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스크랩] 4*6배판으로 총 13,308쪽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한국역대자전총서”

굴어당 2019. 1. 27. 21:07





<책소개>

‘옥편’은 한자의 한국적 변용과 활용은 물론 국어 어휘와 국어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자료가 고서 형태로 흩어져 있고 전산화되지 못하여 관련 연구에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한국한자연구소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국어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표적 자전 12종을 선별하여 교감과 표점을 거치고 전체 원문을 전산화하여 재조판하여 전자 배판본으로 출간했다.


한국 한자의 변천과 고유성 연구는 물론 한자어의 의미변천과 생성 소멸 과정, 국어 표기법의 변천, 한자 독음 변천 양상, 근대기의 신조어, 의학 관련 전문용어 등의 연구에 큰 기여를 한다. 이들 자료의 통합검색 시스템을 구축 중이며 곧 서비스할 예정인데, 그렇게 되면 국어와 한자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목차>


전운옥편

자류주석

국한문신옥편

자전석요

한선문신옥편

증보자전대해

신자전

자림보주

일선신옥편

실용선화대사전

회중일선자전

신정의서옥편



<저자소개>


저자 : 하영삼
경남 의령 출생으로, 경성대학교 중문과 교수, 한국한자연구소 소장, 한국중국언어학회 부회장, 세계한자학회(WACCS) 상임이사로 있다. 부산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대만 정치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한자에 반영된 문화 특징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에 <한자어원사전>, <한자와 에크리튀르>, <한자야 미안해>(부수편, 어휘편), <연상 한자>, <한자의 세계: 기원에서 미래까지>, <第五游整理與硏究> 등이 있고, 역서에 <중국 청동기 시대>, <허신과 설문해자>, <갑골학 일백 년>, <한어문자학사>, <한자왕국>(공역), <언어와 문화>, <언어지리유형학>, <고문자학 첫걸음>, <상주 금문>(공역), <洙泗考信錄>(공역), <釋名>(선역), <觀堂集林>(선역) 등이 있으며, “域外漢字傳播書系-韓國卷”(6冊, 上海人民出版社)을 공동 주편했다.


저자 : 왕평


엮음 : 나윤기, 김억섭, 김영경, 곽현숙



<출판사서평>

조선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대 대표 한자자전,

교감과 표점을 거쳐 디지털 조판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소장 하영삼)에서는 현대 이전(1945년)까지의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때 편찬된 대표 한자자전 12종 16책을 표점 교감을 거친 전자배판 “한국역대한자자전총서”(도서출판3)로 출판했는데, 이는 한국 최초로 이루어진 쾌거로 국학 기초 자료의 전산화와 활용에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현대 이전까지 한국의 가장 중요한 문자로 기능했던 한자, 그리고 이들의 독음과 의미를 찾도록 한 한자사전인 ‘옥편’은 한자의 한국적 변용과 활용은 물론 국어 어휘와 국어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자료가 고서 형태로 흩어져 있고 전산화되지 못하여 관련 연구에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한국한자연구소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국어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선시대의 대표적 한자자전인 《전운옥편》과 《전운옥편》을 비롯해 일제강점기에 편찬된 《국한문신옥편》, 《한선문신옥편》, 《증보자전대해》, 《자전석요》, 《신자전》, 《일선신옥편》, 《자림보주》, 《회중일선자전》, 《신정의서옥편》, 《실용선화대사전》 등 대표적 자전 12종을 선별하여 교감과 표점을 거치고 전체 원문을 전산화하여 재조판하여 전자 배판본으로 출간했다. 특히 독음색인과 총획색인 2종 외에도 한어병음색인까지 탑재하여 한국 독자뿐만 아니라 중국어권 독자들까지 배려했다.


4*6배판으로 총 13,308쪽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한국역대자전총서”는 한국 한자의 변천과 고유성 연구는 물론 한자어의 의미변천과 생성 소멸 과정, 국어 표기법의 변천, 한자 독음 변천 양상, 근대기의 신조어, 의학 관련 전문용어 등의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특히 이들 자료의 통합검색 시스템을 구축 중이며 곧 서비스할 예정인데, 그렇게 되면 국어와 한자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들 자료를 중국과 일본 및 베트남 등지의 한자자전과 연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한자 문화건 속에서 한자의 파생과 변천 및 창조 등의 맥락을 거시적으로, 통시적으로 살필 수 있게 되어 한자문화권의 공통 문화 기초 연구와 논의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한국한자연구소에는 국어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선시대의 대표적 한자자전인 《전운옥편》과 《전운옥편》을 비롯해 일제강점기에 편찬된 《국한문신옥편》, 《한선문신옥편》, 《증보자전대해》, 《자전석요》, 《신자전》, 《일선신옥편》, 《자림보주》, 《회중일선자전》, 《신정의서옥편》, 《실용선화대사전》 등 대표적 자전 12종을 선별하여 교감과 표점을 거치고 전체 원문을 전산화하여 재조판하여 전자 배판본으로 출간했다. 특히 독음색인과 총획색인 2종 외에도 한어병음색인까지 탑재하여 한국 독자뿐만 아니라 중국어권 독자들까지 배려했다.

4*6배판으로 총 13,308쪽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한국역대자전총서 세트』는 한국 한자의 변천과 고유성 연구는 물론 한자어의 의미변천과 생성 소멸 과정, 국어 표기법의 변천, 한자 독음 변천 양상, 근대기의 신조어, 의학 관련 전문용어 등의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특히 이들 자료의 통합검색 시스템을 구축 중이며 곧 서비스할 예정인데, 그렇게 되면 국어와 한자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목차

전운옥편
자류주석
국한문신옥편
자전석요 상
자전석요 하
한선문신옥편 상
한선문신옥편 하
증보 자전대해 상
증보 자전대해 하
신자전
자림보주
대증보 일선신옥편 상
대증보 일선신옥편 하
실용 선화대사전 상
실용 선화대사전 하
신정 의서옥편
회중 일선자전


출판사 서평

조선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역대 대표 한자자전,
교감과 표점을 거쳐 디지털 조판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소장 하영삼)에서는 현대 이전(1945년)까지의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 때 편찬된 대표 한자자전 12종 16책을 표점 교감을 거친 전자배판 “한국역대한자자전총서”(도서출판3)로 출판했는데, 이는 한국 최초로 이루어진 쾌거로 국학 기초 자료의 전산화와 활용에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현대 이전까지 한국의 가장 중요한 문자로 기능했던 한자, 그리고 이들의 독음과 의미를 찾도록 한 한자사전인 ‘옥편’은 한자의 한국적 변용과 활용은 물론 국어 어휘와 국어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자료가 고서 형태로 흩어져 있고 전산화되지 못하여 관련 연구에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였다.

한국한자연구소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국어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선시대의 대표적 한자자전인 《전운옥편》과 《전운옥편》을 비롯해 일제강점기에 편찬된 《국한문신옥편》, 《한선문신옥편》, 《증보자전대해》, 《자전석요》, 《신자전》, 《일선신옥편》, 《자림보주》, 《회중일선자전》, 《신정의서옥편》, 《실용선화대사전》 등 대표적 자전 12종을 선별하여 교감과 표점을 거치고 전체 원문을 전산화하여 재조판하여 전자 배판본으로 출간했다. 특히 독음색인과 총획색인 2종 외에도 한어병음색인까지 탑재하여 한국 독자뿐만 아니라 중국어권 독자들까지 배려했다.

4*6배판으로 총 13,308쪽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한국역대자전총서”는 한국 한자의 변천과 고유성 연구는 물론 한자어의 의미변천과 생성 소멸 과정, 국어 표기법의 변천, 한자 독음 변천 양상, 근대기의 신조어, 의학 관련 전문용어 등의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특히 이들 자료의 통합검색 시스템을 구축 중이며 곧 서비스할 예정인데, 그렇게 되면 국어와 한자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들 자료를 중국과 일본 및 베트남 등지의 한자자전과 연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한자 문화건 속에서 한자의 파생과 변천 및 창조 등의 맥락을 거시적으로, 통시적으로 살필 수 있게 되어 한자문화권의 공통 문화 기초 연구와 논의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출처 : 굴어당의 漢詩(杜甫詩)
글쓴이 : 屈漁堂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