수하동(水下洞)(수하정(水下町)), 삼각동(三角洞)(삼각정(三角町)), 다동(茶洞)(다옥정(茶屋町)), 무교동(武橋洞)(무교정(武橋町)), 을지로일가(乙支路一街)(황금정일정목(黃金町一丁目)), 을지로이가(乙支路二街)(황금정이정목(黃金町二丁目)), 을지로삼가(乙支路三街)(황금정삼정목(黃金町三丁目)), 을지로사가(乙支路四街)(황금정사정목(黃金町四丁目)), 을지로오가(乙支路五街)(황금정오정목(黃金町五丁目)), 을지로육가(乙支路六街)(황금정육정목(黃金町六丁目)), 을지로칠가(乙支路七街)(황금정칠정목(黃金町七丁目)), 광희동일가(光熙洞一街)(광희정일정목(光熙町一丁目)), 광희동이가(光熙洞二街)(광희정이정목(光熙町二丁目)), 오장동(五壯洞)(초음정(初音町)), 예관동(藝**洞)(화원정(花園町)), 인현동일가(仁峴洞一街)(앵정정일정목(櫻井町一丁目)), 인현동이가(仁峴洞二街)(인현동이가(仁峴洞二街)), 초동(草洞)(약초정(若草町)), 저동일가(苧洞一街)(영락정일정목(永樂町一丁目)), 저동이가(苧洞二街)(영락정이정목(永樂町二丁目)), 명동일가(明洞一街)(명치정일정목(明治町一丁目)), 명동이가(明洞二街)(명치정이정목(明治町二丁目)), 소공동장곡천정(小公洞長谷川町), 충무로일가(忠武路一街)(본정일정목(本町一丁目)), 충무로이가(忠武路二街)(본정이정목(本町二丁目)), 충무로삼가(忠武路三街)(본정삼정목(本町三丁目)), 충무로사가(忠武路四街)(본정사정목(本町四丁目)), 충무로오가(忠武路五街)(본정오정목(本町五丁目)), 쌍림동(雙林洞)(병목정(**木町)), 장충동일가(奬忠洞一街)(동서헌정(東西軒町)), 장충동이가(奬忠洞二街)(동서헌정(東西軒町)), 묵정동(墨井洞)(신정(新町)), 필동일가(筆洞一街)(대화정일정목(大和町一丁目)), 필동이가(筆洞二街)(대화정이정목(大和町二丁目)), 필동삼가(筆洞三街)(대화정삼정목(大和町三丁目)), 남학동(南學洞)(일지출정(日之出町)), 예장동(藝場洞)(왜성대정(倭城臺町)), 주자동(鑄字洞)(수정(壽町)), 남산동일가(南山洞一街)(남산정일정목(南山町一丁目)), 남산동이가(南山洞二街)(남산정이정목(南山町二丁目)), 남산동삼가(南山洞三街)(남산정삼정목(南山町三丁目)), 회현동일가(會賢洞一街)(욱정일정목(旭町一丁目)), 회현동이가(會賢洞二街)(욱정이정목(旭町二丁目)), 회현동삼가(會賢洞三街)(욱정삼정목(旭町三丁目)), 북창동(北倉洞)(북미창정(北米倉町)), 남창동(南倉洞)(남미창정(南米倉町))

○ 鍾路區
누상동(樓上洞)(누상정(樓上町)), 누하동(樓下洞)(누하정(樓下町), 옥인동(玉仁洞)(옥인정(玉仁町)), 신교동(新橋洞)(신교정(新橋町)), 청운동(淸雲洞)(청운정(淸雲町)), 궁정동(宮井洞)(궁정정(宮井町)), 효자동(孝子洞)(효자정(孝子町)), 창성동(昌成洞)(창성정(昌成町), 통인동(通仁洞)(통인정(通仁町)), 통의동(通義洞)(통의정(通義町)), 체부동(體府洞)(체부정(體府町)), 필운동(弼雲洞)(필운정(弼雲町)), 사직동(社稷洞)(사직정(社稷町)), 내자동(內資洞)(내자정(內資町)), 적선동(積善洞)(적선정(積善町)), 도렴동(都染洞)(도렴정(都染町)), 내수동(內需洞)(내수정(內需町)), 당주동(唐珠洞)(당주정(唐珠町)), 서대문로일가(西大門路一街)(서대문정일정목(西大門町一丁目)), 서대문로이가(西大門路二街)(서대문정이정목(西大門町二丁目)), 세종로(世宗路)(광화문통(光化門通)), 서린동(瑞麟洞)(서린정(瑞麟町)), 종로일가(鍾路一街)(종로일정목(鍾路一丁目)), 종로이가(鍾路二街)(종로이정목(鍾路二丁目)), 종로삼가(鍾路三街)(종로삼정목(鍾路三丁目)), 종로사가(鍾路四街)(종로사정목(鍾路四丁目)), 종로오가(鍾路五街)(종로오정목(鍾路五丁目)), 종로육가(鍾路六街)(종로육정목(鍾路六丁目)), 청진동(淸進洞)(청진정(淸進町)), 수송동(壽松洞)(수송정(壽松町)), 중학동(中學洞)(중학정(中學町)), 사간동(司諫洞)(사간정(司諫町)), 송현동(松峴洞)(송현정(松峴町)), 소격동(昭格洞)(소격정(昭格町)), 화동(花洞)(화동정(花洞町)), 팔판동(八判洞)(팔판정(八判町)), 삼청동(三淸洞)(삼청정(三淸町)), 가회동(嘉會洞)(가회정(嘉會町)), 제동(齊洞)(제동정(齊洞町)), 안국동(安國洞)(안국정(安國町)), 경운동(慶雲洞)(경운정(慶雲町), 관훈동(寬勳洞)(관훈정(寬勳町)), 견지동(堅志洞)(견지정(堅志町)), 공평동(公平洞)(공평정(公平町)), 관철동(貫鐵洞)(관철정(貫鐵町)), 인사동(仁寺洞)(인사정(仁寺町)), 낙원동(樂園洞)(낙원정(樂園町)), 돈의동(敦義洞)(돈의정(敦義町)), 익선동(益善洞)(익선정(益善町)), 운니동(雲泥洞)(운니정(雲泥町)), 계동(桂洞)(계동정(桂洞町)), 원서동(苑西洞)(원서정(苑西町)), 와룡동(臥龍洞)(와룡정(臥龍町)), 권농동(勸農洞)(권농정(勸農町)), 묘동(廟洞)(수은정(授恩町)), 봉익동(鳳翼洞)(봉익정(鳳翼町)), 훈정동(薰井洞)(훈정정(薰井町)), 관수동(觀水洞)(관수정(觀水町)), 장사동(長沙洞)(장사정(長沙町)), 예지동(禮智洞)(예지정(禮智町)), 인의동(仁義洞)(인의정(仁義町)), 원남동(苑南洞)(원남정(苑南町)), 연지동(蓮池洞)(연지정(蓮池町)), 효제동(孝悌洞)(효제정(孝悌町)), 연건동(蓮建洞)(연건정(蓮建町)), 명륜동일가(明倫洞一街)(명륜정일정목(明倫町一丁目)), 명륜동이가(明倫洞二街)(명륜정이정목(明倫町二丁目)), 명륜동삼가(明倫洞三街)(명륜정삼정목(明倫町三丁目)), 명륜동사가(明倫洞四街)(명륜정사정목(明倫町四丁目)), 혜화동(惠化洞)(혜화정(惠化町)), 동숭동(東崇洞)(동숭정(東崇町)), 이화동(梨花洞)(이화정(梨花町)), 충신동(忠信洞)(충신정(忠信町))

○ 東大門區
돈암동(敦岩洞)(돈암정(敦岩町)), 창신동(昌信洞)(창신정(昌信町)), 숭인동(崇仁洞)(숭인정(崇仁町)), 신설동(新設洞)(신설정(新設町)), 용두동(龍頭洞)(용두정(龍頭町)), 안암동(安岩洞)(안암정(安岩町)), 제기동(祭基洞)(제기정(祭基町)), 청량리동(淸凉里洞)(청량리정(淸凉里町)), 회기동(回基洞)(회기정(回基町)), 이문동(里門洞)(이문정(里門町)), 휘경동(徽慶洞)(휘경정(徽慶町)), 전농동(典農洞)(전농정(典農町)), 종암동(鍾岩洞)(종암정(鍾岩町)),답십리동(踏十里洞)(답십리정(踏十里町)), 성북동(城北洞)(성북정(城北町))

○ 城東區
사근동(沙斤洞)(사근정(沙斤町)), 마장동(馬場洞)(마장정(馬場町)), 행당동(杏堂洞)(행당정(杏堂町)), 응봉동(鷹峰洞)(응봉정(鷹峰町)), 금호동(金湖洞)(금호정(金湖町)), 하왕십리동(下往十里洞)(하왕십리정(下往十里町)), 상왕십리동(上往十里洞)(상왕십리정(上往十里町)), 신당동(新堂洞)(신당정(新堂町)), 옥수동(玉水洞)(옥수정(玉水町))

○ 西大門區
정동(貞洞)(정동정(貞洞町)), 서소문동(西小門洞)(서소문정(西小門町)), 만리동일가(萬里洞一街)(봉래정삼정목(蓬萊町三丁目)), 만리동이가(萬里洞二街)(봉래정사정목(蓬萊町四丁目)), 순화동(巡和洞)(화천정(和泉町)), 의주로일가(義州路一街)(의주통일정목(義州通一丁目)), 의주로이가(義州路二街)(의주통이정목(義州通二丁目)), 중림동(中林洞)(중림정(中林町)), 합동(蛤洞)(합정(蛤町)), 충정로일가(忠正路一街)(죽첨정일정목(竹添町一丁目)), 충정로이가(忠正路二街)(죽첨정이정목(竹添町二丁目)), 충정로삼가(忠正路三街)(죽첨정삼정목(竹添町三丁目)), 대현동(大峴洞)(대현정(大峴町)), 노고산동(老姑山洞)(노고산정(老姑山町)), 창천동(滄川洞)(창천정(滄川町)), 연희동(延禧洞)(연희정(延禧町)), 신촌동(新村洞)(신촌정(新村町)), 봉원동(奉元洞)(봉원정(奉元町)), 북아현동(北阿峴洞)(북아현정(北阿峴町)), 북아현정(北阿峴町)(미근정(渼芹町)), 평동(平洞)(평동정(平洞町)), 송월동(松月洞)(송월정(松月町)), 교남동(橋南洞)(교남정(橋南町)), 냉천동(冷泉洞)(냉천정(冷泉町)), 천연동(天然洞)(천연정(天然町)), 옥천동(玉川洞)(옥천정(玉川町)), 영천동(靈泉洞)(관동정(**洞町)), 교북동(橋北洞)(교북정(橋北町)), 홍파동(紅把洞)(홍파정(紅把町)), 행촌동(杏村洞)(행촌정(杏村町)), 현저동(峴底洞)(현저정(峴底町)), 홍제동(弘濟洞)(홍제정(弘濟町)), 홍지동(弘智洞)(홍지정(弘智町)), 신영동(新營洞)(신영정(新營町)), 부암동(付岩洞)(부암정(付岩町))

○ 龍山區
서계동(西界洞)(서계정(西界町)), 후암동(厚岩洞)(삼판정(三板町)), 갈월동(葛月洞)(강기정(岡崎町)), 남영정(南營町)(연병정(練兵町)), 한강로일가(漢江路一街)(한강통일정목(漢江通一丁目)), 한강로이가(漢江路二街)(한강통이정목(漢江通二丁目)), 한강로삼가(漢江路三街)(한강통삼정목(漢江通三丁目)), 용산동일가(龍山洞一街)(용산정일정목(龍山町一丁目)), 용산동이가(龍山洞二街)(용산정이정목(龍山町二丁目)), 용산동삼가(龍山洞三街)(용산정삼정목(龍山町三丁目)), 용산동사가(龍山洞四街)(용산정사정목(龍山町四丁目)), 용산동오가(龍山洞五街)(용산정오정목(龍山町五丁目)), 용산동육가(龍山洞六街)(용산정육정목(龍山町六丁目)), 이태원동(梨泰院洞)(이태원정(梨泰院町)), 한남동(漢南洞)(한남정(漢南町)), 보광동(普光洞)(보광정(普光町)), 주성동(鑄城洞)(주성정(鑄城町)), 동빙고동(東氷庫洞)(동빙고정(東氷庫町)), 서빙고동(西氷庫洞)(서빙고정(西氷庫町)), 이촌동(二村洞)(이촌정(二村町)), 청파동일가(靑坡洞一街)(청엽정일정목(靑葉町一丁目)), 청파동이가(靑坡洞二街)(청엽정이정목(靑葉町二丁目)), 청파동삼가(靑坡洞三街)(청엽정삼정목(靑葉町三丁目)), 문배동(文培洞)(경정(京町)), 신계동(新契洞)(영정(榮町)), 원효로일가(元曉路一街)(元町一丁目(元町一丁目)), 원효로이가(元曉路二街)(원정이정목(元町二丁目)), 원효로삼가(元曉路三街)(원정삼정목(元町三丁目)), 원효로사가(元曉路四街)(원정사정목(元町四丁目)), 청암동(淸岩洞)(암근정(岩根町)), 산천동(山泉洞)(산수정(山手町)), 신창동(新倉洞)(청수정(淸水町)), 도원동(桃園洞)(미생정(彌生町)), 용문동(龍門洞)(대도정(大島町)), 효창동(孝昌洞)(금정(錦町))

○ 麻浦區
아현동(阿峴洞)(아현정(阿峴町)), 공덕동(孔德洞)(공덕정(孔德町)), 신공덕동(新孔德洞)(신공덕정(新孔德町)), 도화동(桃花洞)(도화정(桃花町)), 마포동(麻浦洞)(마포정(麻浦町)), 토정동(土亭洞)(토정정(土亭町)), 용강동(龍江洞)(용강정(龍江町)), 염리동(鹽里洞)(염리정(鹽里町)), 대흥동(大興洞)(대흥정(大興町)), 신수동(新水洞)(신수정(新水町)), 구수동(舊水洞)(구수정(舊水町)), 현석동(玄石洞)(현석정(玄石町)), 신정동(新井洞)(신정정(新井町)), 하중동(賀中洞)(하중정(賀中町)), 창전동(倉前洞)(창전정(倉前町)), 동교동(東橋洞)(동교정(東橋町)), 서교동(西橋洞)(서교정(西橋町)), 상수동(上水洞)(상수일정(上水溢町), 하수동(下水洞)(하수일정(下水溢町)), 당인동(唐人洞)(당인정(唐人町), 합정동(合井洞)(합정정(合井町)), 망원동(望遠洞)(망원정(望遠町)), 율도동(栗島洞)(율도정(栗島町))

○ 永登浦區
여의도(汝矣島)(여의도정(汝矣島町)), 동작동(銅雀洞)(동작정(銅雀町)), 흑석동(黑石洞)(흑석정(黑石町)), 본동(本洞)(본동정(本洞町)), 노량진동(露梁津洞)(노량진정(露梁津町)), 상도동(上道洞)(상도정(上道町)), 대방동(大方洞)(번대방정(番大方町)), 신길동(新吉洞)(신길정(新吉町)), 도림동(道林洞)(도림정(道林町)), 영등포동(永登浦洞)(영등포정(永登浦町)), 당상동(堂上洞)(당상정(堂上町)), 양평동(楊平洞)(양평정(楊平町)), 양화동(楊花洞)(양화정(楊花町))」

한편 일제의 통치를 벗어난 서울은 국제적 대도시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으며 특히 국토의 분단으로 인한 월남동포의 급격한 증가와 해외로부터 귀국하는 동포 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요인으로 인구가 급격히 팽창하여 서울의 확장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따라서 1949년 8월 15일 대통령령 제159호와 제161호로 고양군, 시흥군으로부터 134.415㎢ 달하는 광대한 지역을 서울특별시에 편입하였는데 이 때에 편입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註53]

「◎ 고양군으로부터 편입된 지역
○ 纛島面一圓(뚝도지구)
서독도리[西纛島里, 성수동일가(聖水洞一街)], 동독도리[東纛島里, 성수동이가(聖水洞二街)], 화양리[華陽里, 화양동(華陽洞)], 송정리[松亭里, 송정동(松亭洞)], 모진리[毛陳里, 모진동(毛陳洞)], 능리[陵里, 능동(陵洞)], 중곡리[中谷里, 중곡동(中谷洞)], 군자리[君子里, 군자동(君子洞)], 면목리[面牧里, 면목동(面牧洞)], 구의리[九宜里, 구의동(九宜洞)], 자양리[紫陽里, 자양동(紫陽洞)], 신천리[新川里, 신천동(新川洞)], 잠실리[蠶室里, 잠실동(蠶室洞)]. 이상은 성동구(城東區)로 편입
○ 恩平面一圓(은평지구와 연희면 일부)
은평면 중에서 녹번리[碌磻里, 녹번동(碌磻洞)], 응암리[鷹岩里, 응암동(鷹岩洞)], 역촌리[驛村里, 역촌동(驛村洞)], 신사리[新寺里, 신사동(新寺洞)], 불광리[佛光里, 불광동(佛光洞)], 갈현리[葛峴里, 갈현동(葛峴洞)], 귀산리[龜山里, 귀산동(龜山洞)], 홍제외리[弘濟外里, 홍은동(弘恩洞)], 평창리[平倉里, 평창동(平倉洞)], 구기리[舊基里, 구기동(舊基洞)], 대조리[大棗里, 대조동(大棗洞)]와 연희면(延禧面) 중에서 수색리[水色里, 수색동(水色洞)], 증산리[繒山里, 증산동(繒山洞)], 북가좌리[北加佐里, 북가좌동(北加佐洞)], 상암리[上岩里, 상암동(上岩洞)], 성산리[城山里, 성산동(城山洞)], 중리[中里, 중리동(中里洞)]. 이상은 서대문구(西大門區)에 편입
○ 崇仁面(숭인지구)
정릉리(貞陵里)[1936년 4월 1일 편입에서 제외된 구역전부][정릉일동(貞陵一洞), 정릉이동(貞陵二洞)], 미아리[彌阿里, 미아1,2,3동(彌阿1,2,3洞)], 장위리[長位里, 장위동(長位洞)], 석관리[石串里, 석관동(石串洞)], 번리[樊里, 번동(樊洞)], 우이리[牛耳里, 우이동(牛耳洞)], 수유리[水踰里, 수유동(水踰洞)], 상월곡리[上月谷里, 상월곡동(上月谷洞)], 하월곡리[下月谷里, 하월곡동(下月谷洞)]를 성북구(城北區)에 편입

◎ 시흥군으로부터 편입된 지역
○ 동면[東面, 구로지구(九老地區)]
도림리[도림1, 2동(道林1, 2洞)], 구로리[구로동(九老洞)]를 영등포구에 편입.」

이상과 같이 4개 지구를 편입하여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은 종전의 135.355㎢에서 269.770㎢에 달하게 되었으며, 이 때에 성북구를 신설하여 서울특별시는 9구 314개동이 되었다.[註54] 당시 서울특별시의 인구는 약 160만을 상회하게 되었다. 동년 7월 4일에는 지방자치법이 공포되어 시정에 큰 쇄신을 가져오던 중 1950년 뜻하지 않은 6 · 25전쟁으로 말미암아 모든 행정권이 정지되고 수도는 부산으로 갔다가 1953년 9월 28일 서울수복 후 다시 서울로 돌아왔는데 그동안 서울의 전재상황(戰災狀況)은 이루말 할 수 없을 정도였다.
서울 수복 이후 수도의 복구는 눈부시게 진전되어 국제도시로서 자처할 만큼 발전되었고 법적지위도 향상되어 1962년 10월 27일에는 각령 제223호로서 서울특별시는 국무총리 직속기관으로 되었다. 1963년 1월 1일에는 법률 제372호로서 양주군의 구리면, 노해면과 광주군의 구천면, 언주면, 중대면, 대왕면, 김포군의 양동면, 양서면, 부천군의 오정면, 소사읍, 시흥군의 동면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서울특별시로 편입하였다. 이 때에 편입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註55]

「① 동대문구(東大門區)에 편입된 지역
양주군 노해면 중에서 상봉리[上鳳里, 상봉동(上鳳洞)], 중하리[中下里, 중화동(中和洞)], 망우리[忘憂里, 망우동(忘憂洞)], 묵동리[墨洞里, 묵동(墨洞)], 신내리[新內里, 신내동(新內洞)]
② 성동구(城東區)에 편입된 지역
명일리[明逸里, 명일동(明逸洞)], 암수리[岩壽里, 암수동(岩壽洞)], 고덕리[高德里, 고덕동(高德洞)], 하일리[下一里, 하일동(下一洞)], 길리[吉里, 길동(吉洞)], 수림리[壽林里, 수림동(壽林洞)], 성내리[城內里, 성내동(城內洞)], 풍납리[風納里, 풍납동(風納洞)], 곡교리[谷橋里, 천호동(千戶洞)], 송파리[송파동(松坡洞)], 석촌리[石村里, 석촌동(石村洞)], 삼전리[三田里, 삼전동(三田洞)], 가락리[可樂里, 가락동(可樂洞)], 이리[二里, 이동(二洞)], 방이리[芳荑里, 방이동(芳荑洞)], 오금리[梧琴里, 오금동(梧琴洞)], 문정리[文井里, 문정동(文井洞)], 장지리[長旨里, 장지동(長旨洞)], 거여리[巨餘里, 거여동(巨餘洞)], 마천리[馬川里, 마천동(馬川洞)], 일원리[逸院里, 일원동(逸院洞)], 수서리[水西里, 수서동(水西洞)], 자곡리[紫谷里, 자곡동(紫谷洞)], 율현리[栗峴里, 율현동(栗峴洞)], 세곡리[細谷里, 세곡동(細谷洞)], 광주군(廣州郡) 언주면(彦州面) 중에서 역삼리[驛三里, 역삼동(驛三洞)], 논현리[論峴里, 논현동(論峴洞)], 신사리[新沙里, 신사동(新沙洞)], 압구정리[狎鷗亭里, 압구정동(狎鷗亭洞)], 학리[鶴里, 학동(鶴洞)], 삼성리[三成里, 삼성동(三成洞)], 양수리[楊水里, 도곡동(道谷洞)], 청담리[靑潭里, 청담동(靑潭洞)], 반포리[盤浦里, 반포동(盤浦洞)], 포이리[浦二里, 포이동(浦二洞)], 염곡리[廉谷里, 염곡동(廉谷洞)], 내곡리[內谷里, 내곡동(內谷洞)], 신원리[新院里, 신원동(新院洞)]
③ 성북구(城北區)에 편입된 지역
양주군(楊州郡) 노해면(蘆海面)의 창동리[倉洞里, 창동(倉洞)], 월계리[月溪里, 월계동(月溪洞)], 쌍문리[雙門里, 쌍문동(雙門洞)], 공덕리[孔德里, 공덕동(孔德洞)], 하계리[下溪里, 하계동(下溪洞)], 중계리[中溪里, 중계동(中溪洞)], 상계리[上溪里, 상계동(上溪洞)], 도봉리[道峰里, 도봉동(道峰洞)]
④ 영등포구(永登浦區)에 편입된 지역
시흥군(始興郡) 신동면(新東面)의 양재리[良才里, 양재동(良才洞)], 원지리[院趾里, 원지동(院趾洞)], 우면리[牛眠里, 우면동(牛眠洞)], 방배리[方背里, 방배동(方背洞)], 서초리[瑞草里, 서초동(瑞草洞)], 사당리[舍堂里, 사당동(舍堂洞)], 반포리[盤浦里, 반포동(盤浦洞)], 잠실리[蠶室里, 잠원동(蠶院洞)], 시흥리[始興里, 시흥동(始興洞)], 독산리[禿山里, 독산동(禿山洞)], 가리봉리[加里峰里, 가리봉동(加里峰洞)], 신림리[新林里, 신림동(新林洞)], 봉천리[奉天里, 봉천동(奉天洞)], 김포군(金浦郡) 양동면(陽東面)의 가양리[加陽里, 가양동(加陽洞)], 마곡리[麻谷里, 마곡동(麻谷洞)], 등촌리[登村里, 등촌동(登村洞)], 염창리[鹽倉里, 염창동(鹽倉洞)], 목동리[木洞里, 목동(木洞)], 화곡리[禾谷里, 화곡동(禾谷洞)], 신월리[新月里, 신월동(新月洞)]. 김포군(金浦郡) 서면(西面)중에서 내발산리[內鉢山里, 내발산동(內鉢山洞)], 외발산리[外鉢山里, 외발산동(外鉢山洞)], 송정리[松亭里, 공항동(空港洞)], 방화리[傍花里, 방화동(傍花洞)], 개화리[開花里, 개화동(開花洞)], 오곡리[五谷里, 오곡동(吾谷洞)], 오쇠리[五釗里, 오쇠동(五釗洞)], 과해리[果海里, 과해동(果海洞)], 부천군(富川郡) 소사읍(素砂邑)중에서 오류리[梧柳里, 오류동(梧柳洞)], 천왕리[天旺里, 천왕동(天旺洞)], 고척리[高尺里, 고척동(高尺洞)], 개봉리[開峰里, 개봉동(開峰洞)], 궁리[宮里, 궁동(宮洞)], 온수리[溫水里, 온수동(溫水洞)], 항리[航里, 항동(航洞)]」

이상의 지역이 서울특별시로 편입됨으로서 서울특별시의 총면적은 613.04㎢에 달하였으며 서울특별시민은 3,094,022명이 되었고 행정기구는 9개구, 13개 출장소, 341개의 행정동이 설치되어 수도 서울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1973년 7월 1일에는 도봉구와 관악구의 2개구를 신설하여 서울특별시에서 관할하는 구는 9개구에서 11개로 증가하였으며 또한 경기도 시흥군 서면 광명리의 일부를 영등포구 개봉동에 편입하고, 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와 진관내리, 진관외리를 서대문구에 편입하여 서울특별시의 총면적은 627.06㎢에 달하였다. 1975년 10월 1일에는 강남구를 신설하였고 동을 폐합하여 343개동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