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어당

굴어당의 한시.논어.맹자

http:··blog.daum.net·k2gim·

도연명 전집 1,2.양회석 ,이수진. 지식을만드는지식

굴어당 2020. 6. 24. 21:15

도연명 전집 1,2.양회석 ,이수진. 지식을만드는지식 

책 소개

 

<도연명 전집 1> 정확한 번역과 충실한 내용으로 ≪도연명 전집≫ 정본을 추구하다
이 책은 특정한 판본을 저본으로 삼지 않고 ≪도연명집(陶淵明集)≫[경인문연각 사고전서(景印文淵閣四庫全書) 1063책)], 도주(陶澍) 집주(集注) ≪정절선생집(靖節先生集)≫ [속수 사고전서(續修四庫全書) 1304책], 루친리(逯欽立) 교주(校注) ≪도연명집(陶淵明集)≫[중화수쥐(中華書局), 1987], 위안싱페이(袁行霈) 찬(撰) ≪도연명집전주(陶淵明集箋注)≫ [중화수쥐(中華書局), 2014] 등 여러 통행본을 두루 대조해 옮겼다. 그간 난해해 번역에 어려움을 겪었던 작품들도 여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정확히 번역해 내었으며, 번역은 직역을 위주로 하되 원문의 절주를 살리기 위해 우리말 번역도 가능한 한 글자 수를 가지런히 했다.
번역문과 대조해 볼 수 있도록 각 작품의 뒤에는 원문을 첨부했으며 운문의 운율을 즐길 수 있도록 우리말 독음을 달아 주었고 압운도 밝혀 두었다.
주석은 루친리(逯欽立) 교주(校注) ≪도연명집(陶淵明集)≫과 위안싱페이(袁行霈) 찬(撰) ≪도연명집전주(陶淵明集箋注)≫를 중심으로 여러 주석서를 참조해 필자가 추가했으며, 고증보다는 원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각 작품 뒤에는 작품 해설을 덧붙였는데, 주관적인 감상이나 평보다는 정확한 문맥 파악에 주안점을 두었다.
부록에는 도연명에 관한 여러 자료들을 수록했으며, 특히 도연명 전문가인 위안싱페이 교수의 허락을 받아 도연명의 향년에 관한 그의 논문을 정리, 번역해서 실었다. 또한 오늘날 우리가 도연명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중심으로 도연명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전체 해설에서 상세히 소개했다. 일반 독자는 물론 전문 독자들도 ≪도연명 전집≫을 통해 도연명의 다양한 면모를 깊이 있게 살필 수 있다.

이백과 백거이, 소동파의 롤모델 도연명
중국에는 수많은 시인들이 있었고, 그중 이백, 두보, 소동파 등은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보다도 앞서, 아시아 전체에서 사랑받은 시인이 바로 위진 남북조 시대의 도연명이다.
이백의 시 속에 나오는 술과 대자연에는 도연명의 자취가 완연하고, 동파 소식은 도연명의 거의 모든 작품에 화답하는 <화도시(和陶詩)>를 남겼으며 한반도는 물론, 일본에서도 수많은 문인들이 <화도시>를 통해 도연명을 추숭했다. 또한 도연명의 <도화원기(桃花源記)>를 모티프로 한 안견(安堅)의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비롯해 동아시아의 많은 화가들이 도연명의 생애와 작품을 회화로 남겼다.
오늘날에도 주변을 살펴보면 도연명에 대한 여러 책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참다운 삶, 전원으로 돌아가다
이렇듯 동아시아 전체에서 널리 사랑받은 도연명, 그는 어떤 사람인가?
도연명의 생애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귀거래사>를 비롯한 그의 작품을 볼 때, 그는 몇 차례 관직에 나갔으나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곧 그만두고 전원에서 평생을 소일한 ‘전원시인’이다.
그러나 우리는 ‘전원’이라는 말을 그저 낭만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그의 작품에 드러나는 전원은 부유한 사대부들이 한가롭게 풍류를 즐기는 장소가 아니라, 힘써 노동하고 농부로서 살아가는 치열한 사유와 생존의 장이다. 이 때문에 그의 전원생활은 당시 사람들에게 커다란 울림을 주는 상징적인 행위가 되었다.
도연명은 진나라 개국 공신의 후예로, 명문가 출신이다. 그러나 귀족과 군벌의 발호로 나라가 어지러운 시대를 만난 그는 옳지 못한 세상에서 부귀영화를 누리기보다 시골 농부의 가난하지만 정직한 삶을 택했다. 이러한 그의 모습은 떳떳하지 못한 사회적 강자에게 경각심을 주고, 빈한하지만 성실한 약자에게는 자긍심을 주었다. 그의 삶은 단순한 전원생활이 아니라 혼탁한 시류에 맞서, 시대를 이끄는 선각자 역할을 한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도연명의 삶과 문학 세계의 핵심인지도 모른다.
도연명 작품의 또 하나의 특징은 심원(深遠)한 사유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주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그가 당시 유행이었던 꾸며 대는 글쓰기를 거부하고, 그저 잘 익은 생각을 가식 없이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21세기에 만나는 진정한 웰빙의 가르침
현실을 꿰뚫어 본 도연명이 꿈꾸었던 ‘도원향’은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 아니, 오히려 더욱더 절실하다. 진정한 삶다운 삶을 찾아 ‘농촌’과 ‘도시’에서 방황하고 있다면, 웰빙(well-being)과 웰다잉(well-dying)을 하고 싶다면, 1500년도 넘는 옛적에 선각자로 앞서서 이 길을 걸었던 도연명을 만나 보기를 권한다. 그의 시문을 읽고 있노라면 도연명이 눈앞에 나타나 빙그레 웃으리라. “돌아오세요, 전원으로! 잘 오셨어요, 무릉도원으로!”

접기


 

저자 소개

지은이 도연명(陶淵明)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심약(沈約)의 ≪송서(宋書)≫에 근거해 도연명의 향년을 63세로 보았다. 그러나 여러 자료를 참고할 때 최근 위안싱페이 교수가 주장한 76세설이 가장 타당하다.
도연명은 영화(永和) 8년, 서기 352년에, 현재 장시성(江西省) 주장시(九江市) 인근인 심양(瀋陽) 시상(柴桑)에서 태어났다. 그의 증조부 도간(陶侃)은 대사마(大司馬)를 지내고 장사군공(長沙郡公)에 봉해진 동진의 개국 공신이었고, 할아버지는 태수(太守)를 지냈으며, 외할아버지는 당시의 명사로 알려진 맹가(孟嘉)였지만 도연명에 이르러서는 집안이 몰락했다. 어려서부터 빈한해 직접 생업에 힘써야 했지만, 독서를 좋아해 유가와 도가의 경전은 물론이고 ≪산해경(山海經)≫ 같은 이서(異書)까지 즐겨 읽었다.
태원(太元) 5년(380), 비로소 출사의 기회가 주어져 주좨주(州祭酒)로 부임하지만 며칠 만에 그만두고서 귀가해 버렸다. 이후 주(州)에서 주부(主簿)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후 근 20년에 달하도록 은거하다가, 398년 47세에 군벌인 환현(桓玄, 369∼404)의 막하에 들어갔는데, 머잖아 모친상으로 귀가했다. 404년 53세에 유유(劉裕)의 참군(參軍)이 되고, 405년에는 유경선(劉敬宣)의 참군으로 옮겼다. 그가 군벌의 막하에 들어간 것이 자의였는지 타의였는지 알 수 없지만, 이 시기의 작품에는 불편한 심사가 가득 넘쳐 나고 있어, 자신의 처지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얼마 후 팽택(彭澤)의 현령(縣令)으로 부임하지만, 군(郡)에서 파견한 관리를 깍듯이 모시라는 말에 “나는 다섯 말의 쌀 때문에 저 시골의 애송이에게 허리를 굽힐 수 없다(我豈能爲五斗米折腰向郷里小兒)”라 하고, 80여 일 만에 그만두고 <귀거래사>를 부르면서 전원으로 영원히 돌아가 버렸다.
의희(義熙) 2년(406) 이후 도연명은 다시 농부로서의 삶을 그런대로 평온하게 영위해 나갔다. 408년 57세에 화재가 나서 전 재산을 잃고, 조각배 속에서 생활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생활 형편이 어려워지고 병마에 시달리기도 했지만 꿋꿋하게 전원에서 농사를 지으며 시를 창작하는 생활을 이어 갔다. 411년 도연명이 60세가 되던 해, 예전의 상관인 유유가 태위(太尉)가 되어 실권을 장악했고, 도연명을 저작랑(著作郞)으로 임명했으나 병을 이유로 거절했다. 또 이 무렵 안연지와 약 1년 동안 교유했다. 420년, 도연명이 69세가 되던 해 유유는 마침내 칭제해 송(宋)을 개국했다. 당시 권세가 단도제(檀道濟, ?∼436)의 회유적인 제안을 단호하게 거절하는 등, 시종일관 새로운 왕조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만년에는 극심한 가난과 병마에 고생하면서도 <걸식(乞食)>과 <자제문(自祭文)> 등을 쓰면서 죽음을 의연히 맞아들였다. 원가(元嘉) 4년(427), 76세의 나이로 영면했다.

옮긴이 양회석은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중국 문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 푸단대학과 양저우대학, 일본 교토대학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저술로 ≪망부운 : 백족 민간 설화와 정율성 오페라≫, ≪문(文)으로 읽는 노자 도덕경≫, ≪어느 동양학자의 산띠아고 까미노≫, ≪소리 없는 시, 소리 있는 그림≫, ≪서상기≫(역서), ≪인문에게 삶의 길을 묻다≫, ≪고시원−한시의 근원을 찾아서 1·2·3≫(공저) 등,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한국중국희곡학회 회장, 중국인문학회 회장, 전남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옮긴이 이수진은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전남대학교에서 <도연명 연구>로 박사 학위 논문 집필 중에 있다. 논문으로 <공맹(孔孟)의 생사관과 그 문학적 수용>(공저), <소식(蘇軾) 황주 시기 시·사에서의 생사 의식 연구>가 있다. 현재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